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상상된’ 탐정과 ‘정탐되는’ 식민도시의 민낯-김내성의 장편소설 <마인>을 중심으로

'Imagined' Detective and the Original faces of colonial cities- Focusing on Kim Nae-seong's Novel Ma-In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7, v.23 no.4, pp.45-91
https://doi.org/10.18856/jpn.2017.23.4.002
김희경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colonial city ‘Gyeongseong’ and the ‘Detective’ in Kim Nae-seong’s novel Ma-in -which was published in 1939. The most important thing to understand about the literary worlds of Kim Nae-seong is 'space', especially Nae-seong's cities. In general, studies about Nae-seong's urban spaces focus on the fact that the cities shown his novels are no different from the cities in 'modern' Western detective novels, and the studies point out that this aspect is an uncritical 'imitation or transplantation' of exotic frameworks. However, cities that is shaped by Kim Nae-seong are characterized as real spaces of Gyeongseong and 'modernized' specific places, and then function as a space to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nial city'.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constituting the word 'detective, and focuses on the features that this word has double meanings ('a subject of 'intellectual reasoning'' and 'informant'). These features have possibility that detective can be read as a problematic figure who may strengthen or disturb the order of Imperial Japan. At this point, detectives as original meaning (in Western detective novels) couldn't be existed in the colonial city Gyeongseong, so the existence of detective was 'imagined'. Kim Nae-seong investigate the crimes in Gyeongseong with eyes of 'imagined' detective, and through this, the 'original face' of colonial city appears in his works. Colonial separation can be considered by examining the chase scene in Ma-in, and through the examination, one can 'restore' the Gyeongseong in regards to 'imagined geography'. However, the 'imagined' detective in Joseon seems to suffer the fate of 'disappearing'. The 'spy or anti-espionage' narrative appearing in Nae-seong's later novels shows that dual characteristics of detective are eventually converged into the order of Imperial Japan. That used to answer the author's question concerning Ma-in: the existence of an intelligent and objective 'subject' who can 'detect' Imperial Japan in Joseon possible.

keywords
김내성, 마인, 탐정소설, (상상된) 탐정, 심상지리, 식민지 공간 분할, Kim Nae-seong, Ma-in, detective novel, (imagined) detective, imagined geography, colonial separation

참고문헌

1.

김내성, 『마인』, 페이퍼하우스, 2009.

2.

김내성, 『연문기담』, 페이퍼하우스, 2010.

3.

김백영, 『지배와 공간: 식민지도시 경성과 제국 일본』, 문학과지성사, 2009.

4.

김성연, 「방첩소설, 조선의 총동원체제와 ‘국민오락’의 조건: 김내성의 『매국노』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논총』 제37호,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217-239쪽.

5.

김영욱, 「김내성의 『탐정소설가의 살인』에 대한 기호학적 서사 분석」, 『한국학연구』 제24집,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337-378쪽.

6.

김주리, 「탈식민주의의 관점에서 본 김래성의 <마인>」, 『한국문예비평연구』 제23권,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7, 181-210쪽.

7.

대중문화연구회편,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997.

8.

대중서사장르연구회 편,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이론과실천, 2011.

9.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문화지리와 도시공간의 표상』,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1.

10.

류수연, 「신문, 도시, 그리고 탐정소설: 김내성의 『마인(魔人)』 연구」, 『상허학보』 제40집, 상허학회, 2014, 81-112쪽.

11.

방민호 편, 『박태원 문학 연구의 재인식』, 예옥, 2010.

12.

백철, 「1933년도 朝鮮文壇의 展望」, 『東光』, 1933.1, 70-71쪽.

13.

백철, 『조선신문학사조사: 현대편』, 백양당, 1949.

14.

신성환, 「김내성 번안 추리소설에 나타난 공간의식 연구: 아서 코난 도일의 원작 속 공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批評文學』 제44호, 韓國批評文學會, 2012, 259-298쪽.

15.

야마무로 신이치, 『키메라: 만주국의 초상』, 윤대석 역, 소명출판, 2009.

16.

에르네스트 만넬, 『즐거운 살인』, 이동연 역, 이후, 2001.

17.

유재진·이현진·박선양 편, 『경성의 일본어 탐정소설: 탐정 취미』, 문, 2012.

18.

윤대석, 「경성의 공간분할과 정신분열」, 『국어국문학』 제144호, 국어국문학회, 2006, 91-112쪽.

19.

이영미 외, 『김내성 연구』, 소명출판, 2011.

20.

전봉관, 「《마인》속 경성과 경성 문화」, 『판타스틱: 김내성 100주년 특집』, 페이퍼하우스, 2009 봄호, 210-229쪽.

21.

정세영, 「김내성 소설론」,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22.

정종현, 「‘大東亞’와 스파이: 김내성 장편소설 「태풍」을 통해 본 ‘대동아’의 심상지리와 ‘조선’」, 『대중서사연구』 제22호, 대중서사학회, 2009, 211-247쪽.

23.

정종현, 「“해방전후” 김내성 스파이-탐정 서사의 연속과 비연속: <태풍>과 ≪청춘극장≫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제42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457-508쪽.

24.

정창석, 『만들어진 신의 나라: 천황제와 침략 전쟁의 심상지리』, 이학사, 2014.

25.

정혜영, 「번역과 번안 간의 거리」, 『현대소설연구』 제44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405-433쪽.

26.

정혜영, 「제국과 식민지, 그리고 탐정문학: 김내성의 <태풍>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제30집, 한국현대문학회, 2010, 201-225쪽.

27.

정혜영, 『탐정문학의 영역: 식민지기의 환상과 현실』, 역락, 2011.

28.

조성면, 「한국 근대 탐정소설 연구: 김내성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29.

조성면 편, 『한국 근대대중소설 비평론』, 태학사, 1997.

30.

조윤정, 「이태준 문학의 심상지리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31.

차선일, 「한국 근대 탐정소설의 한 연구」, 『국제한인문학연구』 제14호, 국제한인문학회, 2014, 181-207쪽.

32.

최애순, 『조선의 탐정을 탐정하다』, 소명출판, 2011.

33.

최원식, 『한국근대소설사론』, 창작과비평사, 1994.

34.

홍윤표, 「탐정소설과 식민지적 아이덴티티: 김내성의 일본어 소설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제23집,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197-220쪽.

35.

「祕密探偵局」, 『삼천리』, 1932.9, 131쪽.

36.

P探偵, 「서울探偵局 內幕探偵記」, 『삼천리』, 1941.3, 42쪽.

37.

「백일청천하 폭로된 사설 탐정소 흑막」, 『중외일보』, 1929.3.13.

38.

「신어해설」, 『동아일보』, 1931.2.9.

39.

「에로·그로·넌센스-亂舞한諸尖端相(1)」, 『조선일보』, 1931.1.2.

40.

片石村, 「尖端的 流行語」, 『조선일보』, 1931.1.4.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