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할리우드와 그 너머’ - 1960년대 한국 범죄 스릴러 영화에 나타난 장르의 혼종성과 초국성

“Hollywood and Beyond”: Genre Hybridity and Transnationality in the Crime Thriller Films of the 1960s’ Korean Cinema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6, v.22 no.1, pp.51-89
https://doi.org/10.18856/jpn.2016.22.1.002
이선주 (한양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논문은 1960년대 중반 한국의 주류 장르로 부상한 스릴러를 특정 시기에 유행했던 안정된 하나의 장르로 접근하기보다 할리우드와 프랑스 등의 영향을 받아 중층적으로 구성된 초국적 양식이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영향들은 2차 대전 후 필름 느와르 영화들과 이에 대한 비평들이 글로벌하게 순환한 방식과도 연결된다. 즉 필름 느와르는 프랑스에서 미국 전후 스릴러 영화들에 나타난 속도감과 어두운 시각적 분위기라는 두 가지 특징들을 식별하면서 비평적으로 정립된 용어로, 이 두 특징들은 60년대 한국 범죄 스릴러에도 ‘템포’와 ‘무드’라는 두 가지 국면들로 반영되었다. 템포와 무드는 할리우드 영화의 시스템과 테크놀로지에 대한 욕망, 그리고 프랑스 영화에 대한 비평가들의 예술영화적 욕망을 응축했다는 점에서 초국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초국성은 1960년대 근대화된 도시의 일상적 경험에 따른 속도와 감각성에의 매혹과 연결되었다는 점에서 지역적인 것과 협상했다. 본 논문에서는 스릴러/느와르의 이러한 혼종적 특징들에 착안하여 이 영화들을 대중영화적 새로움과 영화언어의 새로움, 이국적 감수성과 지역적인 맥락들이 교섭하고 경합하는 역동적인 실천의 양식들로 간주하면서 이러한 특성들을 잘 드러내는 작품들로서 이만희의 <검은 머리>(1964), 조해원의 <불나비>(1965), 이강원의 <도망자>(1965)를 분석한다.

keywords
스릴러, 범죄 스릴러, 필름 느와르, 템포, 무드, 초국성, 할리우드, 프랑스, <검은 머리>, <불나비>, <도망자>, thriller, crime thriller, film noir, tempo, mood, transnational, Hollywood, France, Black Hair, The Tiger Moth, The Fugitive

Abstract

This paper argues that the thriller which emerged as a mainstream genre in the Korean cinema of the 1960s should be seen as a transnational mode of film production rather than as a stable genre that had its popularity during a specific period, one that was overdetermined by the influences of Hollywood and French cinema. These influences are linked to the ways in which both the post-war film noir movies and the criticisms on them were globally circulated. The French critics in the late 1940s and 50s identified as the two key characteristics of the post-war US crime thrillers the sense of speed and the dark visual atmosphere, both of which enabled the critics to name the films as ‘film noir.’ These two characteristics were also reflected in the Korean crime thriller films in the forms of ‘tempo’ and ‘mood.’ These two aspects are transnational in the sense that they consolidated a desire of the 1960s’ Korean cinema for the system and technology of Hollywood on the one hand, and another desire of the local critics for the French cinema that they considered as the culmination of art cinema, on the other. These twofold transnational aspects were, too, in negotiation with the local, given that they were expressive of the local audiences’ fascination with the urban speed and sensory plenitude that they experienced in their everyday life. With these hybrid aspects in mind, I define the Korean thriller/noir as a dynamic mode of film practice through which the newness of popular cinema, the newness of film language, exotic sensibility, and local contexts negotiated and competed with each other, examining Black Hair (Lee Man- hee, 1964), The Tiger Moth (Cho Hae-won, 1965), and The Fugitive (Lee Kang-won, 1965).

keywords
스릴러, 범죄 스릴러, 필름 느와르, 템포, 무드, 초국성, 할리우드, 프랑스, <검은 머리>, <불나비>, <도망자>, thriller, crime thriller, film noir, tempo, mood, transnational, Hollywood, France, Black Hair, The Tiger Moth, The Fugitive

참고문헌

1.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국일보』, 『대한일보』

2.

『영화예술』 1965년 10월호, 66년 1월, 66년 4월

3.

『실버스크린』 1965년 6월, 12월

4.

한국영상자료원,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2-64』, 2006.

5.

한국영상자료원,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5』, 2007.

6.

한국영상자료원,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6』, 2007.

7.

김소영, 「<검은 머리> 잉여와 낭비 주변의 윤리」, 『영화평론가 김소영이 발견한 한국영화 최고의 10경』, 현실문화, 2010, 95-128쪽.

8.

김수남, 「액션 활극, 스릴러 풍의 영화감독, 김묵의 작품세계론 고찰」, 『한국영화 감독론 4』, 월인, 2015, 182-199쪽.

9.

레이몽 보르드·에티엔 쇼메통, 「필름느와르의 정의에 대하여」, 알랜 실버·제임스어시니·장서희 편저, 『필름느와르 리더』, 이현수 역, 도서출판 본북스, 2011, 33-42쪽.

10.

박유희, 「총론: 한국 추리서사와 탐정의 존재론」, 대중서사장르연구회 지음,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3. 추리물』, 이론과 실천, 2011, 13-89쪽.

11.

배리 랭포드, 『영화 장르: 할리우드와 그 너머』, 방혜진 역, 한나래, 2010.

12.

에르네스트 만델, 『즐거운 살인』, 이동연 역, 이후, 2001.

13.

오영숙, 「1960년대 첩보액션영화와 반공주의」, 『대중서사연구』 22호, 대중서사학회, 2009, 39-69쪽.

14.

오영숙, 「1960년대 스릴러 영화의 양상과 현실인식」, 『영화연구』 33호, 한국영화학회, 2007, 43-70쪽.

15.

이길성, 「1950년대 외국 스릴러 장르의 한국적 수용양상」, 『영화연구』 45호, 한국영화학회, 2010, 253-284쪽.

16.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개정증보판』, 소도, 2004.

17.

조영정, 「이만희의 작가적 위치에 대한 재고찰」,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8.

조영정, 「미국영화에 대한 양가적 태도」, 『매혹과 혼돈의 시대』, 도서출판 소도, 2003, 100-127쪽.

19.

질 들뢰즈, 『시네마1: 운동 이미지』, 유진상 역, 시각과 언어, 2002.

20.

Dimendberg, Edward, Film Noir And The Spaces of Modernity,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21.

Hansen, Miriam Bratu, “The Mass Production of the Senses: Classical Cinema as Vernacular Modernism,” Modernism/modernity, Vol 6, No 2 (April 1999), pp.59-77.

22.

Naremore, James, “American Film Noir: The History of an Idea,” Film Quarterly, Vol 49, No 2 (Winter 1995-1996), pp.12-28.

23.

Porfirio, Robert G. “No Way Out: Existential Motifs in the Film Noir,” in Film Noir Reader, eds. Alain Silver and James Ursini, Limelight Editions New York, 1996, pp.83-92.

24.

Schrader, Paul, “Notes on Film Noir (1972),” in Film Noir Reader, eds. Alain Silver and James Ursini, Limelight Editions New York, 1996, pp.53-64.

25.

Williams, Linda, “Melodrama Revisted,” in Refiguring American Film Genres: Theory and History, ed. Nick Browne,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pp.42-88.

26.

강범구 구술, 한국영상자료원 VOD 자료

27.

정창화, 한국영화학회 대담, 2015.11.28.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