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취향의 공동체와 소녀들의 멜로드라마—잡지 <여학생> 소설 연구

The Community of Taste and Girl's Melodrama—A Study on the Novel in Girl Student (Ryeohakseng)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1, pp.229-257
https://doi.org/10.18856/jpn.2018.24.1.007
김양선 (한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thesis analyzed the serial novels and short stories in the magazine Girl Student, which crossed the generational and gender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culture in the 1960s~1970s. The purpose was to extract the common interests and sensibilities of girls and to ultimately signify their collective identity of the middle of the 1960's.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novels are defined as gendered 'community of taste' and 'girl's pure melodrama'. In 'community of taste-western classical literature, popular culture, and girl's club', I noticed that the girls have appropriated common tastes and sensibilities from popular culture such as that ranging from movies and popular songs to western classical novels and music, from pure romantic feelings to existential anguish. They practiced the required moral soundness but also enjoyed their peer group's culture. In 'girl's 'pure' melodrama-pure love and friendship', I saw that the novels ended well that the girls who wanted to escape from their defective family, became enlightened by dramatic events, overcame puberty, and returned to the institution of school and famil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melodramatic element that induced dramatic and emotional excess such as the secret of birth, the abuse of family or siblings, accidental encounters or accidents, romantic love, or forbidden love. That is, it had the characteristics of 'pure' melodrama that combined popularity and enlightenment. The readers of Girl Student could acquire the daily cultures and the cultures of their peer group, the importance of friendship and solidarity beyond love and passion, jealousy and envy between men and women. So they could form a community of emotions. In conclusion, Girl Student reproduced the education and norms for the teenage women through the euphemistic device of the novel. This can be evaluated as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Girl Student,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women's magazines or gender-neutral magazines for teenagers.

keywords
girl student, teenage girl, literature-culture, community of taste, western classical novel, girl's club, pure melodrama, love, friendship, <여학생>, 청소녀, 문학-교양, 취향의 공동체, 서양명작소설, 소녀클럽, 건전한 멜로드라마, 연애, 우정

참고문헌

1.

여학생 , 1965.12∼1972.12.

2.

구혜영, 불타는 신록 , 성바오로출판사, 1973.

3.

김지연, 사슴의 마을 , 청목사, 1987.

4.

손소희, 별이 빛나는 성 , 휘경출판공사, 1979.

5.

안호문, 무지개의 고향 , 평화문화사, 1971.

6.

양인자, 네가 잊었던 강가의 새벽 , 신여원, 1979.

7.

유현종, 초원의 길 , 여학생사, 1981.

8.

이청준, 백조의 춤 , 여학생사, 1980.

9.

권보드래,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 동국대출판부, 2009.

10.

권보드래․천정환, 1960년을 묻다-박정희 시대의 문화정치와 지성 , 천년의 상상, 2012.

11.

김양선,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문학제도와 양식 , 소명출판, 2012.

12.

김양선, 「1960년대 여성의 문학․교양 형성의 세대적 특성: 잡지 여학생 의 문학란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제61집,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27-49쪽.

13.

김윤경, 「해방 후 여학생 연구-잡지 여학생 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제47호, 한국비평문학회, 2013, 37-62쪽.

14.

나윤경, 「60∼70년대 개발국가 시대의 학생잡지를 통해서 본 10대 여학생 주체형성과 관련한 담론분석」,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6집,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8, 323-374쪽.

15.

박숙자, 「‘문학소녀’를 허하라—4․19 이후의 ‘문학/청년’의 문화정치학」, 대중서사연구 20호, 대중서사학회, 2014, 37-66쪽.

16.

서은영, 「‘순정’ 장르의 성립과 순정만화」, 대중서사연구 21권 3호, 대중서사학회, 2015, 147-177쪽.

17.

송은영, 「1960년대 여가 또는 레저 문화의 정치」, 한국학논집 51호,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3, 71-98쪽.

18.

안미영, 「1970년대 소녀 판타지의 한 기원-구혜영의 불타는 신록 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31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149-185쪽.

19.

오세란, 「한국 청소년 소설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0.

오세란, 「1960년대 독서 환경과 청소년 독자」, 아동청소년문학연구 12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회, 2013, 83-104쪽.

21.

이용희, 「1960∼70년대 베스트셀러 현상과 대학생의 독서문화」, 한국학연구 제41집,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43-76쪽.

22.

정미영, 「형성기의 청소년 소설연구-1950년대 <학원>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3.

정미지, 「1960년대 ‘문학소녀’ 표상과 독서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4.

천정환, 「처세, 교양, 실존—1960년대의 “자기계발”과 문학문화」, 민족문학사연구 40호, 민족문학사학회, 2009, 92-134쪽.

25.

천정환, 「교양의 재구성, 대중성의 재구성—박정희 군사독재 시대의 ‘교양’과 자유교양운동」, 한국현대문학연구 35호, 한국현대문학회, 2011, 281-315쪽.

26.

허 윤, 「1960년대 불량소녀의 지형학」, 대중서사연구 20호, 대중서사학회, 2014, 103-130쪽.

27.

홍성민, 취향의 정치학-피에르 부르디외의 구별짓기 읽기와 쓰기 , 현암사, 2015.

28.

벤 싱어, 멜로드라마와 모더니티 , 이위정 옮김, 문학동네, 2009.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