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1960년대 한국과 이집트 영화 정책 및 특성의 비교 연구—문학을 원작으로 한 영화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Egyptian Films—Focusing on Adaptations of Novels in Films of the 1960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9, v.25 no.3, pp.211-266
https://doi.org/10.18856/jpn.2019.25.3.007
알레 일레와 (고려대학교)

Abstract

Films of the 1960s in both Korea and Egypt share many common characteristics. These include the main trend of such films’ in addition to some of the political situations. This trend mainly relates to the adaptation of novels into films. In the late 1940s, Andre Bazin wrote his ideas about a similar phenomenon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Bazin’s thoughts and other examples for films adapted from novels in the 1940-60s, I found that the trend in both Korea and Egypt can be explained as an international phenomenon, in which film developed to a further stage due to a dialectic between content and form after the increase in the development of film techniques. The trend in Korea is believed to have led to the so-called golden era of Korean movies, while in Egypt films adapted from literature were not able to earn high profits, even though in a 1996 list of the best 100 Egyptian films, 23 had been adapted from novels. To explain the reasons behind this phenomenon, I looked into the internal demand from filmmakers themselves to further develop the industry through the articles written at that time. In addition, I explored the different situations and policies that influenced film production in both countries in the 1960s. I found that political situations and policies could have helped in the continuity of such trend, bu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ese as the main reason for its creation, in contrast to the internal demand, which I believe is the main reason for the creation of such direction.

keywords
1960년대 이집트 영화, 문예영화, 각색 영화, 1960년대 한국 영화, 문학을 원작으로 한 영화, 1960s’ Egyptian film, Literary Film, Literary Adaptation, 1960s’ Korean Film, Adaptation of novels into films

참고문헌

1.

권보드래, 「저개발의 멜로, 저개발의 숭고—이광수 『흙』 과 『사랑』 의 1960년」, 『상허학회』 제37집, 2013, 279-320쪽.

2.

김종수, 「1960년대 문예영화의 원작소설 연구: 그 유형과 영화적 변용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19호, 2008, 127-157쪽.

3.

노지승, 「1960년대 근대 소설의 영화적 재생산 양상과 그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 제20권, 2006, 503-534쪽.

4.

박유희, 「1950년대 역사영화의 역사소설 수용 연구」, 『대중서사연구』 제18호, 2007, 155-189쪽.

5.

박유희, 「춘원 문학 영화화의 추이와 맥락—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 『상허학보』 제37집, 2013, 237-279쪽.

6.

방금단, 「매체 전환에 따른 ‘황순원 소설’의 변용연구—영화, TV 드라마, 애니메이션, 만화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제39집, 2019, 37-64쪽.

7.

앙드레 바쟁, 「비순수 영화를 위하여—각색의 옹호」, 『영화란 무엇인가』, 박상규 역, 사문난적, 2013, 129-162쪽.

8.

영화진흥사 간, 『한국영화 작품 색인: 1919-1989』, 1990.

9.

이우석 외, 『한국영화정책사』, 나남출판, 2005.

10.

정영권, 「<갯마을>과 한국 문예영화의 장르적 형성—1965~1969년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26호, 2011, 311-356쪽.

11.

조혜정, 「미군정기 영화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12.

Bazin, André, “Adaptation, or the cinema as digest”, Bazin at Work—Major Essays & Reviews from the Forties & Fifties, translated by Alain Piette & Bert Cardullo, Routledge, 1997, pp.41-52.

13.

Edwards, K. D., “Brand new literature: Film adaptations and Selznic International Pictures’ Rebecca(1940)”, Cinema Journal, Vol.45 No.3, 2006, pp.32-58.

14.

Willems, G., “Adaptation policy: Film policy and adaptations in Flanders (1964-2002)” Literature Film Quarterly, Vol.43, 2015, pp.64-76.

15.

가멜 알-키타니, 『나지브 마푸즈가 기억한다』, 베이루트: 다르-마시라, 1980. 1980 ,جمال الغيطاني، نجيب محفوظ يتذكر، بيروت: دار مسيرة) )

16.

누리 알 라웨이, <시네마 심리학적(PSYCHOLOGICAL) 발전>, 『알-아다브』 제3회, 1956.3.1., 43-45쪽. ( 3نوري الراوي، "النمو النفسي للسينما المصرية"، الآداب العدد , 195 6.3.1., pp.43-45)

17.

두리아 샤라브 알 딘, 『이집트의 영화와 정치』, 다르 알 슈록, 1992. 1961 درية شرف الدين، السياسة والسينما في مصر) ~ 1992 ,دار الشروق ، 1981 )

18.

마함모드 알리, 『100년의 이집트 영화의 검열 역사』, 이집트고위문화협의회, 2008. 1992 ,محمود علي، مائة عام من الرقابة على السينما المصرية، دار الشروق) )

19.

마함모드 압둘-샤쿠르,『1970년대 나의 어린 시절』, 다르 알카르마, 2015. 2015 ,محمود عبد الشكور، كنت صبيا في السبعينيات، دار الكرمة) )

20.

모함드 요셉 알-카이드, 모함드 하사닌 헤칼, 『압둘-나세르과 지식인과 문화: 모함드하사닌 헤칼이 기억한다』, 다르 알-슈록, 2003. ,محمد يوسف القعيد & محمد حسنين هيكل، محمد حسنين هيكل يتذكر : عبد الناصر والمثقفون والثاقة، دار الشروق)2003)

21.

문화협의원회 간, 「이집트의 영화 산업: 현황과 국가, 민간 부문의 역할 그리고 발전의 필요성」, 『문화와 예술과 문학의 보고서』, 1979/1980.79 تقرير الثقافة والفنون و الآداب في مصر : واقعها ومستقبلها") / صناعة السينما في مصر بين ،" 80 1980 ,الوضع الراهن ودور الدولة والقطاع الخاص وضرورات التطوير، التقرير الاستراتيجي العربي ,p.306)

22.

사미르 파리드, 『이집트 영화: 입문』, 알하야 알마시리아 리-알키탑, 2001. 2001 ,سمير فريد، مدخل إلى الفيلم المصري، الحياة المصرية للكتاب) )

23.

살라흐 이즈 알 딘, <이집트 시네마의 위기>, 『알-아다브』 제2회, 1957.2.1., 75-76쪽. 2 صلاح عز الدين، "أزمة السينما المصرية"، الأداب العدد) , 1957.2.1., pp.75-76)

24.

싸르왓 오카샤, 『정치와 문화에 대한 나의 노트들』, 다르 알 슈룩, 2000. 2000 ,ثروت عكاشة، مذكراتي في السياسة والثقافة، دار الشروق) )

25.

아멜 알가말, 「이집트 시네마의 국유화 실험」, 『아랍시네마』 겨울호, 2015, 73-83쪽. أمل الجمل، "تجربة القطاع العام في السينما المصرية"، القطاع العام في السينما العربية – ماله وما )2015 ,عليه، مجلة السينما العربية، شتاء , pp.73-83)

26.

아해마드 카멜 모래시, 『이집트 영화 파노라마: 이집트 영화 사전 1972~1982』, 시네마 지원 기금, 1983. 1932 أحمد كامل مرسي، بانوراما السينما المصرية : قاموس الأ فلام) - 1983 ,صندوق دعم السينما , 1982 )

27.

입라힘 알 아리스, 「1952~1970년 이집트 영화의 문학과 제7의 예술의 관계」, 『이집트 영화: 혁명과 공공 부문 1952-1970』, (논문집), 문화고위협의회, 2010. 1970 إلى 1952 إبراهيم العريس ،"ال علاقة بين الفن السابع و الأدب في مص في الفترة بين) "،- 2010 ,المجلس الأعلى للثقافة ، 1971 , pp.131-150)

28.

이태우, <영화시론: 조선 영화와 문학 1>, 『경향신문』, 1949.1.27.

29.

<리바이벌/흥행 수지 타산에서 온 ‘붐’>, 『대한일보』, 1967.10.7.

30.

<새해부터 문예작품 제작 ‘붐’/‘오리지널’빈곤의 반동/방송극의 영화화도 열 식고>,『조선일보』, 1963.1.13.

31.

『조선일보』, 1963.1.13.

32.

<설문: 가장 인상 깊었던 영화는 어떤 것인가? 어떤 영화를 제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한국신문』, 1954.10.4.

33.

<영화계 두 붐 ‘문예’, ‘검객’그 행방과 문제점>, 『동아일보』, 1967.11.11.

34.

<인기 소설 뒤쫓는 영화/방송극 ‘붐’서 벗어나>, 『한국신문』, 1963.3.22.

35.

<천재 나도향 소설의 영화화/<물레방아>근일개봉/한국영화공사작품>, 『한국신문』,1955.11.20.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