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the interest among Korean broadcasters in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genre has intensifi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enre and storytelling of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ming from a narratological perspective. The origin of the Korean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began with the ‘reality-variety show’. There was a ‘real-life’ debate in these reality-variety shows, and as an alternative,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appeared. Documentary filming, omnibus composition, and spatialization of ‘everyday’ life have led to the recognition of observation entertainment as a single genre. In particular, ‘observers’ have become a key factor in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The subject of the program is determined by who the observer is. The variability of the program format is the same. The observer looks at the observation target on behalf of the viewer. At the same time, he or she serves as a narrator of the program. The observer functions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storytelling of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In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observation’ is only a form. It is the observer who creates a narrative within this same format to mak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program. Also, voyeurism has been considered a problem in reality shows such as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s. However, the form communicated by observers is not a direct peek, so much of the problem of voyeurism is mitigated. Such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s analyzed through observer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make people understand the cultural meaning of “reality” in TV and the storytelling of contemporary Korean TV entertainment.
<슈퍼맨이 돌아왔다>, KBS2, 2013.11.3.~방영 중.
<나 혼자 산다>, MBC, 2013.3.22.~방영 중.
<미운 우리 새끼>, SBS, 2016.8.26.~방영 중.
곽경태·김은경, 「관찰예능 속에 담긴 일상, 집단적 의사소통의 장을 형성하다」,『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권,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813-820쪽.
권주연, 「TV 리얼 버라이어티 쇼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김기란·최기호, 『대중문화 사전』, 현실문화연구, 2009.
김영만,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 포맷에서의 스토리텔링 구조에 관한 연구: <무한도전>, <1박2일>, <패밀리가 떴다> 프로그램의 캐릭터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문화예술콘텐츠』 2호,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08, 115-139쪽.
김윤희,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가족 서사 고찰: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47권, 인문콘텐츠학회, 2017, 179-202쪽.
김정환, 「방송 프로그램 포맷의 정의와 발전 과정」, 『저작권문화』 241호, 한국저작권위원회, 2014, 32-33쪽.
김환희·김훈순,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환상적 사실성: tvN <삼시세끼 정선편> 시즌1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50권, 한국기호학회, 2017, 79-107쪽.
양진샘, 「‘관찰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재현하는 ‘일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나 혼자산다>의 텍스트와 수용자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에릭 바누, 『세계 다큐멘터리 영화사』, 이상모 역, 다락방, 2000.
윤태진, 「정서적 참여와 실재(reality)의 재구성: 한국 리얼리티 텔레비전 쇼의 작동방식에 대한 고찰」, 『방송문화연구』 23권, 한국방송공사 방송문화연구소, 2011, 7-36쪽.
이영돈, 『영상 콘텐츠 제작 사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이종수, 『TV 리얼리티: 다큐멘터리, 뉴스, 리얼리티 쇼의 현실 구성』, 한나래, 2004.
이희승, 「지상파 리얼 버라이어티의 한국 지역적 특징과 수용의 쾌락」, 『언론과학연구』 11권,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1, 207-237쪽.
존 A. 워커‧ 사라 채플린, 『비주얼 컬처: 이미지 시대의 이해 비너스에서 VR까지』, 임산 역, 루비박스, 2004.
최성민, 「대중 매체 텍스트의 리얼리티 문제 연구: TV 프로그램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18호, 인문콘텐츠학회, 2010, 125-146쪽.
최중은, 「TV 오락프로그램의 엿보기 카메라 활용방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토마스 소벅‧비비안 C. 소벅, 『영화란 무엇인가: 영화의 역사, 형식, 기능에 대한 이해』, 주창규 외 역, 거름, 1999.
함 현, 「TV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영상구성과 서사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8권,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 1648-1654쪽.
<‘정글의 법칙’, 조작 논란에 의견분분 “방송이니 당연” vs “심각한 조작”>, 『enews24』, 2013.2.12.
<1등 예능 ‘1박2일’, 리얼의 함정에...>, 『머니투데이』, 2011.1.27.
<다큐처럼 리얼하게... CCTV 같은 ‘관찰 예능’>, 『경향신문』, 2018.4.16.
<편집과 캐릭터가 ‘리얼’을 방해하나?>, 『헤럴드POP』, 2009.4.7.
<SBS ‘패밀리가 떴다’ 논란... 대본에 의한 리얼?>, 『서울경제』, 20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