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유동하는 웹, 확장하는 드라마

Liquid Web, Expanding Drama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7, v.23 no.1, pp.9-32
https://doi.org/10.18856/jpn.2017.23.1.001
송치혁 (고려대학교)

Abstract

The territory of “drama” has broadened since the creation of web services. Television dramas have also attempted to shift to the form used by web dramas, as many other styles of art have don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how web services have tried to corner the drama market based on the strength and size of their user base. The purpose of Korean web dramas is to deliver new kinds of entertainment to people while dealing with themes that have not been considered before and making use of the conventional features of traditional TV drama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with viewers and the media hierarchy, but it is apparent that the discussion can be oversimplified if web dramas are simply regarded as an extension of TV dramas. This is why it is important to look at how dramas are constantly changing and expanding, while “dramas” are also being mixed with other new media. While a new phenomenon is being created in the clashing between the producers’ intentions and the users’ desires, the status of the changing modern media field is not controlled by the complex systems in place. “drama” as an art form seems to be expanding by itself, constantly floating the complex web. The web drama <DramaWorld> shows us how the circumstances of TV dramas have changed and become quite different to the way they are perceived by conventional media when they are produced through the web. This aspect is clearly highlighted in web contents involving games. It can be assumed that web contents in the style of “drama” are made and consumed in an attempt to shift away from the conventional style of TV dramas. In this regard, dramas expanding onto the web can be a meaningful reference point that provides insight into how to imagine and explore the role of modern society and the individual in it.

keywords
Webdrama, web, Broadcasting on One person, <Dramaworld>, webcontents, 웹드라마, 웹, 1인방송, <드라마월드>, 웹콘텐츠

참고문헌

1.

권만우·이상호, 「방송의 보완적 서비스인가 파괴적 혁신인가?」, 『방송문화연구』 27-1, KBS 방송문화연구소, 2016, 9-37쪽.

2.

김미라·장윤재, 「웹드라마 콘텐츠의 제작 및 서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9-5, 한국언론학회, 2015, 298-327쪽.

3.

김상철·김광호, 「마이리틀 텔레비전 시청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7-1,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6, 1-10쪽.

4.

김수정, 「웹드라마 ‘간서치 열전’의 내러티브 및 캐릭터 특징 고찰」,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5-1,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111-122쪽.

5.

김은영, 「웹툰 「미생」의 재매개 과정에서 나타난 디지털 서사의 변주」, 『미디어, 젠더 & 문화』 31-2, 한국영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45-80쪽.

6.

미디어산업 진흥부, 「웹드라마, 한국형 동영상 콘텐츠로 부상하나」,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발간자료, 2014.

7.

박명진, 「타임머신/시간여행 모티브 드라마에 나타난 자기 계발 이데올로기」, 『한국극예술연구』 47, 한국극예술연구회, 2015, 261-294쪽.

8.

박수철·반옥숙·박주연, 「웹드라마의 이용동기가 만족도와 이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사회와 미디어』 16-2, 한국정보사회학회, 2015, 47-70쪽.

9.

송진·이영주, 「웹 기반 동영상 콘텐츠 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자 속성, 이용특성, 미디어 이용과 장르 선호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3-2,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43-85쪽.

10.

이진, 「한국 웹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양상」, 『인문콘텐츠』 38, 인문콘텐츠학회, 2015, 241-260쪽.

11.

임종수, 「TV, 일상으로 들어오다」, 『문화과학』 48, 문화과학사, 2006, 273-289쪽.

12.

정윤경, 「웹 드라마의 선택 요인과 소비 집중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28-1, KBS 방송문화연구소, 2016, 53-85쪽.

13.

레이먼드 윌리엄스, 『텔레비전론』, 박효숙 옮김, 현대미학사, 1996.

14.

마틴 에슬린, 『극마당: 기호로 본 극』, 김문환·김윤철 옮김, 현대미학사, 1993.

15.

B.아스무트, 『드라마 분석론』, 송전 옮김, 서문당, 2000.

16.

아즈마 히로키, 『일반의지 2.0』, 안천 옮김, 현실문화, 2012.

17.

아즈마 히로키,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이은미 옮김, 문학동네, 2007.

18.

요한 하위징아, 『호모 루덴스』, 김윤수 옮김, 까치, 1981.

19.

JOH&Company 편집부, 『넷플릭스』, JOH&Company, 2016.

20.

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분석팀, 「2016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21.

Routledge edit, The Routledge Reader in Politics and Performance, Routledge, 2000.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