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1960년대 한국영화 선전지 연구 —‘극장신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Film Publicity Magazine in the 1960s―Focusing on Theater Newspaper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3, pp.123-160
https://doi.org/10.18856/jpn.2018.24.3.004
전지니 (한국항공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ater Newspaper, a public relations magazine published autonomously by each theater and production company in Seoul in the 1960s. A method of publicizing a movie through media will be discussed specifically on the basis of a program issued by the business circles in the ‘heyday’ of Korean film. First of all, the theater newspaper is divided the entity of publication into the publicity department of a theater or a production company as the material available for reading a trend of business community in that the position and goal of the publicity department in a theater and a production company are delivered without processing. Also, the readers of theater newspaper were those that were potentially attendees of theater, beyond the movie fans or the specialized reading population. Accordingly, the theater newspaper tried to attract the readers’ attention by diversely mapping out pictorials and others, and published behind-the-scenes insights of the movie production that may interest readers. Sequentially, the theater newspaper emphasized audiences’ responses, contained theater-related information, and has a characteristic such as preparing for an event for luring readers as potential audiences. The theater newspaper aimed to ultimately promote a motive. But the publicity department, which is the main agent of publication, attempted to make the film ‘information magazine’ while arranging the specialized reading materials such as the detailed information on movie personnel or as the in-depth film review with having own sense of mission. This study had the objective of broadening the horizon of a research on film media by multi-laterally examining the publication entity and the reading population, and the contents composition and orientation through discussing the theater newspapers in the 1960s. There is a limit as saying of having taken research subject only as the currently-secured volumes. However, it is expected to become the foundation of considering a trend of movie circles at that time from different attention from the days so far.

keywords
‘극장신문’, 1960년대, 영화매체, 영화광고, 제작사, 극장, 관객, 독자, Theater Newspaper, 1960s, film media, movie advertising, production company, theater, audience, reader

참고문헌

1.

고종황제와 의사 안중근 ,

2.

제일영화특보 ,

3.

세기뉴우스 ,

4.

국제시네마 ,

5.

영화계소식 ,

6.

MYUNGBO CINEMA ,

7.

새영화 ,

8.

서스펜스 초거작의 ‘대륙의 밀사’ ,

9.

신촌아버지와 명동딸의 애탄! ,

10.

사랑을 구가하는 ‘신식할머니’ ,

11.

동양씨네마 ,

12.

특보 ,

13.

신영화 ,

14.

스카라 특보 ,

15.

스카라 영화 뉴스 ,

16.

스크린 뉴스 ,

17.

월간 스크린 호외 ,

18.

월간 영화세계 호외 ,

19.

국제영화 10월호 부록 ,

20.

국제영화 1월호 부록

21.

김수미, 「1963년 전후 한국영화관객층의 변화—아카데미 극장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2.

박선영, 「1950년대 말-1960년대 초 극장의 영화 상영 관행」, 한국극예술연구 56, 한국극예술학회, 2017, 135-175쪽.

23.

송영애, 「1960-70년대 서울개봉관 지형과 변화 연구—단성사를 중심으로」, 로컬리티 인문학 18,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147-187쪽.

24.

위경혜,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 로컬리티(locality)—강원도 도시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77,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12, 543-581쪽.

25.

위경혜, 「인천의 극장문화」, 한국극예술연구 53, 한국극예술학회, 2016, 45-88쪽.

26.

위경혜, 「극장 문화의 지역성 ―한국전쟁 이후 대전을 중심으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6-2, 인문학연구소, 2017, 91-124쪽.

27.

이지윤, 「1950년대 극장 공간 재편에 대한 일고찰—극장 지정좌석제 논란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2-2, 대중서사학회, 2016, 203-231쪽.

28.

전지니, 「극장신문을 통해 본 1960년대 극장의 안팎」, 근대서지 12, 근대서지학회, 2015, 476-494쪽.

29.

전지니, 「1960년대 문예영화 담론의 형성 과정과 문학이라는 권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8, 249-280쪽.

30.

조준형, 영화제국 신필름 , 한국영상자료원, 2009.

31.

조준형, 「1960-70년대 공급중심 영화산업 체제와 상영영역의 이중적 지위」, 한국극예술연구 43, 한국극예술학회, 2014, 257-300쪽.

32.

한상언, 「서울시네마타운 연구」, 현대영화연구 28,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41-65쪽.

33.

Hiroshi Kitamura, “‘Home of American Movies’: The Marunouchi Subaruza and the Making of the Hollywood’s Audiences in Occupied Tokyo, 1946-9”, Hollywood abroa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99-120쪽.

34.

곽일로, 「극장 선전책임자에게 일언」, 영화예술 , 1965.10.

35.

박경리, 「개인의 의사」, 동아일보 , 1964.5.30.

36.

이영진, 「한국영화 마케팅 30년사 [1]—1970년대」, 씨네 21 , 2005.9.27.

37.

주 미, 「영화와 선전」, 동아일보 , 1959.7.17.

38.

최정인, 「충무로의 시네마 천국, 서울극장 고은아 대표」, MOVIST , 2015.10.28.

39.

「81종에 조치」, 동아일보 , 1964.8.5.

40.

「잃었던 어머니와 여동생 5년 만에 찾아」, 동아일보 , 1965.1.4.

41.

「<저 하늘에도 슬픔이>—허구성 삽입으로 교사의 명예 훼손」, 경향신문 , 1965.5.5.

42.

「권두언」, 영화예술 , 1965.10.

43.

「시네클럽 통신란」, 영화예술 , 1966.1.

44.

「시네클럽 통신란」, 영화예술 , 1966.2.

45.

「극장통신」, 영화예술 , 1966.9.

46.

「극장통신」, 영화예술 , 1966.10.

47.

「34개 영화사 정비」, 매일경제 , 1972.1.6.

48.

「극동 등 3개사 등록 취소로 영화계 방향 전환 촉진」, 경향신문 , 1972.1.6.

49.

「모금으로 온정 손길」, 매일경제 , 1975.2.7.

50.

「65년의 극장가 6. 세기극장(메트로)」, 세상키의 극장개봉사, 2013.9.10.

51.

https://blog.naver.com/merenguero/110175790119.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