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문학주의’ 시대의 ‘포스트모더니즘’ —1990년대 비평이 ‘포스트모더니즘’과 접속하는 방식

Postmodernism in the period of ‘Literaturism’ —The way in which criticism of the 1990s connects with postmodernism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4, pp.329-374
https://doi.org/10.18856/jpn.2018.24.4.011
조연정 (서울대학교)

Abstract

Among the various critical discussions of the 90s, the important things to check are ‘authenticity’ and ‘kitsch’. Authenticity is a concept derived from the concept of authenticity and validated based on self-justification. Kitsch is a concept that nullifies the hierarchy of real and fake. These two are completely contradictory. This paper doubts the fact that these two concepts became major criticisms of the 1990s. I tried to see how the ‘literaturism’ of the criticism of the 90s distorted the discussions of ‘postmodernism’. Postmodern literature has a social critical consciousness, but it does not aim to reveal such consciousness. In that sense, it is a departure from the mode of postmodernist literature that the criticism of the 1990s was to replace the authenticity of the ‘individual’ with the authenticity of the author or the critic’s ethics. Critics of the 1990s use postmodernism’s popularism as a means of identifying the new politics of literature in the 90s. Critics of the 1990s limited the politics of literature to aesthetics and strengthened the privileged authority of literature. Postmodern literature is not conscious of social criticism because the social criticism of literature no longer works. In the 1990s, critics must have considered other survival strategies in literature. The study of the criticism of the 90s is important at this point because Korean literature lies in a situation where the self-renewal of literature is urgently required. For the self-renewal of literature, it is essential to reflect on the 90s, when the autonomy of literature began to be discussed in earnest.

keywords
literaturism, Commercialism, Pop culture, Ethics Criticism, Authenticity, Kitsch, Postmodernism, 문학주의, 상업주의, 대중문화, 윤리 비평, 진정성, 키치, 포스트모더니즘

참고문헌

1.

『창작과비평』

2.

『문학동네』

3.

『문학과사회』

4.

『실천문학』 등

5.

권성우, 「베를린, 전노협 그리고 김영현—90년대 사회와 문화」, 『문학과사회』 9, 1990년 봄호, 255-264쪽.

6.

권성우, 「다시, 신세대문학이란 무엇인가」, 『창작과비평』 87, 1995년 봄호, 265-280쪽.

7.

권성우, 「신세대 문학에 대한 비평가의 대화」, 『문학과사회』 40, 1997년 봄호, 1640-1657쪽.

8.

김동식, 「코믹하면도 비극적인 괴물의 발생학」, 『냉소와 매혹』, 문학과지성사, 2002, 214-250쪽.

9.

김병익, 『새로운 글쓰기와 문학의 진정성』, 문학과지성사, 1977.

10.

김병익, 「90년대 젊은 비평의 새로운 양상」, 『문학과사회』 24, 1993년 겨울호, 1329-1357쪽.

11.

김병익, 「신세대와 새로운 삶의 양식, 그리고 문학」, 『문학과사회』 30, 1995년 여름호, 665-687쪽.

12.

김병익, 「자본-과학 복합체 시대에서의 문학의 운명」, 『문학과사회』 38, 1997년 여름호, 492-509쪽.

13.

김형중, 「진정할 수 없는 시대, 소설의 진정성」, 『변장한 유토피아』, 랜덤하우스 중앙, 2006, 60-76쪽.

14.

김홍중, 「진정성의 기원과 구조」,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17-50쪽.

15.

나종석, 「90년대 한국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수용사 연구—학제적 주체의 사회인문학적 탐색 시도」, 『철학연구』 120호, 2011, 83-108쪽.

16.

도정일, 「포스트모더니즘—무엇이 문제인가」, 『창작과비평』 71, 1991년 봄호, 301-320쪽.

17.

도정일, 「시뮬레이션 미학, 또는 조립문학의 문제와 전망」(『문학사상』, 1992.7),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개정판), 문학동네, 2016, 214-228쪽.

18.

백문임, 「한국의 문학 담론과 ‘문화’」, 『문화과학』 25호, 2001년 봄호, 106-117쪽.

19.

서영채, 「문화산업의 논리와 소설의 자리」(『소설과사상』, 1994년 여름호), 『소설의운명』, 문학동네, 1995, 44-70쪽.

20.

서영채, 「멀티미디어와 서사」(『리뷰』, 1995년 봄호), 『소설의 운명』, 문학동네, 1995, 116-128쪽.

21.

성민엽,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오해된 포스트모더니즘」, 『문학과사회』 43, 1998년가을호, 1111-1131쪽.

22.

신수정, 「텔레비전 키드의 유희」(『문학과사회』 39, 1997년 가을호), 『푸줏간에 걸린고기』, 문학동네, 2003, 177-193쪽.

23.

신수정, 김미현, 이광호, 이성욱, 황종연 좌담, 「다시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동네』 22, 2000년 봄호, 1-54쪽.

24.

신형철, 「당신의 X, 그것은 에티카」, 『몰락의 에티카』, 문학동네, 2008, 142-162쪽.

25.

윤지관, 「90년대 정신분석-문학담론의 징후 읽기」, 『창작과비평』 104호, 1999년 여름호, 73-91쪽.

26.

윤평중, 「왜 지금 여기서 포스트 모던 논쟁인가?」, 『철학연구』 33호, 철학연구회, 1993, 227-232쪽.

27.

이광호, 「‘신세대 문학’이란 무엇인가」, 『환멸의 시학』, 민음사, 1995, 39-56쪽.

28.

이광호, 「‘90년대’는 끝나지 않았다—‘90년대 문학’을 바라보는 몇 가지 관점」, 『문학과사회』 46, 1999년 여름호, 757-764쪽.

29.

이근식, 「진보적 자유주의와 한국 자본주의」, 최태욱 외, 『자유주의는 진보적일 수있는가』, 폴리테이아, 2011, 31-65쪽.

30.

이성욱, 「‘심약한’ 지식인에 어울리는 파멸」(『한길문학』, 1992년 여름호), 『비평의길』, 문학동네, 2004, 83-114쪽.

31.

이성욱, 「문학과 키치」, 『문학과사회』 44, 1998년 겨울호, 1530-1549쪽.

32.

이성욱, 「비평의 길」, 『문학동네』 20호, 1999년 가을호, 390-411쪽.

33.

임우기, 「왜 리얼리즘인가?—‘흔적의 문학’에 대한 인식」, 『문학과사회』 17, 1992년봄호, 63-77쪽.

34.

정과리, 「특이한 생존, 한국 비평의 현상학」, 『문학과사회』 25, 1994년 봄호, 29-45쪽.

35.

최원식, 「문학의 귀환」, 『창작과비평』 104, 1999년 여름호, 6-30쪽.

36.

홍정선, 「90년대 문학적 징후에 대한 몇 가지 단상」, 『문학과사회』 20, 1992년 겨울호, 1179-1188쪽.

37.

홍정선, 「문사(文士)적 전통의 소멸과 90년대 문학의 위기」, 『문학과사회』 29, 1995년 봄호, 43-54쪽.

38.

황종연, 「내향적 인간의 진실」(『21세기 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9), 『비루한것의 카니발』, 2001, 113-137쪽.

39.

황종연, 「비루한 것의 카니발」, 『비루한 것의 카니발』, 문학동네, 2001, 13-32쪽.

40.

황종연, 「팝 모더니즘 시대의 비평—문학과지성 비평 집단을 바라보는 한 관점」, 『문학과사회』 113, 2016년 봄호, 238-265쪽.

41.

황종연, 「『늪을 건너는 법』 혹은 포스트모던 로만스-소설의 탄생—한국문학의 1990년대를 보는 한 관점」, 『문학동네』 89, 2016년 겨울호, 364-387쪽.

42.

아즈마 히로키,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오타쿠를 통해 본 일본사회』, 이은미 역,문학동네, 2007.

43.

오타베 다네하사, 『예술의 역설—근대 미학의 성립』, 김일림 역, 돌베개, 2011.

44.

페터 V. 지마, 『모던/포스트모던』, 김태환 역, 문학과지성사, 2010.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