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1970년대 청년영화, 저항과 ‘공모’의 균열

Youth Films in the 1970s, the Rupture between Resistance and ‘Conspiracy’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2, pp.205-235
https://doi.org/10.18856/jpn.2018.24.2.007
손영님 (전남대학교)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double strategy and rupture between resistance and conspiracy of youth films produced under the formation of the ‘youth’ and restriction on the popular culture in the 1970s. The youth, with culture and educational background based on economic growth of the time, were designated as cultural subjects and regarded as the object of vigilance at the same time. Their behaviors in enjoying the cultural trends of the time were defined as ‘decadence’ by the State, which meant that the ‘youth’ or the popular youth culture was the target of crackdown. The State tried to form a new generation through the ‘youth’ mainstream. Meanwhile, in filmdom, youth rapidly appeared as the cultural subject and was regarded as film material and significant consumers. The film industry was recovering from depression and so the focus was directed towards the youth, while the film policy of the socio-political situation called Yusin System accelerated the depression in film business through their control over general film production. Given the circumstances, film-makers came to produce ‘youth films’ as a way to pander to the young consumer market. The niche market of youth films under the strict control of double-censorship implies that there was a certain ‘conspiracy’ between the State and stake-holders. That is, it can be said that youth films were the result of a rupture in which the desires of numerous interest groups competed under the double strategy of social criticism and acceptance of governmental demands. The young people depicted in youth films were the subject of not only deviant behavior, but also the ‘gaiety and soundness’ correspondent to governmental standards. That is, the gaiety of the young in youth films was to indirectly show their resistance against the restriction, connected with the intention of ‘conspiracy’.

keywords
1970년대, 대중문화, 청년 주조, 청년영화, 명랑성, 공모, 1970s, popular culture, mainstream of the youth, youth films, gaiety, conspiracy

참고문헌

1.

경향신문 ,

2.

동아일보 ,

3.

매일경제 ,

4.

세대 ,

5.

신동아 ,

6.

여성동아 ,

7.

일간스포츠 ,

8.

조선일보 ,

9.

한국일보 ,

10.

월간 영화 .

11.

국가재건회의, 「국민도의 재건 및 국민경제재건을 위한 지도이념과 실천요강」, 1961.

12.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대통령 비서실, 1970-1975).

13.

문화공보부, 「학원사태에 대해: 총화유신의 해 박정희 대통령 연두기자회견 전문 내용」, 문화공보부, 1974.

14.

박정희, 민족중흥의 길 , 광명출판사, 1978.

15.

<바보들의 행진>(하길종, 1975).

16.

권은선, 「1970년대 한국영화연구—생체정치, 질병, 히스테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7.

권현정, 「청년 ‘행위’의 정치성과 그 저항(불)가능성에 대하여—영화 <바보들의 행진>을 중심으로」, 코기토 81,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586-611쪽.

18.

김기란, 「청년/대항문화의 위상학적 공간으로서의 70년대 소극장운동 고찰」, 대중서사연구 22권 3호, 대중서사학회, 2016, 171-224쪽.

19.

김양미, 「담론 분석을 통해 본 세대문화론—청년문화론과 신세대론의 비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20.

김한상, 「박정희 정권기 가족사서의 균열과 저항—김수현의 멜로영화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15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09, 283-313쪽.

21.

박유희, 「박정희 정권기 영화검열과 감성 재현의 역학」, 역사비평 99, 역사비평사, 2012, 42-90쪽.

22.

영화진흥공사, 한국영화자료편람(초창기-1976) , 1977.

23.

영화진흥공사, 한국영화작품전집 1971-1985 , 1986.

24.

유선영, 「과민족화 프로젝트와 호스티스 영화」, 공제욱 엮음, 국가와 일상—박정희시대 , 한울, 2008, 332-398쪽.

25.

이기훈, 「청년, 근대의 표상—1920년대 ‘청년’담론의 형성과 변화」, 문화과학 37호, 문화과학사, 2004, 207-227쪽.

26.

이상록, 「박정희 체제의 ‘사회정화’담론과 청년문화」, 장문석·이상록 엮음, 근대의 경계에서 독재를 읽다 , 그린비, 2006, 335-376쪽.

27.

이선미, 「‘청년’ 연애학 개론의 정치성과 최인호 소설」, 대중서사연구 16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10, 79-112쪽.

28.

이하나, 국가와 영화—1950~60년대 ‘대한민국’의 문화재건과 영화 , 혜안, 2013.

29.

서중석, 「3선개헌반대, 민청학련투쟁, 반유신투쟁」, 역사비평 1, 역사문제연구소, 1988, 68-92쪽.

30.

송아름, 「두 개의 “별들의 고향”과 “청년문화”의 의도적 접속」, 인문논총 73권 2호,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123-155쪽.

31.

송은영, 「1960~1970년대 한국의 대중사회와 대중문화의 정치적 의미」, 상허학보 32집, 상허학회, 2011, 187-226쪽.

32.

조희연, 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5·16에서 10·26까지 , 역사비평사, 2007.

33.

주창윤, 「1970년대 청년문화 세대담론의 정치학」, 언론과 사회 14권 3호, 언론과사회, 2006, 73-104쪽.

34.

최은영, 「1970년대 대중소설의 ‘청년’ 표상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5.

한국영상자료원·부산국제영화제 기획, 하길종전집1—태를 위한 과거분사 백마타고 온 또또 , 한국영상자료원, 2009.

36.

허 수, 「1970년대 청년문화론」,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엮음, 논쟁으로 본 한국사회 100년 , 역사비평사, 2000, 318-324쪽.

37.

허 은, 「20세기 총력전하 한국인의 정체성과 식민지주의」, 한국사연구 150, 한국사연구회, 2010, 227-269쪽.

38.

홍혜정, 「1970년대 청년영화의 감각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9.

황병주,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근대화 담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40.

황혜진, 「1970년대 유신체제기의 한국영화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