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토지>에 나타나는 ‘수치(Shame)’ 감정과 윤리적 가능성

Emotion of Shame and Its Ethical Possibility in the Novel Toji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2, pp.129-161
https://doi.org/10.18856/jpn.2018.24.2.005
김연숙 (경희대학교)

Abstract

Emotion is not simply what is given, but it is the experience in which the subject relates to the world. Previous discussions saw shame as be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The positive side is that shame allows a human being to pursue the better values through his or her self-examination. At the same time, since this examination and reflection are based on the negative awareness of self, they can be linked to a feeling of guilt, psychological suppression and the like. This awareness suggests that shame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subject’s self-identity.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haracters in Toji who suffer shame and to discuss the ethical meaning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ir struggles and their response to such struggles. First, when the individuals exclude others and remain in their own world of self-identity, they lose a sense of shame. They remain in a state of self-centered narcissism, and cannot explore ethical judgment and values. Second, the characters tend to link the sense of shame to self-pride. At this time, shame is not that of being inhibitory and negative, but rather, becomes an element in the exploration of identity. Characters in Toji took the experience of shame as an internalized other person to stand firm in being a human. Third, characters showed shame from their sympathy with others. Individuals establish themselves as members of the community through a sense of shame. Fourth, characters developed a sense of shame from being conscious of others into self-examination. This self-examination did not lead to an active determination to change the external reality. However, a sense of shame served as an ontological emotion to recognize one’s passivity,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humans. This analysis revealed that shame was a factor that made it possible to construct a self-identity and to explore the communal emotional ability. Shame shown in Toji served as the way of reporting the signs of losing humanity, and as a mechanism of recovering humanity. This is the ethical possibility that shame in Toji can construct.

keywords
Toji, shame, emotion, self-reflection, sympathy, ethics, community, <토지>, 수치, 감정, 자기성찰, 공감, 윤리, 공동체

참고문헌

1.

박경리, 토지 (1-20권), 마로니에북스, 2012.

2.

김수연, 「정의, 폭력, 공동체 : 이해할 수 없는 정의와 윤리—J. M. 쿳시의 수치 」, 안과밖 30권, 영미문학연구회, 2011, 93-116쪽.

3.

김영미·이명호, 「수치 감정의 프레임으로 본 쿳시의 치욕 」, 영미연구 제36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6, 3-26쪽.

4.

김은경, 「박경리 토지 에 나타난 “굴절(屈折)”의 원리와 인물 정체성의 문제」, 민족문학사연구 35호, 민족문학사학회, 2007, 306-338쪽.

5.

박경순, 「수치심과 나르시즘의 정신분석적 이해」, 한국심리치료학회지 3권 1호, 한국심리치료학회, 2011, 57-63쪽.

6.

박상민,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악의 상징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7.

박상민, 「박경리 토지 에 나타난 윤리적·종교적 존재로서의 인간 이해」, 인간연구 제23호,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12, 55-79쪽.

8.

박상민, 「박경리 토지 연구의 통시적 고찰」, 한국근대문학연구 제31호, 한국근대문학회, 2015, 271-319쪽.

9.

서길완, 「프리모 레비의 자살과 현대적 의미」, 비평과 이론 제16권 2호, 한국비평이론학회, 2011, 55-76쪽.

10.

서길완, 「버지니아 울프의 「새 드레스」와 자전적인 글에서 나타나는 수치심에 대한 주제반복의 의미」, 문학치료연구 제38집,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201-232쪽.

11.

서현주, 「박경리의 토지 에 나타난 타자 인식 연구」, 국제한인문학연구 제9호, 국제한인문학회, 2012, 57-86쪽.

12.

오영숙, 「1960년대 한국영화와 수치심」, 영화연구 제69호, 한국영화학회, 2016, 67-98쪽.

13.

이명호, 「아우슈비츠의 수치—프리모 레비의 증언집을 중심으로」, 비평과 이론 제16권 2호, 한국비평이론학회, 2011, 155-177쪽.

14.

이명호, 「문화연구의 감정론적 전환을 위하여—느낌의 구조와 정동경제론 검토」, 비평과 이론 제20권 1호, 한국비평이론학회, 2015, 113-139쪽.

15.

이상진, 「운명의 패러독스, 박경리 소설의 비극적 인간상」, 현대소설연구 제56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4, 373-408쪽.

16.

이상진, 「예외를 보는 시선과 더블—박경리 소설의 결손 인물」, 여성문학연구 35권,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351-382쪽.

17.

이소영, 「프리모 레비의 증언 문학 연구— 이것이 인간인가 와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를 중심으로」, 이탈리아어문학 40권,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13, 167-186쪽.

18.

이소영, 「수치의 아이러니: 프리모 레비와 카프카」, 이탈리아어문학 51권,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17, 123-149쪽.

19.

이승윤, 「 토지 의 서사 전개 양상과 소설 작법」, 대중서사연구 제24권 1호, 대중서사학회, 2018, 417-447쪽.

20.

이양숙, 「메트로폴리스의 시공간과 청년의 감정—21세기 초 도시청년의 감정구조」, 외국문학연구 제62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91-116쪽.

21.

이재복, 「박경리의 토지 에 나타난 숭고미」, 우리말 글 제59집, 우리말글학회, 2013, 363-396쪽.

22.

임지연, 「김종삼 시의 수치심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68집,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283-310쪽.

23.

전예진·방재석, 「 토지 의 여성이 겪는 트라우마와 공간 이동—서희와 봉순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70권,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409-432쪽.

24.

정미라, 「“회복적 정의”의 실현으로서 “수치의 공적 사용”의 정당성 문제」, 대한철학회 2017년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 대한철학회, 2017, 70-72쪽.

25.

정은영·신희천, 「수치심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자기수용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5권 1호, 한국상담학회, 2014, 183-194쪽.

26.

정준영, 「 일리아스 에서 영웅적 자아의 aidōs와 행위패턴」, 서양고전학연구 제33권, 한국서양고전학회, 2008, 5-44쪽.

27.

진은영·김경희, 「유교적 수치심의 관점에서 본 윤동주의 시 세계」, 한국시학연구 제52호, 한국시학회, 2017, 299-326쪽.

28.

허라금, 「수치, 그 공적 사용의 정당성과 한계」, 대한철학회 2017년 춘계학술대회발표집 , 대한철학회, 2017, 57-69쪽.

29.

김윤식·정호웅, 한국소설사 , 예하, 1993.

30.

임홍빈, 수치심과 죄책감 , 바다출판사, 2013.

31.

마사 너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 조계원 옮김, 민음사, 2015.

32.

장폴 사르트르, 존재와 무 , 정소성 옮김, 동서문화사, 2009.

33.

애덤 스미스, 도덕감정론 , 박세일 역, 비봉출판사, 2009.

34.

조르주 아감벤, 호모 사케르 , 박진우 옮김, 새물결, 2008.

35.

한나 아렌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 김선욱 옮김, 한길사, 2006.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