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웹툰 연구의 현황과 전망-인문사회영역을 중심으로

Study on Korean Webtoon Research- Focusing on the Hunanities and Social Area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7, v.23 no.1, pp.34-63
https://doi.org/10.18856/jpn.2017.23.1.002
안상원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 aspects of Korean Webtoon Studies and find the points that emerge for humanities and social communities. Webtoon platforms have changed, and webtoon stories and storytelling strategies have advanced, so studies on them need to be more complex. Summaries of webtoon studies are provided to characterized the diverse nature of the research. Topics include using webtoons for educational purposes, comparing Korean webtoons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specific points about webtoons readers (consumers), topics and themes of webtoons, and copyright and legal activities related to making webtoons. The discussion also covers teaching how to read webtoons, topics and themes of webtoons, and the too concentrated studies of webtoons(special creators, works). Thus, this study makes two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researchers should locate more special creators' and their works(webtoons) so that more studies can be published. ; second, researchers should consider 'mania' readers-what they wish to read in the texts. In conclusion,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points : in previous studies. Thus, other researchers can find more points to address through this study. However, some effective approaches and points of view, such as 'remediation' have not been covered in existing research. Such points may be addressed in future studies.

keywords
웹툰, 웹툰 연구, 인문사회 영역 웹툰 연구, 웹툰 연구 제안점, webtoons, webtoons studies, liberal arts studies about webtoons, proposal on webtoons studies

참고문헌

1.

강풀(강도영), <순정만화>, 2008.

2.

강풀(강도영), <타이밍>, 2005.

3.

강풀(강도영), <26년>, 2006.

4.

겸디각(이자혜), <미지의 세계>, 2014-2016.

5.

곽백수, <신 트라우마(馬)>, 2014.

6.

곽백수, <가우스 임파서블>1, 2, 2015-2016.

7.

곽백수, <속편한 신입사원>, 2016.

8.

김양수, <풍요로운 생활의 발견>, 2016.

9.

무적핑크(변지민), <조선왕조실톡>, 2014-2017.

10.

순끼, <치즈 인 더 트랩>, 2010-2017.

11.

스튜디오 케러멜(오현동, 이주희), <상처공감 다이어리>, 2014.

12.

윤태호, <미생>, 2012-2016.

13.

이상신, 국중록, <워킹 히어로>, 2015.

14.

주호민, <신과 함께>, 2016.

15.

천계영, <좋아하면 울리는>, 2014-2017.

16.

김건형, 「웹툰 플랫폼의 공동독서와 그 정치미학적 가능성」, 『대중서사연구』 제22권 3호, 대중서사학회, 2016, 119-169쪽.

17.

김대범, 「웹툰 『조선왕조실톡』의 역사소재 활용방식」, 『열상고전연구』 49권, 열상고전연구회, 2016, 195-237쪽.

18.

김수환, 「문화비평: 웹툰 「미생」이 말하는 것과 말할 수 있는 것들: 우리 시대의 노동, 공동체 그리고 성장」, 『안과 밖』 35권, 영미문학연구회, 2013, 201-231쪽.

19.

김수환, 「웹툰에 나타난 세대의 감성구조— 잉여에서 병맛까지」, 『탈경계 인문학』 4권 2호,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1, 101-123쪽.

20.

김용희, 「웹툰의 영화화 과정에서 나타난 매체전환 변이점 연구- 강풀의 웹툰 「이웃사람」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24권 1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6, 143-171쪽.

21.

김진철, 「웹툰의 제주신화 수용 양상- 『신과 함께』< 신화편 >을 중심으로-」, 『영주어문』 31권, 영주어문학회, 2015, 37-62쪽.

22.

김홍중, 「청년 여성 프레카리아트의 얼굴」, 『한국문화연구』 30권,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6, 31-66쪽.

23.

류철균 ‧ 이지영, 「형성기 한국 웹툰의 장르적 특질 연구」, 『우리문학연구』 44호, 우리문학회, 567-600쪽.

24.

박인하, 「한국 웹툰의 변별적 특성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1권 3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82-97쪽.

25.

서성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 <미생>의 가능성과 한계」, 『어문학』 128호, 한국어문학회, 2015, 277-308쪽.

26.

안상원‧ 김혜빈,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의 기억 회상과 시청자의 수용욕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권 9호, 한국콘텐츠학회, 2016, 679-693쪽.

27.

오혜진, 「예술(장)의 민주주의와 포스트페미니즘- <미지의 세계> 사태와 “OO계_내_성폭력” 해시태그 운동, 반동의 시대와 성전쟁」, 『2017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INAKOS) 워크숍 발표자료』, 성균관대 비교문화연구소, 2017.2.10 (별지)

28.

이병희, 『우리나라 정부 부처 웹툰 현황분석과 NTIS 웹툰 전략방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1.

29.

이상민, 「『신과 함께』에 나타난 공간성과 아이러니 연구」, 『대중서사연구』 22권 3호, 대중서사학회, 2016, 307-337쪽.

30.

이승진, 「웹툰 원작활용의 가치측정 연구: ‘웹툰 연계지수’ 개발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1.

이지예, 「웹툰의 간접광고효과에 대한 연구: 브랜드 친숙도와 배치 형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2.

정규하 ‧ 윤기현, 「웹툰에 나타난 새로운 표현형식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17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5-19쪽.

33.

정현선, 「인터넷 언어 문화 교육 내용으로서 디지털 서사의 개념, 특성, 유형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30권, 국어교육학회, 2007, 431-470쪽.

34.

최믿음, 「웹툰 이용자의 이종미디어 콘텐츠 연계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5.

한상정, 「한국 웹툰의 연출문법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1권 3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19-136쪽.

36.

한혜원‧ 김유나, 「한국 웹콘텐츠의 동향 및 유형 연구」, 『이화어문논집』 35권, 2015, 31-52쪽.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