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과학적 상상력의 무대화에 대한 시론—SF연극의 역사와 현재

A Study on the Staging of Scientific Imagination—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SF Theater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9, v.25 no.4, pp.73-108
https://doi.org/10.18856/jpn.2019.25.4.003
전지니 (한경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paper is an attempt to discuss the history and the current state of ‘SF theaters.’ SF theater is still an unfamiliar genre to the public, and may surprise some, given that the stage is perceived as an insufficient space for stretching the scientific imagination. Since 2010 works that bring the scientific imagination into the theater have frequently been performed, and a recognition of SF theaters began to be established. Producers came to be absorbed in human psychology, and our isolation amidst the progress in technology, as well as in the absurdities of the world, while giving up the ideal of realistic descriptions. This became the foundation for SF theaters in South Korea today. Starting from the research history and the conceptual change in SF theaters,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SF dramas going back to the colonial period for SF theaters. Through inquiring into the history of SF theaters, we were able to deri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problems. Firstly, as they are based on future society or technical improvement without consideration of scientific probability or rationality, the scientific imagination is too absent for the work to be named ‘SF theater.’ Secondly, while being highly evaluated as an attempt to integrate science and stage in an era that emphasizes convergence, when we delve into the creativity of a material it is noticeable that the view of the world is still regressive. Thirdly,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scripts lean on SF classics or Japanese original works. Nevertheless, if young creators’ diverse attempts in a genre can breathe with the contemporary audience desiring a new material, the foundation of a Korean-style SF theater may be expanded to include more significant work.

keywords
SF연극, SF콘텐츠, 과학적 상상력, 과학융합, <두뇌수술>, <철안붓다>, SF theater, SF contents, Scientific Imagination, Science Convergence, <Brain Surgery>, <Cheolan Buddha>

참고문헌

1.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 『마지막으로 할 만한 멋진 일』, 신해경 외 역, 아작, 2016.

2.

조광화, 『철안붓다』, 지식을만드는지식, 2014.

3.

진우촌, 「두뇌수술」, 김동권 편, 『현대희곡작품집』 5권, 서광학술자료사, 1994.

4.

홍창수, 『오늘 나는 개를 낳았다』, 연극과인간, 2013.

5.

2018 SF연극제 공연 팸플릿

6.

<나는 살인자입니다>(2019) 공연 팸플릿

7.

2019 아르코파트너 공연 팸플릿

8.

김미도, 「99 서울연극제 스케치」, 『공연과리뷰』 25호, 현대미학사, 1999, 90-98쪽.

9.

김민수, 「도래할 ‘기계사회’와 사회변혁의 매개: 기계․괴물․여성: 산업합리화운동과 근대극장의 상상력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115-149쪽.

10.

김승옥, 「인간복제가 초래할 묵시록적 미래를 전망한 SF연극: 극단 유의 『철안붓다』, 연우무대의 『A. D. 2031 제3의 날들』」, 『공연과리뷰』 25호, 현대미학사, 1999, 99-103쪽.

11.

김영학, 「로봇연극에 나타난 언캐니 연구」, 『드라마연구』 54호, 한국드라마학회, 2018, 5-31쪽.

12.

남 운, 「SF 장르의 사회ㆍ문화 기능과 의미 고찰」, 『독어교육』 72호,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383-413쪽.

13.

윤서현, 「살이 그리워지는 연극 <X>」, 『공연과이론』 72호, 공연과이론을위한모임, 2018, 128-131쪽.

14.

이은경, 「주저함 없는 전복적 상상력」, 『공연과이론』 49호, 공연과이론을위한모임, 2013, 254-260쪽.

15.

이지용, 『한국 SF장르의 형성』,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16.

이지용, 「한국 SF의 장르적 특징과 의의—근대화에 대한 프로파간다부터 포스트휴먼 담론까지」, 『대중서사연구』 25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19, 33-69쪽.

17.

이진주, 「우주소리: 우주에서 들려온 그닥 새롭지 않은 소리」, 『공연과이론』 72호, 공연과이론을위한모임, 2018, 294-302쪽.

18.

이희환, 「근대 문예운동의 발흥과 실험적 극작가의 궤적-우촌 진종혁론」, 『황해문화』 29호, 새얼문화재단, 2000, 262-285쪽.

19.

전지니,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난해한 질문」, 『공연과이론』 72호, 공연과이론을위한모임, 2018, 9-13쪽.

20.

전지니, 「한국 SF 연극의 현재와 방향성-SF연극제」, 『한국연극』, 2019.5, 한국연극협회, 56-57쪽.

21.

전지니, 「극장의 공공성이라는 소명, 소극장 혜화당」, 『공연과이론』 75호, 공연과이론을위한모임, 2019, 142-146쪽.

22.

주현식,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퍼포먼스」, 『드라마연구』 51호, 한국드라마학회, 2017, 89-120쪽.

23.

주현식, 「나는 살인자입니다: 묵시론적 상상력」, 『공연과이론』 74호, 공연과이론을위한모임, 2019, 230-238쪽.

24.

히라타 오리자·이홍이, 「로봇연극의 개념과 의의」, 『한국예술연구』 16호, 한국예술연구소, 2017, 77-97쪽.

25.

Sam Thielman, “What is a science fiction play?”, American Theatre, November 17, 2015. https://www.americantheatre.org/2015/11/17/what-is-a-science-fiction-playanyway.

26.

정진세, <국민로봇배우에 대한 오해 혹은 쉴드를 걷어내며>, 『월간시선』, 2019.6.18.

27.

<11일부터 국립극단 <인조인간> 공연>, 『동아일보』, 1970.1.10.

28.

<‘로미오지구착륙기’로 창작극 무대 9년 만에 올리는 장진 감독>, 『동아일보』, 2011.2.10.

29.

<“제 연극은 모두 즉흥적… 다음 작품은 SF 창극입니다”>, 『조선일보』, 2018.7.24.

30.

<SF 만난 창극, 이래도 골동품 같나요?>, 『조선일보』, 2019.2.11.

31.

<SF연극의 등장>, 『동아일보』, 2010.7.1.

32.

<강추위 속 야외무대 연극 속 ‘핵겨울’ 실감, SF연극 ‘철안붓다’>, 『동아일보』, 1999.10.21.

33.

<과학고·KAIST 출신 김태형…“SF도 창극으로 만들죠”>, 『중앙일보』, 2018.10.22.

34.

<국립극단 59회 공연 <인조인간> 타이틀롤을 맡은 손숙 씨>, 『조선일보』, 1970.11.12.

35.

<김태형, 끝없는 실험과 도발..이번에는 페미니즘 SF창극 ‘우주소리’>, 『뉴시스』, 2018.12.21.

36.

<넘버>, 『매경이코노미』, 2019.5.30.

37.

<무대 오른 SF… 지금, 여기를 고발하다>, 『한겨레』, 2018.9.21.

38.

<복고풍 연기와 현대적 무대 연출의 긴장감>, 『동아일보』, 2013.3.12.

39.

<성수대교에 가면 ‘붕괴된 미래상’이 보인다>, 『동아일보』, 1999.10.7.

40.

<스트레스를 소재로 한 만화 같은 연극 ‘강철왕’>, 『연합뉴스』, 2008.4.25.

41.

<쓰레기城에서 피는 희망>, 『조선일보』, 2015.1.9.

42.

<연극 리뷰 「인간」>, 『서울신문』, 2010.7.11.

43.

<인간복제를 다룬 SF연극 <A.D. 2031>>, 『조선일보』, 1999.9.16.

44.

<터널이 무너진다…볼만한 재난드라마가 온다>, 『세계일보』, 2016.7.7.

45.

“‘티켓파크’ 공연 관람 후기” http://ticket.interpark.com/Ticket/Goods/GoodsInfo.asp?GoodsCode=19005216&tab=2#TabTop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