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간첩영화로 본 2010년대 새로운 내셔널리즘 주체성 연구—영화 '의형제'와 '베를린'을 중심으로

Formation of New Nationalism Subject in 2010s through Spy Films―Focused on the movie, 'Secret Reunion', and 'The Berlin File'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4, pp.291-328
https://doi.org/10.18856/jpn.2018.24.4.010
전지은 (한양대학교)

Abstract

The most popular material of popular Korean movies is ‘a spy story’ by far. Already, the national identity of Korea has been established on the premise of ‘separation,’ and generations that grew up after the Cold War and neo-liberalism are also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such historical growth.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Chinese librarians implement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 that communication and war end, and to examine the identity of Korean nationalism in the 2010s. The integrated nature of the media of the movie serves as a forum for diagnosing capital, political intentions, and the desire of audiences as consumers through an era. In particular, “Secret Reunion” and “The Berlin File”, that chose to be the subjects of the study, not only transformed the spy into a central figure, but also received high public acclaim. The two movies are not the traditional view of interpreting spies as “a symbol of North Korea.” They try to look at the North’s sign itself through the process of giving them a sense of identity. Also featured are middle-aged South Korean agents in the form of Buddy Movie Format and forming romantic ties with them.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agents forced out of power and North Korea’s spy shows how the film unites the main body. Through analyzing the central characters of the two movies, we can see why spy movies are still meaningful to us in the 2010s. At the same time, we can see how national identity is constructed and how it changes, and how screens function as public veils. In the end, the two movies show the incomplete ending of the main characters on their unfinished journey. The process allows us to ‘receive’ that we are a generation that passes through the paradox of division and unity.

keywords
spy movies, 2010s, <Secret Reunion>, <The Berlin File>, Nation, Nationalism, subjectivity, divided epic, 간첩영화, 2010년대, <의형제>, <베를린>, 네이션, 내셔널리즘, 주체성, 분단 서사

참고문헌

1.

장훈, <의형제>, 2010.

2.

류승완, <베를린>, 2013.

3.

강성률, 「영화가 탈북자를 다루는 시선들」, 『현대영화연구』 12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1, 5-31쪽.

4.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5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2011.

5.

권은선, 「한국형 블록버스터에서 변화된 민족과 국가의 의미화에 대한 연구—<베를린>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56호, 한국영화학회, 2013, 5-25쪽.

6.

김경욱, 「<의형제>의 환상, <경계도시2>의 실재, 어느 쪽이 우리를 즐겁게 하는가?」, 『영상예술연구』 17호, 영상예술학회, 2017, 111-135쪽.

7.

김동춘, 『전쟁과 사회』, 돌베개, 2012.

8.

김영준·김승경, 「최근 한국 첩보영화에 대한 연구—다문화시대의 간첩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15집,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3, 249-278쪽.

9.

김의수, 「한국 분단영화에 관한 연구—분단 영화의 장르적 진화과정을 중심으로」,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0.

김지영, 「한국영화에 나타난 정보기관, 요원의 이미지 변화에 대한 연구—시나리오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1.

김지영, 「라캉주의 영화비평에서 봉합이론의 재고찰」, 『한국영어영문학회』 58집, 한국영어영문학회, 2012, 565-588쪽.

12.

김충국, 「분단과 영화—봉합의 환상을 넘어 공존의 실천으로」, 『한국민족문화』 53집,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279-304쪽.

13.

박상익, 「통일에 대한 인식전환과 통일교육 패러다임의 시프트」, 『한국동북아논총』 59호, 한국동북아학회, 2011, 119-143쪽.

14.

박성학, 『세계영화문화사전』, 집문당, 2001.

15.

박유희, 「고립된 전사, 경계의 타자」, 『민족문화연구』 58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751-789쪽.

16.

서수정, 「<다크 나이트>에 나타난 ‘실재계’ 연구」, 『영상예술연구』 20호, 영상예술학회, 2012, 35-62쪽.

17.

송치만·백일, 「북한을 바라보는 한국영화의 시선—간첩의 서사적 역할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59집, 건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263-286쪽.

18.

오영숙, 「탈북의 영화적 표상공간 상상」, 『영화연구』 51호, 한국영화학회, 2012, 185-212쪽.

19.

이병수, 「분단 트라우마의 성격과 윤리성 고찰」, 『시대와 철학』 22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1, 153-183쪽.

20.

이영일, 「영화—분단비극 40년 영상 증언한 한국영화」, 북한연구소, 『북한』, 1984, 106-114쪽.

21.

이현진, 「분단의 표상, 간첩—2000년대 간첩영화의 간첩 재현 양상」, 『씨네포럼』 17호,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3, 73-104쪽.

22.

전지은, 「매체간 통합장으로서의 스크린과 그 안에서 작동하는 재매개의 주체성 연구」, 『한국어문』 58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267-298쪽.

23.

허병식, 「간첩의 시대—분단 디아스포라의 서사와 경계인 표상」, 『한국문학연구』 46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4, 7-38쪽.

24.

가라타니 고진, 『네이션과 미학』, 조영일 옮김, 도서출판b, 2009.

25.

브루스 핑크, 『라캉의 주체』, 이성민 옮김, 도서출판b, 2010.

26.

스티브 닐·프랑크 크루트니크, 『세상의 모든 코미디』, 강현두 옮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27.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이수련 옮김, 인간사랑, 2002.

28.

슬라보예 지젝, 『How to read 라캉』, 박정수 옮김, 웅진지식하우스, 2007.

29.

토니 마이어스,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 박정수 옮김, 엘피, 2005.

30.

피터 브룩스,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이승희 외 옮김, 소명출판, 2013.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