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신과 함께>에 나타난 공간성과 아이러니 연구

A study on spatiality and irony in <With god>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6, v.22 no.3, pp.307-337
https://doi.org/10.18856/jpn.2016.22.3.009
이상민 (가톨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spatiality and irony in <With god>. And it is regarded as being connected to practical discourse acts. <With god> appears clearly spatial confrontation between this world and afterlife. This study reveals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space of this world and that of afterlife. In addition, this study looks at the process of characters’ actions that cause the irony of satire and criticism. The other world has heaven-life of vertical relation and afterlife of horizontal relation. Beings of transcendent god class live in heaven-life and the gods with extraordinary abilities live in afterlife. On the other hand, placelessness that destroys self-identity occurs in this world. Tension of irony is reinforced as an event that the opposite space of this world and afterlife escapes from this world occurs with the help of afterlife. Situational irony and dramatic irony have been found here and there in <With god>. Situational irony occurs where inherent prediction fails. Dramatic irony occurs where knowing and ignorance contradicts each other. Irony in <With god> raises question whether life in this world is righteous. This raises question whether our ignorance conceals brutal assault. This study sought to read the layers of various events in the <With god> with spatiality and irony.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symbolic meanings of the layers of various events in the <With god> with spatiality and irony makes the acts of creating one’s own reflection.

keywords
<신과 함께>, 이야기성, 공간성, 아이러니, 실천적 담론, <With god>, narrativity, spatiality, irony, practical discourse

참고문헌

1.

주호민, 『신과 함께』, 애니북스, 2015.(총 8권)

2.

강미선, 「웹툰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웹툰 「신과 함께」를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와 문화정책』 5권, 가톨릭대학교 문화비즈니스연구소, 2011, 89-115쪽.

3.

김대범, 「<신과 함께>의 체험 공간화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1,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7-22쪽.

4.

김용직, 『문학비평용어사전』, 탐구당, 1989.

5.

김정욱, 「전통문화 교육 자료로서 웹툰의 활용에 대한 고찰-<신과 함께>에 반영된저승관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61, 중앙어문학회, 2015, 171-200쪽.

6.

김진철, 「웹툰의 제주신화 수용 양상-『신과 함께』 <신화편>을 중심으로」, 『영주어문』 31, 영주어문학회, 2015, 37-62쪽.

7.

김진철, 「제주신화 <차사본풀이>의 문화콘텐츠 변용 양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8), 한국콘텐츠학회, 2015, 85-95쪽.

8.

김한식, 「폴 리쾨르의 이야기 해석학」, 『국어국문학』 146, 국어국문학회, 2007, 211-243쪽.

9.

류철균‧이지영, 「자기 재현적 웹툰의 주제 의식 연구」, 『대중서사연구』 19, 대중서사학회, 2013. 117-147쪽.

10.

류철균‧이지영, 「형성기 한국 웹툰의 장르적 특질 연구」, 『우리문학연구』 44, 우리문학회, 2014, 567-600쪽.

11.

박기수, 「웹툰 스토리텔링, 변별적 논의를 위한 몇 가지 전제」, 『애니메이션연구』11,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44-64쪽.

12.

박인하, 「한국 웹툰의 변별적 특성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1,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82-97쪽.

13.

소인호, 「저승체험담의 서사문학적 전개-초기소설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7, 우리문학회, 2009, 103-130쪽.

14.

안소라‧이원석, 「카툰의 서사 연구-S.채트먼의 『이야기와 담론』 이론의 서사의 전제조건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3,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223-246쪽.

15.

오세정, 「한국 신화의 타계(他界: the other world) 연구-수평적 방위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5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1, 317- 335쪽.

16.

윤영석, 「한국 서브컬처 콘텐츠에서 한국 신화에 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41,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553-578쪽.

17.

이용욱, 「디지털 서사 자질 연구-편집, 편집적 사고, 편집자」, 『국어국문학』 158, 국어국문학회, 2011, 335-362쪽.

18.

이용욱, 「디지털서사체의 미학적 구조(4)-웹툰의 아이러니 서사전략」, 『비평문학』34, 한국비평문학회, 2009, 213-233쪽.

19.

이정국, 「영화에서 아이러니의 종류와 그 활용 실례」, 『영화연구』 22, 한국영화학회, 2003, 197-238쪽.

20.

임학순 외, 『문화농촌‧창조농촌』, 북코리아, 2015.

21.

최수영‧이남희, 「한국과 일본의 문화콘텐츠에 나타난 저승신화 연구-바리데기와 이자나기이자나미 신화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39, 인문콘텐츠학회, 2015, 187-211쪽.

22.

황인순, 「본풀이적 세계관의 현대적 변용 연구-웹툰 <신과 함께>와 <차사본풀이>의 비교를 통해」, 『서강인문논총』 44,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353-384쪽.

23.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변학수‧백설자‧채연숙 역,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3.

24.

에드워트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역, 논형, 2005.

25.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구동회‧심승희 역, 대윤, 1999.

26.

조셉 캠벨, 『신화의 이미지』, 홍윤희 역, 살림, 2006.

27.

팀 크레스웰, 『장소』, 심승희 역, 시그마프레스, 2012.

28.

D. C. 뮈케, 『아이러니』, 문상득 역,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