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한국영화 반세기’를 기념하기 —1960년대 남한의 한국영화 기념사업을 중심으로

Commemorating ‘Half a Century of Korean Cinema’ ― Focusing on South Korean Cinema’s Memorial Project in the 1960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3, pp.84-122
https://doi.org/10.18856/jpn.2018.24.3.003
이화진 (연세대학교)

Abstract

The paper aims to examine South Korean Cinema’s memorial project in the 1960s, focusing on the commemoration of the ‘beginning of Korean Cinema’ and the mythologization of Na Un-Kyu. While the project to confirm the beginning of Korean cinema and enact ‘Movie Day’ as a national memorial day was a process of commemorating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in the national temporality, the memorial of Na Un-kyu as a pioneer of Korean cinema was a separately meaningful celebration for the group of film personnel. Hanguk-Yeonghwa-Jeonsa (Comprehensive History of Korean Cinema, 1969), published by the Association of Korean Film Personnel in commemoration of “Half a Century of Korean Cinema”, was not only the fruit of a series of commemoration practices in the 1960s and the first whole historiography that covered a vast amount of data, historical descriptions, individual’s reflections, statistics and so on, but was also a historical turning point that marked South Korean cinema’s ambition to enter contemporary world cinema. In the 1960s, South Korean cinema’s memorial project was a venue where various voices and desires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the film industry clashed with each other in the complex context surrounding the nation, film industry, and culture. It created the most influential voices throughout the half a century of Korean cinema by showing the society of Korean filmdom and the group of Korean film personnel.

keywords
기념, 나운규, 역사서술, 한국영화 기점, 한국영화인협회, 한국영화전사, commemoration, Na Un-kyu, historiography, beginning of Korean cinema, Association of Korean Film Personnel, Hanguk-Yeonghwa-Jeonsa (Comprehensive History of Korean Cinema)

참고문헌

1.

<벙어리 삼룡>(신상옥 감독, 1964).

2.

<나운규의 일생>(최무룡 감독, 1966).

3.

<아리랑>(유현목 감독, 1968).

4.

영화예술 ,

5.

아리랑 .

6.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사연구소,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1945-1957) , 한국영상자료원, 2004.

7.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사연구소,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1958-1961) , 한국영상자료원, 2005.

8.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사연구소,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1962-1964) , 한국영상자료원, 2006.

9.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사연구소,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1965) , 한국영상자료원, 2007.

10.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사연구소,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1966) , 한국영상자료원, 2007.

11.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사연구소,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1967) , 한국영상자료원, 2008.

12.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사연구소,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1968) , 한국영상자료원, 2009.

13.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사연구소,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1969) , 한국영상자료원, 2010.

14.

<나운규의 일생>,

15.

<아리랑>

16.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17.

김민환, 「한국의 국가기념일 성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8.

김한상, 「영화의 국적 관념과 국가영화사의 제도화 연구—‘한국영화사’ 주요 연구문헌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통권 80호, 한국사회사학회, 2008년 겨울호, 257-286쪽.

19.

노 만, 한국영화사 , 한국배우전문학원, 1963.

20.

박유희, 「민족계몽과 예술지상주의 사이—1960년대 문예영화에 나타난 식민지 예술가의 표상」, 한민족문화연구 48권, 한민족문화학회, 2014, 607-646쪽.

21.

백문임, 임화의 영화 , 소명출판, 2015.

22.

신상옥, 난, 영화였다 , 랜덤하우스, 2007.

23.

안종화, 한국영화측면비사 , 춘추각, 1962.

24.

양길자, 「초창기 한국영화의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67.

25.

이순진, 「영화사 서술과 구술사방법론」, 김성수 외, 한국 문화·문학과 구술사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78-118쪽.

26.

한국영화인협회, 이영일 편저, 한국영화전사 , 삼애사, 1969.

27.

이청기, 「한국영화의 전사시대 및 발생기의 특성에 관한 연구(상)」, 예술논문집 5집, 대한민국 예술원, 1966, 192-210쪽.

28.

이청기, 「한국영화의 전사시대 및 발생기의 특성에 관한 연구(하)」, 예술논문집 6집, 대한민국 예술원, 1967, 229-248쪽.

29.

이화진 구술채록, 고향미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7.

30.

조희문, 「남북한의 ‘나운규 연구’ 현황과 비교」, 영화연구 16, 한국영화학회, 2001, 159-200쪽.

31.

G. サドゥ-ル, 丸尾定 譯, 世界映畵史 , 東京: みすず書房, 1964.

32.

Georges Sadoul, Histoire du cinéma mondial: Des origines à nos jours, Paris: Flammarion, 1966(8è édition).

33.

Hieyoon Kim, “Archives of Ephemera: Cinema and Decolonization in South Korea”, Ph.D. diss., UCLA, 2016.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