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discourse surrounding teens in the mid-1960s, focusing on the popular 1960s magazine Myeongrang. This paper analyzed the social attention to disordered teenagers, the discourse about teenagers in popular magazines, the representation of teenagers, and finally the features of sexual discourse in adult men and their perception about sex and love of teenager girls. In the high-teen fictions, designed by Myeongrang, there were depictions of girls who voluntarily abandoned virginity. The girls were the target of criticism and the object of enlightenment in intellectual discourse; otherwise, in popular magazine discourse and novels, they were used as a means of men’s desire. They were the object to satisfy the instincts of the male public without guilt. Nonetheless, the girls in popular magazines longed for being the subject to voluntarily enjoy love and sex with their lovers. This desire began to form the basic element of romance, in which men who were reasonably protective of women and women who were passionately approached men made romantic love.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discourse of sexuality and the representation of teens who were defined as a disordered beings in the flow of the 1960s conservatism. Through this, the study revealed the perception and desire of the public that was suppressed in mainstream discourse in the mid-1960s, as well a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een culture and novel that appeared in the 1970s.
동아일보 ,
경향신문 ,
매일경제 ,
조선일보
명랑 , 신태양사, 1960~1969년.
권두현, 「전후(戰後) 미디어 스케이프와 공통감각으로서의 교양—취미오락지 명랑 에 대한 물질 공간론적 접근」, 한국문학연구 44호, 2013, 7-46쪽.
권명아, 음란과 혁명-풍기문란의 계보와 정념의 정치학 , 책세상, 2013.
권보드래·천정환, 1960년을 묻다 , 천년의상상, 2012.
김복순, 「1960년대 소설의 연애전유 양상과 젠더」, 대중서사연구 14권 1호, 대중서사학회, 2008, 7-56쪽.
김복순, 「산업화의 최종심급과 재현의 젠더—1960~7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7호, 한국현대문학회, 2009, 409-449쪽
김성보 외, 한국현대생활문화사 1960년대—근대화와 군대화 , 창비, 2016.
김연숙, 「대중잡지 명랑 을 통해 본 전후 개인관계의 서사—1950년대 후반 ‘독자사 교란’ 기획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2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16, 39-69쪽.
김지영, 「1950년대 잡지 명랑 의 ‘성’과 ‘연애’ 표상—기사, 화보, 유머란(1956~1959)을 중심으로」, 개념과 소통 10호, 한림과학원, 2012, 173-206쪽.
김지영, 「통속오락잡지 명랑 을 통해 본 전후(戰後) 사랑의 인식 구조—195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68호, 민족어문학회, 2013, 159-207쪽.
김지영, 「‘명랑성’의 시대적 변이와 문화정치학—통속오락잡지 명랑 의 명랑소설(1956~1973)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78호, 민족어문학회, 2016, 217-268쪽.
김현주, 「1950년대 오락잡지에 나타난 대중소설의 판타지와 문화정치학- 명랑 의 성애소설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19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13, 83-116쪽.
박차민정, 조선의 퀴어—근대의 틈새에 숨은 변태들의 초상 , 현실문화, 2018.
이수영, 섹슈얼리티와 광기—한국 근대문학과 앎의 의지 , 그린비, 2008.
이영미, 한국대중예술사, 신파성으로 읽다 , 푸른역사, 2016.
이주라, 「건전 국가를 월경하는 명랑 시민」, 개념과 소통 20호, 한림과학원, 2017, 87-117쪽.
이혜원 외, 「아동청소년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한국아동복지학 28호, 한국아동복지학회, 2009, 73-100쪽.
임유경, 「외설과 법, 판례의 탄생—1960년대 ‘문예 재판’과 외설 담론 연구」, 개념과 소통 21호, 한림과학원, 2018, 169-215쪽.
장수경, 「1960년대 학원 에 나타난 근대화와 청소년의 위계화 양상」, 비교한국학 17권 3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09, 429-458쪽.
조은정, 「1960년대 여대생 작가의 글쓰기와 대중성」, 여성문학연구 2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87-118쪽.
최애순, 「1950년대 활자매체 명랑 ‘스토리’ 공유성과 명랑공동체」,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59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3, 241-262쪽.
허 윤, 「1960년대 불량소녀의 지형학」, 대중서사연구 20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14, 103-130쪽.
홍양희 외, ‘성’스러운 국민 , 서해문집,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