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부패사회를 해부하는 도덕이성과 정의구현이라는 환상—TV드라마 <비밀의 숲>을 중심으로

The Moral Reason Dissecting the Corrupt Society and the Illusion of Achieving Justice―Focusing on the TV Drama Series The Secret Forest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3, pp.393-437
https://doi.org/10.18856/jpn.2018.24.3.012
이정옥 (숙명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paper scrutinizes The Secret Forest, which has been praised as a well-made TV drama series, as work of crime fiction. While the approach in the previous study on the TV drama has confined The Secret Forest to the drama genre that touches up on a detective or crime-investigation narrative, this study analyzes The Secret Forest with the wider viewpoint encompassing crime fiction. The Secret Forest is a crime fiction equipped with both criticism and entertainment; it interweaves social issues that expose corruption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n the guise of the popular speculative drama genre. The narrative of The Secret Forest is constructed in layers where crime investigation overlaps with design of concealment and exploration. The result is a frame narrative. The space of the ‘secret forest’ is the trope that illustrates the corrupt and exclusive arena of the Prosecutors Office and its accumulated powers and wealth in politics and indictment. In this space, corrupt figures conform to the times of darkness and are engulfed in private ownership and personal interests. In contrast, political thinkers resist to escape from such darkness and corruption. Throughout the series, the corrupt society is accused and accused with disillusionment by these corrupt figures and the hope of eradicating corruption and ushering in a new era is sought by the political thinkers.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style of crime fiction or TV drama have been fragmented or stopped at the level of journalism. In this respect, the aim of this paper can be seen to be a search for a niche of academic discussions on The Secret Forest in terms of the theory of crime fiction. However, it puts more weight on analyzing The Secret Forest itself. Thus, a further study on the genealogical or historical trends of Korean crime fiction should be researched.

keywords
crime fiction, the corrupt society, moral reason, moral emotion, a corpse-as-signifier, political thinking, disillusive accusation, paradoxical illusion, 범죄서사, 부패사회, 도덕이성, 도덕감정, 기표적 살인, 정치적 사유, 환멸적 고발, 역설적 환상

참고문헌

1.

권양현, 「텔레비전 수사드라마에 나타난 캐릭터 유형의 변화 양상 연구—<싸인>, <유령>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연구 제42집, 2013, 251-278쪽.

2.

김봉석, 「왜 미국 드라마 열풍인가」, 창작과 비평 제136호, 2007, 408-419쪽.

3.

김유미, 「2000년대 텔레비전 추리드라마의 특징—심리적 요소의 활용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제61집, 2010, 191-224쪽.

4.

김희정, 「미야베 미유키의 이유 론—소재로서의 버블경제와 사회파추리소설」,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

박권일, 「‘헬조선’ 체제를 유지하는 파국론」, 황해문화 , 2016.봄, 73-95쪽.

6.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와 시민(성)—은유로서의 시민, 視民에서 市民으로」, 서강인문논총 제35집, 2012, 203-244쪽.

7.

신주진, 「TV드라마 <추적자>의 정치학과 이데올로기」, 대중서사연구 제23권 제2호, 2017, 256-291쪽.

8.

원용진, 「문화연구의 텔레비전 담론」, 문화과학 제45호, 2006, 195-208쪽.

9.

윤석진, 「TV드라마 연구 방법에 대한 시론—KBS 미니시리즈 <겨울연가>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9호, 2003, 193-218쪽.

10.

윤석진·박상완·권양현, 「한국 텔레비전 장르드라마 연구」, 건지인문학 제18집, 2017, 160-188쪽.

11.

임 훈·주효진, 「케이블 TV 법정드라마 등장인물의 원형분석—<굿와이프>와 <비밀의 숲>을 대상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제31권 제4호, 2017, 263-287쪽.

12.

최 원, 「국가란 무엇인가」, 황해문화 , 2016.여름, 20-36쪽.

13.

홍원표, 「어두운 시대의 정치, 사유 그리고 윤리—한나 아렌트의 색체 은유와 그 정치적 의미」, 정치·정보연구 제16권 제2호, 2013, 319-348쪽.

14.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일본 추리소설 사전 , 학고방, 2014.

15.

김봉석 외, 탐정사전 , 프로파간다, 2014.

16.

김용수, 드라마 분석 방법론—그리고 TV드라마의 해석을 위하여 , 집문당, 2014.

17.

김용언, 범죄소설, 그 기원과 매혹 , 강, 2012.

18.

도로시 L. 세이어스, 탐정은 어떻게 진화했는가 , 박현주 옮김, 북스피어, 2013.

19.

라인홀드 니버,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이한우 옮김, 문예출판사, 2006.

20.

레이먼드 윌리엄스, 이념과 문학 , 이일환 역, 문학과지성사, 1988.

21.

로즈메리 잭슨, 환상성—전복의 문학 , 서강여성문학연구회 옮김, 문학동네, 2001.

22.

리차드 J. 번스타인, 한나 아렌트와 유대인 문제 , 김선욱 옮김, 아모르문디, 2009.

23.

박노현, 드라마, 시학을 만나다 , 휴머니스트, 2009.

24.

브래드 에반스·줄리언 리드, 국가가 조장하는 위험들—위기에 내몰린 개인의 생존법은 무엇인가? , 김승진 옮김, RHK, 2018.

25.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 천병희 옮김, 숲, 2012.

26.

안치용, 한국 자본권력의 불량한 역사 , 내일을 여는 책, 2017.

27.

에르네스트 만델, 즐거운 살인, 범죄소설의 사회사 , 이동연 옮김, 이후, 2001.

28.

이충진, 세월호는 우리에게 무엇인가-철학의 물음 , 이학사, 2015.

29.

임철규, 죽음 , 한길사, 2012.

30.

존 스캑스, 범죄소설 , 나영균·전수용 옮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31.

토마 나르스작, 추리소설의 논리 , 김중현 옮김, 예림기획, 2003.

32.

한나 아렌트, 혁명론 , 홍원표 역, 한길사, 2004.

33.

한나 아렌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 김선욱 역, 한길사, 2006.

34.

M.E. 토머스, 나, 소시오패스—차가운 심장과 치밀한 수완으로 세상을 지배한다 , 김학영 옮김, 푸른숲, 2014.

35.

Knight, Stephen, Form and Ideology in Crime Fiction, Basingstoke Macmillan, 1980.

36.

Plain, Gill, Twentieth-century crime fiction: gender, sexuality and the body, Edinburgh & Chicago: Fitzroy Dearborn Publishers, 2001.

37.

Thompson, Jon, Fiction, Crime and Empire: Clues to Modernity and Postmodernism, Urbana and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3.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