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n examining the methods and aspects of how the individual engages with the locale or locality, based on the concept of everyday sense of place. The Zhang Lu’s films <Hyazgar>, <Chong-Qing>, <I-Ri>, and <Gyeong-Ju> were used as texts to reveal how the individual is related to the locality during the process of the individual’s everyday place becoming insecure or fantastically reconstructed. Consequently, Zhang Lu hopes for the recovery of intersectionality of the severed everyday place through the image of the individual, who has regressed to the everyday place via a fantastic way, by such an individual welcoming with warm language another individual who has come to grips with his or her class identity and place. Also, his films depend not on something imprinted on the locality but the way the individual enters into a relationship with the locale. If focus is put on how the locale is a fluid concept which changes sizes by hierarchy, each individual produces his or her own locale in accordance with the various definitions and regulations including space made into place, space planned as administrative district, and space as a national enterprise.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about seeking to summon the individual who has been ousted from the place of the main agent, especially the marginal person as the main agents who produce and identify the locality.
장률, <경계>, 2006.
장률, <중경>, 2007.
장률, <이리>, 2008.
장률, <경주>, 2014.
강성률, 「떠도는 인생, 지켜보는 카메라」, 『현대영화연구』11, 한양대 현대영화연구소, 2011, 91-118쪽.
구동회, 「로컬리티 연구에 관한 방법론적 논쟁」, 『지리학연구』44권 4호, 국토지리학회, 2010, 509-523쪽.
김관웅, 「장률의 영화가 중국조선족 문예에 주는 계시」, 『미드리』7권, 이주동포정책연구소, 2011.
김태만, 「재중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트라우마」, 『중국현대문학』54호,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0, 237-269쪽.
박노종ㆍ고현철, 「영화 속 조선족(朝鮮族)의 디아스포라와 정체성 고찰」, 『동북아문화연구』3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23-41쪽.
서옥란ㆍ김화, 「장률영화에 나타난 서발턴 연구」, 『한중인문학연구』40, 한중인문학회, 2013, 189-212쪽.
신동순, 「장뤼(張律, ZhangLu) 영화와 디아스포라 이중의식」, 『중국소설논총』40, 한국중국소설학회, 2013, 301-320쪽.
신일순, 「메를로-퐁티의 ‘몸의 현상학’」,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2001.
신호재,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 지각」, 『인문논총』64,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2010, 131-162쪽.
심해주 ,「구도시 재생계획-중국 충칭시 위중구 18계단 구역」,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2014.
우혜경, 「다큐멘터리 <장률> 제작 연구」, 『영화문화연구』12, 한국예술종학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 2010, 167-227쪽.
유진월, 「소수자 영화와 타자의 재현」, 『인문과학연구』37,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2013, 33-56쪽.
육상효, 「침묵과 부재: 장률 영화 속의 디아스포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집』, 한국콘텐츠학회, 2009, 163-174쪽.
이재봉, 「‘내지(內地)’의 논리와 근대 초기 조선의 글쓰기」, 『한국민족문화』37,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111-159쪽.
임춘성, 「포스트사회주의 시기 중국소수민족 영화를 통해 본 소수민족 정체성과 문화정치」, 『중국현대문학』58,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1, 217-249쪽.
장수현, 「상상된 기억으로서의 디아스포라」, 『한민족문화연구』41, 한민족문화학회, 2012, 481-511쪽.
장슬기, 「로컬과 서발턴이라는 경계」, 『로컬리티 인문학』12,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209-238쪽.
정지은, 「라깡의 응시에 비추어 본 메를로-퐁티의 가시적인 것의 깊이」, 『라깡과 현대정신분석』12(1),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2010, 151-174쪽.
조명기ㆍ박정희, 「장뤼(張律)와 영화 「두만강」의 공간 위상」, 『중국학연구』57, 중국학연구회, 2011, 621-642쪽.
주진숙ㆍ홍소인, 「장률 감독 영화에서의 경계, 마이너리티, 그리고 여성」, 『영화연구』42, 한국영화학회, 2009, 597-620쪽.
한귀은, 「파괴된 소도시에 잠재한 희망과 윤리의 장소성」, 『어문학』119, 한국어문학회, 2013, 345-370쪽.
데이비드 하비, 『희망의 공간: 세계화, 신체, 유토피아』, 최병두 외 옮김, 한울, 2001.
데이비드 하비, 「공간이라는 키워드」,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공간들』, 임동근ㆍ박훈태ㆍ박준 옮김, 문화과학사, 2010.
르네 지라르, 『희생양』, 김진식 옮김, 민음사, 1998.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의 공동체』, 윤형숙 옮김, 나남출판, 2002.
앙리 르페브르, 『공간의 생산』, 양영란 옮김, 에코리브르, 2011.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구동회ㆍ심승희 옮김, 대윤, 2007.
자크 데리다, 『환대에 대하여』, 남수인 옮김, 동문선, 2004.
이영과의 인터뷰, 「절망의 두 도시를 희망으로 잇는, <중경>와 <이리>의 장률 감독!!」. http://movie.daum.net/movieperson/ArticleRead.do?personId=85120&articleId=1490150&type=total&t__nil_ArticleList_all=text (검색일: 2015.5.21.)
이영과의 인터뷰, 「절망의 두 도시를 희망으로 잇는, <중경>와 <이리>의 장률 감독!!」. http://cq.qq.com/a/20081230/000018.htm (검색일: 2015.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