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2000년대 여성소설 비평의 신성화와 세속화 연구 —배수아와 정이현을 중심으로

A study for Sacralization and Secularization of Feminine Novel Criticism in the 2000s―focusing on Bae, Su-ah and Jeong, Yi-hyun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2, pp.41-68
https://doi.org/10.18856/jpn.2018.24.2.002
강지희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criticisms of feminine novels in the 2000s when the term ‘feminine literature’ began to disappear in the field of Korean literary history. It specifically delve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s written in the 2000s and tries to seek novelty since approximately 2005. During this time, analyses for novels emphasized the themes of escaping from reality and inner side to be discriminated from novels in the 1990s and began to access those of otherness and ethics in the late 2000s. In this paradigm, good femininity is regarded as ethicality and in fact it was removing the spaces for women as distinction. To see how the space for feminine literature being erased by facing with the newest feminism paradigm, this study meta-reviewed the criticisms for <에세이스트 책상> of Bae, Su-ah and first 10 novel collection <낭만적 사랑과 사회> and full-length novel <달콤한 나의 도시> of Jeong,Yi-hyun which were published in the middle- and late 2000s. The reason for why these two writers’ criticisms selected as samples is that criticisms about Bae, Su-ah and Jeong, Yi-hyun in feminine novels were representing the most different reading method. The criticisms about Bae, Su-ah emphasized each of artistic and spiritual aspect about main character’s homosexual relationship in the past and told ‘universal’ point without sexual distinction. On the contrast, the criticisms about Jeong, Yi-hyun emphasized performing ‘special’ feminine strategies of main character between adaptation and resistance in Capitalism. However, if the paradigms were analyzed relating to these two writers, which might seem to be divided into sacralization and secularization, they commonly premise post-modern feminism’s dismantling strategy. The criticisms in the 2000s which surrounding Bae, Su-ah and Jeong, Yi-hyun, represented how post capitalism society method, which producing more sophisticated and delicate otherness than those of past, integrated the principles of ‘distinction’ and ‘equivalence’ in dialectical motivation. For Bae, Su-ah’s homosexual relationship, its ‘difference’ was sacralized and all the social rules and relationships were deleted with achieving purity and absoluteness. Jeong, Yi-hyun’s consuming subject’s ‘distinction’ was secularized and made progressive and new feminine subject. Indeed, this seemed to hide the existence of women’s realistic desire. In this study, which figures out feminine novel criticism’s performance method and its limitation in the 2000s, it tries to become a small reference point in the feminism movement in society with entering late 2010s for how to criticize feminine novels again.

keywords
여성소설비평, 배수아, 정이현, 탈성화, 신성화, 세속화, feminine novel criticism, Bae, Su-ah, Jeong, Yi-hyun, desexualization, sacralization, secularization

참고문헌

1.

배수아, 동물원 킨트 , 이가서, 2002.

2.

배수아, 에세이스트의 책상 , 문학동네, 2003.

3.

정이현, 낭만적 사랑과 사회 , 문학과지성사, 2003.

4.

정이현, 달콤한 나의 도시 , 문학과지성사, 2006.

5.

김미정, 「‘버려야만 적합한 것이 되는 것’의 윤리」, 문학동네 , 2008년 가을호, 416-434쪽.

6.

김영찬, 「한국문학의 증상들 혹은 리얼리즘이라는 독법」, 창작과 비평 , 2004년 가을호, 270-290쪽.

7.

김형중, 「민족문학의 결여, 리얼리즘의 결여」, 창작과 비평 , 2004년 겨울호, 286-303쪽.

8.

김형중, 「성(性)을 사유하는 윤리적 방식」, 창작과 비평 , 2006년 여름호, 244-260쪽.

9.

김형중, 「사건으로서의 이방인—‘윤리’에 관한 단상들」, 문학들 , 2008년 겨울호, 28-51쪽.

10.

박 진, 「칙릿 세대, ‘여성’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문학들 , 2009년 가을호, 74-93쪽.

11.

백낙청, 「소설가의 책상, 에쎄이스트의 책상」, 창작과 비평 , 2004년 여름호, 28-47쪽.

12.

백지연, 「낭만적 사랑은 어떻게 부정되는가—이만교와 정이현」, 창작과비평 , 2004년 여름호, 131-143쪽.

13.

복도훈, 「아무것도 ‘안’ 하는, 아무것도 안‘하는’ 문학」, 문학동네 , 2010년 가을호, 377-402쪽.

14.

서동진, 「차이의 윤리라는 몽매에서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디자인 멜랑콜리아 , 2009.

15.

소영현, 「포스트모던 소비사회와 여성소설의 후예들」, 분열하는 감각들 , 문학과지성사, 2010, 166-181쪽.

16.

소영현, 「페미니즘이라는 문학」, 문학동네 , 2017년 가을호, 519-539쪽.

17.

손정수, 「남성문학의 시대?」, 비평, 혹은 소설적 증상에 대한 분석 , 계명대학교출판부, 2014, 117-123쪽.

18.

신수정 외, 「좌담—다시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동네 , 2000년 봄호, 366-435쪽.

19.

신형철, 「당신의 X, 그것은 에티카」, 몰락의 에티카 , 문학동네, 2008, 142-162쪽.

20.

심진경, 「2000년대 여성문학과 여성성의 미학」, 여성과 문학의 탄생 , 자음과모음, 2015, 219-248쪽.

21.

양경언, 「‘#문단_내_성폭력’ 말하기 운동에 대한 중간 기록」, 여/성이론 , 2017년 하반기, 128-156쪽.

22.

양윤의, 「광장(Square)에 선 그녀들」, 문학동네 , 2010년 봄호, 389-410쪽.

23.

이경진, 「속물들의 윤리학—정이현론」, 창작과비평 , 2008년 겨울호, 417-436쪽.

24.

이광호, 낭만적 사랑과 사회 , 문학과지성사, 2003.

25.

이광호, 「너무나 무심한 당신」, 익명의 사랑 , 2009, 171-184쪽.

26.

정여울, 「칙릿형 글쓰기에 나타난 젊은이들의 소비 풍속도」, 문학동네 , 2008년 겨울호, 274-293쪽.

27.

정영훈, 윤리의 표정 , 2018, 민음사.

28.

차미령, 「성정치에 관한 파편 단상—배수아의 에세이스트의 책상 을 다시 읽으며」, 버려진 가능성들의 세계 , 문학동네, 2016, 372-397쪽.

29.

최성실, 「세계 저편의 타자들, 그리고 환상의 스크린 위에서 살아가기」, 세계의 문학 , 2006년 겨울호, 610-619쪽.

30.

최일성, 「‘탈중심화된 주체’, 혹은 ‘소비주체’의 등장」, 정치사상연구 제23집 1호, 2017년 봄호, 31-49쪽.

31.

황종연 외, 90년대 문학 어떻게 볼 것인가 , 민음사, 1999.

32.

미셸 퍼거슨, 「해설—페미니즘을 도둑맞는 게 가능할까?」, 니나 파워, 도둑맞은 페미니즘 , 김성준 옮김, 에디투스, 2018, 141-156쪽.

33.

보리스 그로이스, 새로움에 대하여 , 김남시 옮김, 현실문화, 2017.

34.

엘렌 식수, 메두사의 웃음/출구 , 박혜영 옮김, 동문선, 2004.

35.

주디스 버틀러, 윤리적 폭력 비판 , 양효실 옮김, 인간사랑, 2013.

36.

주디스 버틀러·아테나 아타나시오우, 박탈 , 김응산 역, 자음과모음, 2016.

37.

Cannan, Joyce E., “Is “Doing Nothing” Just Boys’ Play?”, Criminology at the Crossroads, edited by Kathleen Daly & Lisa Mah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p.172-187.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