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1990년대 문학지형과 여성문학 담론

Topography of Literature in the 1990s and the Discourse of Feminist Literature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2, pp.9-40
https://doi.org/10.18856/jpn.2018.24.2.001
서영인 (충남대학교)

Abstract

The aim of this essay is to demonstrate the features and meaning of discourse in feminist literature in the 1990s. This essay scrutinizes the features of discourse in feminist literature, specifically relating to the ‘literary criticism field’ which constructs literary discourse and exerts its public and social influences on the whole process of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literature. The topography of literature in the 1990s was one of change from the featuring of various subjects that was prevalent in the 1980s towards intellectual, male-centered literature. Feminist research and critic groups of the 1980s could not play a leading role in producing literary discourse in the 1990s. This meant that feminist literature, despite its emergence as a significant subject in the literature of the 1990s, was met with ‘exclusion’ and ‘separation’ in its entry to the field of literary criticism. Notwithstanding the appearance of some remarkable female writers, the discourse on feminist literature only repeated the logic of pre-existing gender separation or defined ‘feminity’ only as a counterpart of masculinity. Too much attention of literary criticism field on Shin, Kyeong-Sook and too much disregard from the field on Gong, Ji-Young shows the limitations of criticism of feminist literature in the 1990s in that it could not delve concretely into the reality of the women of the time. Through a critical approach on the discourse of feminist literature, this essay can reexamine the 1990s from a historical viewpoint and confirm the start point to perform the task of researching female subject assigned to the present Korean Literature.

keywords
여성문학담론, 문단문학, 문학지형, 신경숙, 공지영, discourse of feminist literature, circle-literature, topography of literature, Shin Kyeong-sook, Gong Ji-young

참고문헌

1.

민족문학작가회의 여성분과위원회, 여성운동과 문학 1, 실천문학사, 1988.

2.

민족문학작가회의 여성분과위원회, 여성운동과 문학 2, 풀빛, 1990.

3.

여성사 연구회, 여성 2호, 창작사, 1988.

4.

여성편집위원회, 여성 1호, 창작과비평사, 1985.

5.

신경숙, 풍금이 있던 자리 , 문학과지성사, 1993.

6.

공지영,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문예마당, 1993.

7.

그 외 문학동네 , 문학과 사회 , 실천문학 , 창작과 비평 등 90년대 문학잡지 다수.

8.

강미숙·김양선, 「90년대 여성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신경숙과 김인숙의 근작을 중심으로」, 여성과 사회 5호, 1994, 140-163쪽.

9.

김경연, 「87년 체제와 한국 여성문학의 변화」, 한국문학논총 제49집, 2008, 191-238쪽.

10.

김대성, 「제도의 해체와 확산, 그리고 문학의 정치」, 인문학연구 45집, 2011, 31-49쪽.

11.

김문주, 「1980년대 무크지 운동과 문학장의 변화」, 한국시학연구 31집, 2013, 83-104쪽.

12.

김양선, 「근대극복을 위한 여성문학의 논리」, 창작과 비평 , 1996년 겨울호, 136-154쪽.

13.

김양선, 「동일성과 차이의 젠더 정치학—1970·1980년대 진보적 민족문학론과 여성해방문학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11호, 2005, 154-181쪽.

14.

김은하, 「386세대 여성 후일담과 성/속의 통과제의—공지영과 김인숙의 소설을 대상으로」, 여성문학연구 23호, 2010, 43-78쪽.

15.

김은하, 「1980년대, 바리케이트 뒤편의 성(性)전쟁과 여성해방문학 운동」, 상허학보 51집, 2017, 15-45쪽.

16.

김은하 외, 「90년대 여성문학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여성과 사회 10호, 1999, 139-161쪽.

17.

박혜경, 「사인화된 세계 속에서 여성의 자기 정체성 찾기」, 문학동네 , 1996년 가을호, 1-19쪽.

18.

배하은, 「만들어진 내면성」, 한국현대문학연구 50집, 2016, 547-585쪽.

19.

백낙청, 「지구시대의 민족문학」, 통일시대 한국문학의 보람 , 창비, 2006, 31-69쪽.

20.

백낙청, 「 외딴방 이 묻는 것과 이룬 것」, 통일시대 한국문학의 보람 , 창비, 2006, 269-292쪽.

21.

서영채, 「냉소주의, 죽음, 매저키즘 : 90년대 소설에 대한 한 성찰—신경숙, 윤대녕, 장정일, 은희경의 소설을 중심으로」, 문학동네 , 1999년 겨울호, 406-445쪽.

22.

손유경, 「1980년대 학술운동과 문학운동의 교착(交錯/膠着)」, 상허학보 45호, 2015, 117-159쪽.

23.

손희정, 「페미니즘 리부트—한국영화를 통해 본 포스트페미니즘과 그 이후」, 페미니즘 리부트 , 나무연필, 2017, 47-88쪽.

24.

신승엽, 「성찰의 깊이와 기억의 섬세함」, 창작과 비평 , 1993년 겨울호, 92-109쪽.

25.

심진경, 「여성성, 육체, 여성적 시쓰기」, 실천문학 , 1999년 여름호, 61-86쪽.

26.

우찬제, 「타나토스/에로스/에코스」, 문학동네 , 1996년 가을호, 80-110쪽.

27.

이명호 외, 「여성해방문학론에서 본 80년대의 문학」, 창작과 비평 , 1990년 봄호, 48-74쪽.

28.

이상경, 「시대의 부채의식과 여성적 자의식에서 출발한 1990년대 여성소설」, 실천문학 , 1999년 여름호, 43-59쪽.

29.

이선옥, 「사랑의 서사, 전복인가, 퇴행인가」, 실천문학 , 1999년 여름호, 27-42쪽.

30.

이성욱, 「비평의 길」, 문학동네 , 1999년 가을호, 390-411쪽.

31.

이혜령, 「빛나는 성좌들—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탄생」, 상허학보 47집, 2016, 409-450쪽.

32.

조연정,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 우리말글 71집, 2016, 241-273쪽.

33.

천정환, 「창비와 ‘신경숙’이 만났을 때」, 역사비평 , 2015년 가을호, 278-299쪽.

34.

황종연, 「여성소설과 전설이 우물」, 문학동네 , 1995년 가을호, 1-18쪽.

35.

황종연 외, 「좌담—90년대 문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90년대 문학 어떻게 볼 것인가 , 민음사, 1999, 11-80쪽.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