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일상ㆍ노동ㆍ생애와 ‘성찰’의 힘, 대화의 공감 동력 - <미생>이 던진 질문과 희망

Everyday lifeㆍLaborㆍLifetime and Power of Reflection, Sympathetic Power of Communication - Question and Hope that are cast from Misaeng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6, v.22 no.4, pp.235-278
https://doi.org/10.18856/jpn.2016.22.4.007
최기숙 (연세대학교)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 how it is possible to reflect and realize one’s value of life in daily life, field of labor and the whole lifetime through analyzing Misaeng which is created by Yun Tae-ho, a series of comic books that were originated from Webtoons and released as TV drama. Every episode of Miseing is represented characters’s reflective monologue and dialogue, and cognitive senses. The main character, Jang Geu-rae’s monologue realizes the philosophy of observation and gaze toward the world and society,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and himself. The most influential reflective devices are represented as characters’ observation and experience in the everyday life and working field. They get some inspiration from their life fieldS and solutions about their own problems. They decipher the affective signs from their lives and repositioned them into their ‘sustainable reflective assets’. Jang Geu-rae constantly communicates and acts with his colleagues with responsibility, moral sense, and authentic attitude. These attitude leads inter-dependence between colleagues and makes it possible to lead their symbiotic relationships. The detailed ways of representing reflectivity of Misaeng are not only general rhetorics of narrative as like dialogue, monologue and narration, but also mixed composition between image and dialogue, visualization of speech, parody and overlapping of meaning, symbolization, etc.

keywords
Misaeng, comics, Yun Tae-ho, television drama, reflectivity, Neo-liberalism, dialogue, monologue, symbiosis, responsibility, change of sense, 미생, 만화, 윤태호, 텔레비전 드라마, 성찰성, 신자유주의, 대화, 독백, 상생, 책임, 감각 전환

참고문헌

1.

윤태호, 『미생』 1~9권, 위즈덤하우스, 2012~2013.

2.

윤태호, 『이끼』 1~4권, 재미주의, 2014.

3.

윤태호, 『파인』 1~4권, 재미주의, 2014.

4.

윤태호ㆍ에이코믹스, 『미생 메이킹 스토리』, 위즈덤하우스, 2015.

5.

tvN 드라마 <미생>, 김원석 연출, 정윤정 극본, 2014.10.17~12.20.

6.

히로카네 켄시(弘兼憲史), 『시마 과장』 1~17권, 서울문화사, 1996~2001.

7.

강영안, 『타인의 얼굴: 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2005, 1-333쪽.

8.

고동균, 「출판만화에서 웹툰으로의 편집 변환 연구: 칸의 구조 변환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9.

권경민, 「웹코믹스의 메타표현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16집,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211-221쪽.

10.

김명신, 「TV드라마 <미생>의 공간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1.

김미라, 「웹툰 미생(未生)의 성공요인 분석: 로만 야콥슨(Roman Jakobson)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바둑학연구』11권 2호, 한국바둑학회, 2014, 93-105쪽.

12.

김수환, 「웹툰 <미생>이 말하는 것과 말할 수 있는 것들: 우리 시대의 노동, 공동체그리고 성장」, 『안과밖』35호, 영미문학연구회, 2013, 201-231쪽.

13.

김은영, 「미디어 콘텐츠의 재매개와 디지털 서사의 변주: 『미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4.

나은희, 「드라마 <미생>의 서사, 신화 및 의미구조: <미생>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5.

박상선, 「tvN <미생> 속 감정구조 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6.

박찬주, 「청년세대의 노동현실에 대한 의미생산과 해석적 위치: 드라마 <미생>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7.

방희경ㆍ유수미, 「한국언론과 세대론 전쟁」, 『한국언론학보』59권 2호, 한국언론학회, 2015, 37-61쪽.

18.

서성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 <미생>의 가능성과 한계」, 『어문학』128, 한국어문학회, 2015, 277-308쪽.

19.

신형호ㆍ김준교, 「3D 애니메이션에서 희로애락 표현방식의 차별성: 스타워즈와 스머프 영화 사례를 통해 비교」, 『일러스트레이션 포름』33집,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 2012, 17-26쪽.

20.

안젤라 리 스미스ㆍ노재민, 「고급 한국어 교과과정에서의 사회어문화적 능력 함양방안: 드라마 <미생> 활용」, 『언어와문화』12권 2호,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6, 113-142쪽.

21.

안진아, 「드라마 <미생>을 통해 본 미생(未生)이 아닌 ‘미생’(美生)으로 세상보기」, 『이제 여기 그 너머』3호, 이제 여기 그 너머, 2015, 172-176쪽.

22.

양승국, 「드라마에서 언어와 이미지의 구조와 작동원리: 텔레비전드라마 「미생」(2014)을 중심으로」, 『인문논총』73권 2호,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2016, 13-37쪽.

23.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어휘 연습』중급, 연세대출판부, 2011.

24.

윤장원, 「만화캐릭터의 표정과 독자 인지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4권 2호, 한국콘텐츠학회, 2006, 227-231쪽.

25.

이병준ㆍ이경아, 「신입사원의 문화인지 발달에 관한 문화기호학적 연구 -드라마 <미생>의 서사를 중심으로」, 『기호학연구』43, 한국기호학회, 2015, 192-226쪽.

26.

이승연, 「웹툰이 재현하는 청년세대와 청년문제에 관한 연구: 웹툰 <당신과 당신의도서관>, <목욕의 신>, <무한동력>, <미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7.

이윤영, 「윤태호 만화 연구: 『YAHOO』, 『이끼』, 『미생』의 분석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8.

전광실, 「만화적 텍스트 차용에 따른 감성 표현의 커뮤니케이션 특징 분석」, 『디지털디자인학연구』15권 4호,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173-182쪽.

29.

정일형, 「<미생>을 통해 본 비주얼 구성요소의 공간에 관한 연구」, 『언론학연구』19권 1호,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5, 281-307쪽.

30.

최기숙, 「혜환(惠寰)ㆍ무명자(無名子)ㆍ항해(沆瀣)의 비평적 글쓰기를 통해 본 ‘인(人)-문(文)’의 경계와 글쓰기의 형이상학」, 『동방학지』155집, 연세대학교국학연구원, 2011, 177-219쪽

31.

최기숙, 「신자유주의와 마음의 고고학-향수를 넘어서 성찰로, 잃어버린 마음/행동/태도에 대한 책임의 인문학」, 『동방학지』167호,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245-284쪽.

32.

최기숙, 「고통의 감수성과 희망의 윤리: 한국 현대문화와 고전/역사의 유비적 대응과 성찰적 탐색」, 『민족문학사연구』59호, 민족문학사학회, 2015, 497-527쪽.

33.

최기숙, 「계몽의 이면, 무시와 혐오의 감성 정치: 『한성신보』(1895-1904) 잡보란을통해 본 ‘조선’의 표상화 맥락과 감정 수사」『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31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5, 5-45쪽.

34.

최기숙, 「지속 가능한 ‘감성-성찰’ 자원 구축을 위한 한국 ‘고전/전통’ 자원의 재맥락화」, 『동방학지』175집,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25-55쪽.

35.

최영귀ㆍ염동철, 「애니메이션에서 선을 활용한 캐릭터의 감정표현 연구」, 『한국애니메이션연구』8권 3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2, 101-118쪽.

36.

한금윤, 「대학생의 연애, 결혼에 대한 의식과 문화연구: 언론 보도와 대학생의 ‘자기서사’ 쓰기의 간극을 중심으로」, 『인간연구』28호,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15, 7-29쪽.

37.

한병철, 『피로사회』, 김태환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2.

38.

한혜영ㆍ김명숙ㆍ오경수, 「TV 매체를 통한 일상학습의 의미탐색: 드라마 <미생> 시청자들의 댓글을 중심으로」,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한국성인교육학회, 2015, 105-130쪽.

39.

앤드류 포터, 『진정성이라는 거짓말』, 노시내 옮김, 마티, 2016.

40.

프랑코 베라르디 ‘비포’, 『노동하는 영혼: 소외에서 자율로』, 서창현 옮김, 갈무리, 2012.

41.

프랑코 베라르디, 『프레카리아트를 위한 랩소디』, 정유리 옮김, 난장, 2013.

42.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이진우ㆍ태정호 옮김, 한길사, 1996.

43.

페터 뷔르거, 「文藝學에서의 반영 개념의 역할」, G. 루카치 외, 『리얼리즘 美學의기초이론』, 이춘길 편역, 한길사, 1985, 145-178쪽.

44.

리차드 세넷, 『신자유주의와 인간성의 파괴」, 조용 옮김, 문예출판사, 2002.

45.

Richard Se, 『투게더』, 김병화 옮김, 현암사, 2013.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