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전북지역 문화유산의 활용 방안—최명희의 <혼불>을 중심으로

The Application of Local Inheritance in Jeonbuk Literature—Focused on Choe Myeng Hye’s Hon Bul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4, pp.237-259
https://doi.org/10.18856/jpn.2018.24.4.008
김승종 (전주대학교)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new assignment for application of local inheritance in Choe Myeng Hye’s Hon Bul. Choe Myeng Hye’s Hon Bul is a novel which contains a history of Lee’s Family and Korean ethnography, especially Jeonbuk’s ethnography. History, culture, folklore, and the customs of Jeonbuk interrupts the main story of this work. Two literary houses are located in Jeonju and Namwon and the memorial park of Choe Myeng Hye is located in Jeonju. A lot of events are held annually such as the ‘literary festival of Hon Bul’, ‘scholarship award of Hon Bul’, and a ‘literary tour of Hon Bul’. The musical drama ‘Hon Bul’ has also been performing in Jeonju since 2002. However, the family of the deceased did not aid in the application of local inheritance in Choe Myeng Hye’s Hon Bul. The budget for the application of local inheritance in Choe Myeng Hye’s Hon Bul is lacking. Two literary houses should dispose of the specialists who plan and manage the literary events of Choe Myeng Hye’s Hon Bul. The academic society for studying Choe Myeng Hye’s Hon Bul should be created. The academic society for the study of Choe Myeng Hye’s Hon Bul can control all events and exhibitions. The theme of Choe Myeng Hye’s Hon Bul is ‘the power of flowers’. ‘The power of flower’, ‘Kot Sim’ in Korean, became ’the spirit of Jeonju’ in 2016 in recognition of its forming of citizenship and the identity of the city. This paper proposes new directions of assignment for the application of local inheritance in Choe Myeng Hye’s Hon Bul both in hardware and software. We expect the application of local inheritance in Choe Myeng Hye’s Hon Bul will enhance the pride of the community.

keywords
application of local inheritance, Choe Myeng Hye, Hon Bul, ‘The power of flowers’, spirit of Jeonju, Jeonju, Namwon, literary house, 지역 문학유산, 최명희, 혼불, 꽃심, 전주정신, 전주, 남원, 문학관

참고문헌

1.

최명희, 『혼불』, 한길사, 1996.

2.

강은해, 「한국 민속의 전통과 현대소설—최명희의 「혼불」을 주목하여」, 『한국학논집』 18집, 1991, 213-246쪽.

3.

고은미, 「지역사의 관점에서 본 『혼불』」, 『온·다라인문학 인문강좌 자료』, 2014.10.

4.

김경원, 「근원에 대한 그리움으로 타는 작업, 최명희 「혼불」」, 『실천문학』, 1997.5, 410-419쪽.

5.

김병용, 『최명희 소설의 근원과 유역—『혼불』의 서사의식』, 태학사, 2009.

6.

김수영, 「「혼불」의 서사 공간 해체 구조」, 『어문논총』 27, 2015, 3-31쪽.

7.

김용재, 「전통적 이야기 서술방식의 현대적 변용 양상연구, 혼불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56, 2014, 157-176쪽.

8.

김희진, 「최명희 「혼불」에 나타난 생태적 상상력」, 『문학과 환경』 12집, 2013, 47-65쪽.

9.

박대복·이영월, 「<혼불>에 나타난 풍수신앙 연구」, 『우리문학연구』 34집, 2011, 69-97쪽.

10.

박대복·이영월, 「<혼불>에 나타난 해원과 결월의 이원적 서사구조」, 『우리문학연구』 31집, 2010, 145-176쪽.

11.

박현선, 「<혼불>의 인물유형의 갈등 구조 연구」, 『 한국현대문학연구』 15집, 2004, 482-505쪽.

12.

백지연, 「‘핏줄의 서사’—혼 찾기의 지난함, 「혼불」론」, 『창작과 비평』 25(2), 1997, 174-193쪽.

13.

유영대, 「판소리 전통과 최명희의 「혼불」」, 『판소리연구』 29집, 2010, 169-195쪽.

14.

윤영옥, 「「혼불」에 나타난 여상하위주체의 재현방식」, 『현대소설연구』 56집, 2014, 341-371쪽.

15.

이동재, 「<혼불>에 나타난 역사와 역사의식론」, 『한국근대문학연구』 3집, 2002, 301-321쪽.

16.

이동희 외, 『한국의 꽃심, 전주』, 전주정신다울마당, 2018.

17.

장미영, 「소설의 문화원형 콘텐츠화 방안—최명희 <혼불>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4집, 2004. 435-453쪽.

18.

장일구, 「서사 은유의 문화적 인지 공정—「혼불」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9(3), 2015, 117-157쪽.

19.

장일구, 『혼불읽기 문화읽기』, 한길사, 1999.

20.

장일구 외, 『혼불, 그 천의 얼굴 1』, 태학사, 2011.

21.

전라문화연구소, 『혼불의 문학세계』, 소명출판, 2001.

22.

전주시청, 『꽃심 전주』, 전주시청 홈페이지, 2016.

23.

정도미, 「<혼불> 속 매안마을의 다층적 공간 표상」, 『어문논총』 27집, 2015, 33-62쪽.

24.

정호웅, 「박물지의 형식—최명희 대하소설 「혼불」론」, 『황해문화』, 1997, 373-380쪽.

25.

최윤경, 「최명희의 「혼불」연구」, 『어문논총』 23집, 2012, 171-199쪽.

26.

홍성암, 「<혼불>의 서사구조 연구」, 『현대소설연구』 23집, 2004, 113-116쪽.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