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좀비, 엑스 니힐로의 주체와 감염의 윤리

Zombie, the Subject Ex Nihilo and the Ethics of Infection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9, v.25 no.3, pp.181-209
https://doi.org/10.18856/jpn.2019.25.3.006
서동수 (신한대학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zombie narratives in relation to the Other. In previous research, the view of zombies as post-capitalist soulless consumers or workers has been frequently expressed. But in this article, I wanted to look at zombies as the main cause of the collapse of the world and a new future. First, zombies do not only mean the representation of the consumer in the late capitalist era. Rather, it is an awakening subject desiring the outside of the system. As you can see from the Uncanny’s point of view, zombies are something that we should oppress as freaks and monsters that threatened the Other. To be a zombie in this way is to meet one’s other self, the “Fundamentals of Humanity,” and it is the moment when everything becomes the subject ex nihilo, the new beginning. Second, the concept of infection shows a new ethic. Zombie cannibalism is different from the selfish love of a vampire who sucks a worker’s blood. Zombie cannibalism is an infection, which is a model of Christian love for one’s neighbor. It is a moment of awakening and the beginning of solidarity. It is on the waiting for the solidarity that the zombie hangs in such a way, and the attack on the human being is an active illusion. Third, the situation of the end of a zombie narrative is another event for newness. The anger of a zombie serves not just to show monsters, but acts as a catalyst that accelerates the world’s catastrophes. The anger of zombies is the messianic violence that stops the false world, and presents a new way. The emergence of zombies and the popular response to them embody a desire for the possibility of a new subject and world.

keywords
좀비, 엑스 니힐로의 주체, 감염, 윤리, 혁명, zombie, subject of ex nihilo, infection, ethic, revolution

참고문헌

1.

권혜경, 「좀비, 서구 문화의 전복적 자기반영성」, 『문학과 영상』 10-3, 문학과영상학회, 2009, 535-561쪽.

2.

김민오, 「좀비영화의 초현실주의적 미학 특성과 의미 연구」, 『인문과학연구』 43,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2014, 257-280쪽.

3.

김성범, 「21세기 왜 다시 좀비 영화인가?」, 『씨네포럼』 18, 동국대 영상미디어센터, 2014, 127-160쪽.

4.

라에네크 위르봉, 『부두교—왜곡된 아프리카 정신』, 서용순 역, 시공사, 2002.

5.

리처드 커니, 『이방인, 신, 괴물』, 이지영 역, 개마고원, 2016.

6.

문강형준, 『파국의 지형학』, 자음과모음, 2011.

7.

박지윤, 「지젝의 좀비 개념을 통한 좀비론 구성」, 『현대사상』 6, 대구대 현대사상연구소, 2010, 61-86쪽.

8.

박혜영, 「콜로니얼 좀비의 귀환과 포스트콜로니얼 묵시록의 공포」, 『영미문학연구』31, 영미문학연구회, 2016, 5-33쪽.

9.

발터 벤야민,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최성만 역, 길, 2015.

10.

백상현, 『라캉의 인간학』, 위고, 2018.

11.

복도훈, 「walking dead, working dead 신자유주의와 좀비 아포칼립스 장르의 발생」,『플랫폼』, 인천문화재단, 2013, 18-21쪽.

12.

복도훈, 「북한과 디스토피아-‘좀비국가’ 표상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4-3, 대중서사학회, 2018, 292-320쪽.

13.

수잔 벅 모스, 『헤겔, 아이티, 보편사』, 김성호 역, 문학동네, 2012.

14.

슬라보예 지젝, 『폭력이란 무엇인가』, 이현우 외 역, 난장이, 2014.

15.

이동신, 「좀비 자유주의:좀비를 통해 자유주의 되살리기」, 『미국학논집』 46권 1호, 한국아메리카학회, 2014, 119-145쪽.

16.

이동신, 「좀비 반 사람 반: 좀비서사의 한계와 감염의 윤리」, 『문학과영상』 18-1, 문학과영상학회, 2017, 33-51쪽.

17.

이송이, 「현대 아이티문학 및 아이티 이민문학에 나타난 “다중성”」, 『서강인문논총』41, 서강대인문과학연구소, 2014, 197-229쪽.

18.

장-뤽 낭시, 『나를 만지지 말라』, 이만형·정과리 역, 문학과지성사, 2015.

19.

조르주 소렐, 『폭력에 대한 성찰』, 이용재 역, 나남, 2007.

20.

지그문트 프로이트, 「두려운 낯설음」, 『창조적인 작가와 몽상』, 정장진 역, 열린책들, 1996.

21.

최 원, 「좀비라는 알레고리의 이단점」, 『문학과영상』 18-1, 문학과영상학회, 2017,53-70쪽.

22.

키르케고르, 『죽음에 이르는 병』, 박환덕 역, 범우사, 1991.

23.

한병철, 『에로스의 종말』, 문학과지성사, 2015.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