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박계형론—낭만적 글쓰기의 변주를 중심으로

A Study on Park Gye-hyeong―Focusing on the Change of Romantic writing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9, v.25 no.2, pp.247-275
https://doi.org/10.18856/jpn.2019.25.2.007
진선영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We hope that more diverse interests will arise in the novels by Park Gye-hyeong By looking at writers and works in time, we identified the key element of Park Gye-hyeong’s novels as ‘romantic’. Romantic nature of this time is lyrical, sentimental, spiritual, unrealistic and idealistic. Based on a roman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the core sanction of the novel is love, focusing on feelings of sadness, and on the aspects of joy, separation, and pain that arise from loving relationships rather than the aspects of joy. Based on the feelings of grief, the novels end with failure, death and betrayal, thus embodying tragic romanticism. Before her marriage, Park Gye-hyeong’s novels were love stories that revealed her longing for beautiful love based on sensibility. The idyllic world and longing for nature reveal a romantic world-view. Ultimately, it is a fictional worldview that the author seeks to despair and long for, and to find the sincerity and morality of love in an environment that does not. Park Gye-hyeong, who became a housewife, expressed that she wanted to write a piece that can give readers a sense of nostalgia by embodying “romance at a high level,” not “sentimental.” In subsequent works, physical relationships are treated as failures of love and spiritual relationships as the fruit of love, revealing the lofty spirituality, idealistic longing and religious nature of love. Park Gye-hyeong confessed her shame about her previous work when she published a new one after more than two decades of writing. And after more than two decades of reflection, her new novel had a new theme of “recovering destroyed humanity.” However, the search for “humanity” in the two novels released after the write-off tends to be somewhat hasty at the end of the novel. The question of human nature, sin and forgiveness, is the next best thing to save as a way of life, rather than as a result of the intense inner agony and behavior of the characters within the narrative, and this also shows a sudden shift in religiousness at the end of the novel. Therefore, the romantic meaning of the superficial is superficial.

keywords
박계형, 1960년대 베스트셀러, 연애소설, 감상성, 낭만성, 이상주의, Park Gye-hyeong, 1960s bestsellers, romance novels, sentimental, romantic, idealism

참고문헌

1.

박계형, 『젊음이 밤을 지날 때』, 백영사, 1963.

2.

박계형, 『영과 육의 갈림길에서』, 백영사, 1964.

3.

박계형, 『이대로 살다 죽으리』, 토픽출판사, 1966.

4.

박계형,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 신아출판사, 1966.

5.

박계형, 『사랑이 그리워질 무렵』, 신아출판사, 1967.

6.

박계형, 『해가 지지 않는 땅』, 문우사, 1967.

7.

박계형, 『날이 새면 생각하리』, 대문출판사, 1967.

8.

박계형, 『그해 가을』, 문예출판사, 1967.

9.

박계형, 『(속)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 신아출판사, 1968.

10.

박계형, 『연짓골의 연사』, 대문출판사, 1968. (『월간 농원』 연재)

11.

박계형, 『그토록 고독한 강가에서: 박계형 논픽션』, 문영각, 1968.

12.

박계형, 『사랑과 슬픔이 같이 오던 날』, 신아출판사, 1969.

13.

박계형, 『별을 보고 산다』, 신아출판사, 1969.

14.

박계형, 『정이 가는 발자욱 소리』, 삼육출판사, 1969.

15.

박계형, 『바람에 달 가듯이』, 상원출판사, 1969.

16.

박계형, 『밤에도 뜨는 태양』, 삼육출판사, 1969.

17.

박계형, 『(후편)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 제삼도서출판사, 1969.

18.

박계형, 『첫정이 트이던 시절』, 노벨문화사, 1970.

19.

박계형, 『오늘만 영원히 사랑하리』, 노벨문화사, 1970.

20.

박계형, 『당신이 가슴에 심어준 것은』, 노벨문화사, 1970.

21.

박계형, 『바람속의 눈동자들』, 노벨문화사, 1970.

22.

박계형, 『목숨의 불꽃이 질 때까지』, 노벨문화사, 1970.

23.

박계형, 『결혼 그 뒤』, 청자각, 1970.

24.

박계형, 『인생의 반은 이별이어라』, 노벨문화사, 1970.

25.

박계형, 『꿈을 먹다만 세월』, 노벨문화사, 1970.

26.

박계형, 『사랑할수록 외로워지리라』, 노벨문화사, 1970.

27.

박계형, 『애정이 있는 양지』, 노벨문화사, 1970.

28.

박계형, 『연애와 결혼』, 삼육출판사, 1971.

29.

박계형, 『박계형 대표작전집1(인형의 외출/꿈을 먹다 만 세월)』, 노벨문화사, 1971.

30.

박계형, 『박계형 대표작전집2(바람속의 눈동자들/사랑할수록 외로워지리라)』, 노벨문화사, 1971.

31.

박계형, 『박계형 대표작전집3(당신이 내 가슴에 심어준 것은/애정이 있는 양지)』, 노벨문화사, 1971.

32.

박계형, 『박계형 대표작전집4(인생의 반은 이별이어라/첫정이 트이던 시절)』, 노벨문화사, 1971.

33.

박계형, 『박계형 대표작전집5(회상/잊히지 않아도 잊으리라)』, 노벨문화사, 1971.

34.

박계형, 『박계형 대표작전집6(이루어 질 수 없는 이 아픔을/목숨의 불꽃이 질 때까지)』, 노벨문화사, 1971.

35.

박계형, 『박계형 대표작전집7(동짓달 그믐밤/오늘만 영원히 사랑하리)』, 노벨문화사, 1971.

36.

박계형, 『박계형 대표작전집8(임 그리워 밤에 우는 새야/고독한 사춘기)』, 노벨문화사, 1971.

37.

박계형, 『나는 작은 눈물의 강』, 노벨문화사, 1972.

38.

박계형, 『그립다 말을 할까』, 노벨문화사, 1972.

39.

박계형, 『회상』, 노벨문화사, 1972.

40.

박계형, 『우리들의 영원한 것』, 동림출판사, 1973.

41.

박계형, 『진실』, 동림출판사, 1975.

42.

박계형, 『고향 이야기』, 삼육출판사, 1976.

43.

박계형, <어떤 신부>, 『중앙일보』 신춘문예 가작 당선, 1976.

44.

박계형, 『우리들의 저 남쪽나라』, 우리들사, 1977.

45.

박계형, 『달무리: 박계형 소설집』, 방향사, 1977.

46.

박계형, 『자유를 향하여 날으는 새』, 비봉출판사, 1981.

47.

박계형, 『사랑의 샘』, 비봉출판사, 1982.

48.

박계형, 『어떤 신부(神父)』, 삼육출판사, 1992.

49.

박계형, 『임종』, 삼육출판사, 2001.

50.

박계형, 『어느 투명한 날의 풍경화』, 삼육출판사, 2001.

51.

박계형, 『환희1-2』, 삼육출판사, 2002.

52.

박계형, 『회귀』, 삼육출판사, 2003.

53.

김미현, 「한국 근,현대 베스트셀러 문학에 나타난 독서의 사회사—1980~1990년대 소설의 “아버지” 담론을 중심으로」, 『비교문학』 36권, 한국비교문학학회, 2005, 189-217쪽.

54.

김복순, 「1960년대 소설의 연애전유 양상과 젠더」, 『대중서사연구』 19, 대중서사학회, 2008, 7-54쪽.

55.

양 평, 『베스트셀러 이야기』, 우석, 1985.

56.

이영미, 『한국대중예술사, 신파성으로 읽다』, 푸른역사, 2016.

57.

이용희, 「한국 현대 독서문화의 형성: 1950~60년대 외국서적의 수용과 ‘베스트셀러’라는 장치」,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58.

이임자, 『한국 출판과 베스트셀러』, 경인문화사, 1998.

59.

조은정, 「1960년대 여대생 작가의 글쓰기와 대중성」, 『여성문학연구』 2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87-118쪽.

60.

최미진, 『1960년대 대중소설의 서사전략 연구』, 푸른사상, 2006.

61.

허 윤, 「‘여대생’ 소설에 나타난 감정의 절대화—최희숙, 박계형, 신희수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40호, 역사문제연구소, 2018, 167-196쪽.

62.

<‘인류 보편적 주제에 공감대’ 박계형 씨 소설 「환희」 영국서 출간 인기>, 『가톨릭평화신문』, 2007.6.10.

63.

<[사람 사람] 소설가 박계형 씨 20년 침묵 깨>, 『중앙일보』, 2001.8.4.

64.

<[사람들]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에만 머무를 수 없죠.”>, 『조선일보』, 2003.10.27.

65.

<[한기호의 책통] 광복 70년, 책속 ‘자유부인’ 어떻게 변했나>, 『머니투데이』, 2015.3.14.

66.

<박계형 씨 ‘머무르고 싶었던……’ 영역판 출간>, 『한국일보』, 2004.11.8.

67.

<박계형씨, 20년 절필끝 신작 장편 ‘임종’ 발표>, 『한국경제』, 2001.8.14.

68.

<신춘 「중앙문예」 당선자 시상식>, 『중앙일보』, 1976.1.22.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