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toon, an art of the web and smartphones, is different from the usual publishing culture in that readers decide an author's debut and her work's publication. This stems from the fact that the webtoon's platform allows for the juxtaposition of her work and her readers' comments. This paper focuses on how webtoon's co-reading,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readings of others, gives rise to a politico-aesthetic effect similar to the emotional aspect of the pre-modern form of common reading that so often has provided a sense of community. In order to focus on the political aesthetics of the form of reading enabled by the webtoon platform, this paper looks at the politico-aesthetic nature of diarytoon's reader-author communication, which shapes and shares the process of the author's as well as readers' identity formation. To that end, this paper looks at three works: <나는 귀머거리다>, whose readers correct their own initial reading that viewed disabilities as something either to be pitied or to be awed, <모두에게 완자가>, whose author shared how her gender politics evolved by communicating with her readers about her ordinary experience as a sexual minority, and <이게 뭐야>, whose author resisted the readers' demand as to how the other should be represented, tried to crack its assimilated representation, and ultimately put it in a positive light. All this shows that the webtoon platform induces active reader-reader as well as reader-author engagement, showing it to be a place where the work is created and read at the same time. With respect to webtoon’s platform and co-reading, this paper shall emphasize its mutually communicatory feature as a form of media and its effect. Furthermore, it will be shown that webtoon with above mentioned features could elevate hitherto unknown ordinary experience of the other into a political matter.
라일라, <나는 귀머거리다>, 네이버 웹툰.
완자, <모두에게 완자다>, 네이버 웹툰.
지지, <이게 뭐야>, 다음 웹툰.
고은나래・김효용, 「스마트 미디어시대에 있어서 웹툰의 발전과 앱툰에 관한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학술대회지』 12,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2, 47-50쪽.
김경태, 「벽장 밖으로 나온 동성애자들, 브라운관에 갇히다」, 『문화과학』 83, 문화과학사, 2015, 142-159쪽.
김규인・이병철・이준아・손홍찬・김민선, 「웹툰 내용 유형에 따른 페이지 넘김 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14(2), 한국HCI학회, 2014, 627-630쪽.
김성애, 「우리나라 장애이해교육의 의미고찰」, 『유아특수교육연구』 14(2),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53-73쪽.
김수환, 「웹툰에 나타난 세대의 감성구조-잉여에서 병맛까지」, 『탈경계인문학』 4(2),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2011, 101-123쪽.
김용현・고은영, 「웹툰에서의 몰입(Flow)을 위한 인터랙션 분석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4),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74-84쪽.
김재필‧성승창‧홍원균, 「웹툰 플랫폼의 진화와 한국 웹툰의 미래」, 『Issue &Trend』, KT경제경영연구소, 2013, 1-19쪽.
김정인, 「일상툰에 나타난 청년의 정체성과 재현기법」,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김지연・오영재, 「웹툰에 있어서 서사구조에 따른 공간활용에 대한 비교분석: 국내외웹툰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10(3), 한국영상학회, 2012, 127-142쪽.
김태욱, 「영화<완득이>에 나타난 저신장장애에 대한 장애관의 고찰-Priestley의 다중장애모델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김현원・염동철, 「웹툰의 스크롤 인터렉션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요소 적용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학술대회지』 11,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3, 32-33쪽.
류철균・이지영, 「자기재현적 웹툰의 주제의식 연구」, 『대중서사연구』 30, 대중서사학회, 2013, 117-147쪽.
박인하, 「한국 웹툰의 변별적 특성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1(3),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82-97쪽.
박정기, 「미디어 융합 기반 문화 콘텐츠 시각 체계에 관한 고찰: 인터랙티브 웹툰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15,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4, 249-249쪽.
손현화・전승규, 「`스크롤`의 미디어, 웹툰의 스토리텔링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발표논문집』 10, 한국디자인학회, 2015, 734-737쪽.
손혜령, 「웹만화의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0(1),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267-275쪽.
송요셉, 「웹툰의 발생 과정 탐색과 발전을 위한 제언」, 『한국정보기술학회지』 10(4), 한국정보기술학회, 2012, 133-137쪽.
심홍진・유경한, 「소셜미디어 이용과 TV 시청의 관계」,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5(1), 문화방송, 2014, 5-49쪽.
와타누키 레이코, 「이용자간 상호작용성이 네이버 웹툰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베스트댓글과 일반댓글의 효과 비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위근우, 「새로운 데뷔 시스템은 웹툰 시장을 어떻게 성장시켰는가」, 『실천문학』119, 실천문학사, 2015, 226-233쪽.
윤기헌・정규하・최인수・최해솔, 「웹툰 통계 분석을 통한 한국 웹툰의 특징」,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8,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177-194쪽.
이수연・박종영・박정자・이은숙, 「장애학의 관점에서 본 장애이해교육의 실태분석과 나아갈 방향」,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4(1),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3, 19-35쪽.
이숙정, 「고통과 장애에 대한 윤리적 논쟁-중증 장애 신생아의 삶을 중심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16(3), 한독교육학회, 2011, 87-100쪽.
이승연, 「웹툰이 재현하는 청년세대와 청년문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이용욱, 「디지털서사체의 미학적 구조(4)-웹툰의 아이러니 서사전략」, 『비평문학』34, 한국비평문학회, 2009, 213-233쪽.
이지은, 「십대여성이반의 커뮤니티 경험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정규하・윤기헌, 「웹툰에 나타난 새로운 표현형식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17,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5-19쪽.
정규하・윤기헌, 「웹툰에 나타난 특징적 말칸 연출에 대한 분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6,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393-416쪽.
정병설, 「장편 대하 소설과 가족사 서술의 연관 및 그 의미」, 『고전문학연구』 12, 한국고전문학회, 1997, 221-248쪽.
조서연, 「<인생은 아름다워>에 나타난 TV드라마의 동성애」, 『한국극예술연구』 35, 한국극예술학회, 2012, 365-401쪽.
조은숙, 「식민지시기 "동화회(童話會)" 연구: 공동체적 독서에서 독서의 공동체로」, 『민족문화연구』 45, 민족문화연구원, 2006, 225-265쪽.
주헌식, 「웹툰의 표현 형식 변화에 따른 비사실적 표현에 의한 콘텐츠 제작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4, 375-384쪽.
채정화・한창완・이영주, 「웹툰 서비스의 사용편리성과 상호작용적 행위가 서비스만족과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8,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259-286쪽.
한혜원・김유나, 「한국 웹툰의 아이러니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3,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469-502쪽.
홍난지, 「개그웹툰의 자기반영적 패러디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1(2),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109-124쪽.
홍난지・박진우, 「병맛만화의 서사 구조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0(3),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4, 149-168쪽.
홍은정・엄주희, 「웹툰의 UX 특성과 사용자 몰입 및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4),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293-306쪽.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2012.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 푸른역사, 2014.
애너머리 야고스, 『퀴어이론입문』, 박이은실 옮김, 여이연, 2012.
게일 루빈, 『일탈』, 신혜수 외 옮김, 현실문화, 2015.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이기우・임명진 옮김, 문예출판사, 2012.
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5&mcate=M1006&nNewsNumb=20150317002&nidx=17004
http://www.storyofseoul.com/news/articleView.html?idxno=2284
https://chingusai.net/xe/newsletter/431713?category=468869
http://www.webtoonguide.com/index.php?mid=rds01_interview&page=1&listStyle=webzine&order_type=desc&document_srl=9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