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영화 <버드맨>에 나타난 예술 장(field)의 경합 양상

<Birdman> from the view point of ‘the field of art’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6, v.22 no.3, pp.339-372
https://doi.org/10.18856/jpn.2016.22.3.010
정우숙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This study analyses the movie <Birdman> with reference to the concept of `the field of art', proposed by Pierre Bourdieu. A figure dreaming to be an artist is the antinomic being who wants to reveal the uniqueness of his own, but has to be conscious of valuation criteria offered by neighboring society or cultural context to achieve his desire. In the movie <Birdman>, hero, Reagan Thompson who was the top Hollywood star, presents an image of artist trying to stage comeback for a play and suffering the chaos of identity in the midst of the multiple conflicts surrounding the culture circle. To begin with, setting that Reagan was successful in the superhero movie but now is ready for an authentic stage play suggests the conflict between commercial popular art and pure high art. ‘The soaring (flying)' motif, revealed in the title, is a typical image of superhero movie. This film parodies it and makes use of the soaring motif to express Reagan's mental confusion surrealistically. The setting that hero is preparing for a theater, affects the mode of filming itself, takes the same aesthetic effects as the performing arts filming mostly long-take. Putting forward interests in the stage, this movie does not take into account play text as literature genre. Instead, it presents a play adapted from the work of Raymond Carver representing modern short stories in the United States. This movie stresses the desire of Reagan trying to communicate with the contemporary audience through a literary legitimate drama. On the other hand, hero who wants to be recognized as an intellectual artist, is faced with a hostile attitude of the authoritative critic. In the opening night, Reagan performs enthusiastically and actually is injured on stage. As a result, he gets favorable comment. But the title of the review is ‘The Unexpected Virtue of Ignorance’, which means Reagan failed to be recognized as an intellectual artist.

keywords
<버드맨>,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예술 장, 영화와 연극, <Birdman>, Alejandro Gonzalez Inaritu, the field of Art, film and play

참고문헌

1.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Alejandro Gonzalez Inaritu), <버드맨>(Birdman), 2014.

2.

곽명동, 「버드맨의 미궁을 빠져나오는 아리아드네의 실」, 『마이 데일리』, 2015.3.12.

3.

김동일, 「하우저와 부르디외: 장의 상대적 자율성의 관점에서 반영론의 재해석」, 『사회과학연구』 21권 1호,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8-43쪽.

4.

김승아, 「슈퍼히어로 영화 캐릭터의 스타일링에 나타난 신화적 의미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5.

김용석, 「영화」, 『서사철학』, 휴머니스트, 2009.

6.

김용수, 『연극 연구-드라마 속의 삶, 삶 속의 드라마』, 연극과인간, 2008.

7.

김종구, 「배우의 심리적 경계와 무대공포에 관한 생각」, 한국연극학회편, 『몸과 마음의 연기』, 연극과인간, 2015.

8.

김채수, 『학문과 예술의 이론적 탐구』, 박이정, 2010.

9.

김현정. 「안톤 체호프의 작가정신으로 ‘아메리칸 체호프’ 레이먼드 카버의 『심부름』읽기」, 『한국노어노문학회지』 25권 4호, 2013, 217-244쪽.

10.

김현준, 『한국 개신교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피에르 부르디외 사회이론의 종교사회학적 함의』,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1.

박양희, 「『보바리 부인』에 나타난 19세기 프랑스 부르주아지: 피에르부르디외의 ‘장’과 ‘아비투스’ 개념을 중심으로」, 『프랑스문화 예술연구』 40호, 2012 여름, 153-184쪽.

12.

송창호, 『영화와 문학』, 동인, 2015.

13.

안근영, 「영화 서사구조의 재매개적 배치에 관한 연구-영화 <블랙스완>과 <버드맨>비교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7권 2호,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250-267쪽.

14.

이상길, 「장 이론-구조, 문제틀, 그리고 난점들」, 양은경 외, 『문화와 계급-부르디외와 한국 사회』, 동문선, 2002.

15.

이소담, 「‘버드맨’ 아카데미도 극찬한 롱테이크 신 어떻게 촬영했을까」, 『뉴스엔』, 2015.3.4.

16.

이형식, 『무대와 스크린의 만남-연극의 영화화』, 명인문화사, 2013.

17.

장미혜, 「예술적 취향의 차이와 문화 자본」. 양은경 외, 『문화와 계급-부르디외와 한국 사회』, 동문선, 2002.

18.

정선아, 「레이먼드 카버의 남성 인물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9.

한창완, 『슈퍼 히어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0.

레이먼드 카버, 『사랑을 말할 때 우리가 이야기하는 것』, 정영문 역, 문학동네, 2005.

21.

루돌프 아른하임, 『예술로서의 영화』, 김방옥 역, 홍성사, 1983.

22.

리차드 혼비, 『드라마, 메타드라마, 지각』, 노승희․백현미 역, 2012.

23.

빅토리아 D. 알렉산더, 『예술사회학-순수예술에서 대중예술까지』, 최샛별 외 역, 살림, 2010.

24.

에드워드 D. 이스티, 『메소드 연기』, 이강렬 역, 경서원, 1998.

25.

캐롤 스클레니카, 『레이먼드 카버-어느 작가의 생』, 고영범 역, 강, 2012.

26.

패트릭 터커, 『스크린 연기의 비밀』, 방은진 역, 시공사, 1999.

27.

피에르 부르디외, 『예술의 규칙-문학 장의 기원과 구조』, 하태환 역, 동문선, 1999.

28.

피에르 부르디외, 『구별짓기』 상・하, 최종철 역, 새물결, 2005.

29.

피에르 부르디외․장 클로드 파세롱, 『재생산-교육체계 이론을 위한 요소들』, 이상호 역, 동문선, 2000.

30.

피에르 소르랭, 『영상예술미학』, 이선형 역, 동문선, 2009.

31.

http://www.theglobeandmail.com/arts/how-poems-work/article1029144/(2016.5.7 검색)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