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청년/대항문화의 위상학적 공간으로서의 70년대 소극장운동 고찰

A Study on Small Theatre Movement of 1970s as a Counter-culture in korean Theatre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6, v.22 no.3, pp.171-214
https://doi.org/10.18856/jpn.2016.22.3.005
김기란 (대진대학교)

Abstract

This paper is to be basis on the 70s youth culture, which was but only cult not also resistance on the 'things Korean'. The small theatre was made in the topological cultural situation as a counter-space in 70s. Looking into the topological condition that made it possible for the small theatre to come into being and to persist is important for reconsidering the value of 70s theatre history. The invention of 'things Korean' was for overcoming political and social crisis by the way of making new human type and culture. The purpose of censorship and enforcement against popular culture including youth culture was regulating desire and emotion of masses transforming nationalistic human type. Unlike invention of government and older generation, a masses construct their own desire and social identity by consuming the popular mass culture, for example, hostress melo movie, television drama, new performance. The youths' characteristics as cultural subjects gave them distinctive and advantageous access to specific cultural forms which was overlapped the tradition and its self-conquest. While consuming various media, popular pop music and style, the youths were able to dissolve the sensibilities of regression and get the meaningful resistance, that is, "they stand with decay against disquieting." The new performance in the small theatre Ejotto was a big success as the 'Snake' was performed. The audiences was mostly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constructed youth culture structure 70s. For all that the Ejotto was thrown up the popularity to save the identity of small theatre. This is the reason the evaluation to the small theatre of 70s can be reconsidered.

keywords
소극장, 소극장운동, 소극장연극, 극단 에저또, 창고극장, 70년대 연극사, 70년대 문화, 대항문화, 청년문화구성체, 위상학적 공간, Small Theatre, Small Theatre Movement, Theatre Ejotto, Changgo Theatre, 70s Theatre History, 70s Culture, Counter-culture, Youth-culture, Topological space

참고문헌

1.

『공연과 리뷰』

2.

『연극평론』

3.

『한국연극』

4.

『문예연감』

5.

『문예총감』

6.

『공간』

7.

4대 일간지

8.

김기란, 「한국연극계의 구도 개편의 징후들-중극장 시대의 도래」, 이두현 외, 『한국공연예술의 흐름』(개정증보판), 현대미학사, 2013., 86-102쪽.

9.

김미도, 「오태석 연극과 포스트모더니즘」, 『공연과 리뷰』 제3호, 현대미학사, 1995, 25-38쪽.

10.

김미도, 「1970년대 한국연극의 전통 수용 양상-극단 ‘자유’의 경우」, 『한국연극학』제21호, 2003, 191-229쪽.

11.

김미란, 「‘젊은 사자들’의 혁명과 증발되어버린 ‘그/그녀들’-4월 혁명의 재현 방식과배제의 수사학」, 『여성문학연구』제23호, 2010, 79-118쪽.

12.

김미란, 「‘청년세대’의 4월 혁명과 저항의례의 문화정치학」, 『사이間SAI』제9호, 2010, 12-43쪽.

13.

김숙현, 『드라마센터의 연출가들』, 현대미학사, 2005.

14.

김 원,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그리고 대중문화의 흔적」, 『사회와 역사』 제93집, 한국사회사학회, 2012, 185-235쪽.

15.

김태원, 「에릭 벤틀리, 소극장, 민중연극」, 『공연과 리뷰』 제93호, 2016, 13-25쪽.

16.

김태원, 「소극장制, 소극장史에 대한 단상과 뉴욕의 소극장들」, 『공연과 리뷰』 제91호, 현대미학사, 2015, 88-101쪽.

17.

김태원・방태수・윤조병, 「한국 소극장운동, 70년대 이후의 맥(2)-연출가 방태수와극단 에저또」, 『공간』, 1987년 4월호, 71-84쪽.

18.

김태원・이태주・유용환, 「한국 소극장운동, 70년대 이후의 맥(4)-실험극장과 정통보수 극단의 소극장운동」, 『공간』, 1987년 10월호, 126-143쪽.

19.

백로라, 「1960년대 연극운동론」, 『한국극예술연구』 제12집, 2000, 209-254쪽.

20.

송은영, 「대중문화 현상으로서의 최인호 소설」, 『상허학보』 제15집, 2005, 419-445쪽.

21.

안치운 외, 『박정자와 한국 연극 오십년 1962-2012』, 수류산방, 2012.

22.

오명석, 「1960-70년대의 문화정책과 민족문화담론」, 『비교문화연구』제4호, 서울대비교문화연구소, 1998, 121-152쪽.

23.

유민영, 『한국극장사』, 한길사, 1982.

24.

유민영 외, 『한국연극학의 위상』, 태학사, 2002.

25.

이기훈, 『청년아 청년아 우리 청년아』, 돌베개, 2014.

26.

이두현 외, 『한국공연예술의 흐름-연극, 무용, 음악극』(개정증보판), 현대미학사, 2013.

27.

이상록, 「1960-70년대 비판적 지식인들의 근대화 인식」, 『역사문제연구』 제18호, 2007, 215-251쪽.

28.

이선화, 「앙드레 앙투안과 소극장운동」, 『공연과 리뷰』 제81호, 2013, 10-19쪽.

29.

이진순, 「비평자료選-1956-57년도, 한국 현대연극사의 변화」, 『공연과 리뷰』 제73호, 현대미학사, 2011, 61-73쪽.

30.

이태주, 『한국연극, 1975-1995』, 푸른사상, 2011.

31.

이혜림, 「1970년대 청년 문화구성체의 역사적 형성 과정-대중음악의 소비양상을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2.

정대경, 「삼일로 창고극장 연구」, 『드라마연구』 제24호, 2006, 239-286쪽.

33.

정진수, 「비평자료選-소극장 공연, 1974년의 현실」, 『공연과 리뷰』 제91호, 현대미학사, 2015, 63-71쪽.

34.

정혜원, 「허규와 전통극, 그 현대적 수용와 과제」, 『연극교육연구』 제17집, 2010, 227-270쪽.

35.

정호순, 『한국의 소극장과 연극운동』, 연극과 인간, 2002.

36.

정호순, 「1970년대 극장과 연극문화」, 『한국예술연구』 제26집, 2007, 191-229쪽.

37.

주창윤, 「1975년 전후 한국 당대문화의 지형과 형성 과정」, 『한국언론학보』 제51권4호, 2007, 5-31쪽.

38.

차범석, 『한국 소극장 연극사』, 연극과 인간, 2004.

39.

황병주,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 근대화 담론을 중심으로」,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2008.

40.

요시미 슌야, 『문화연구』, 박광현 옮김, 동국대출판부, 2009.

41.

에릭 벤틀리, 『사색하는 극작가』, 김진식 옮김, 현대미학사, 2002.

42.

수전 손택, 『해석에 반대한다』, 이민아 옮김, 이후, 2007.

43.

슈테판 권첼 엮음, 『토폴로지』, 이기홍 옮김, 에코 리브르, 2010.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