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사에서 『지리산』(이병주)의 평가는 양분되어 있다. 해방 전후사를 객관적으로 재현한 실록 소설이라는 평가와 반공주의 이념에 편승했다는 평가가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관점의 차이가 아니라 텍스트의 균열의 결과로 해석했다. 이는 『지리산』 출판 과정에서부터 드러난다. 이병주는 『지리산』을 1972년부터 『세대』에 연재한 후 1978년 원고의 일부를 출판한 이후 1981년 연재본 전체를 다시 재출판한다. 그리고 1981년 후속 이야기의 일부를 잡지에 게재한 다음 이태의 수기를 자료 삼아 6, 7권 내용으로 ‘증보’해서 다시 출판한다. 다시 말해 『지리산』은 연재본을 출판한 1981년 본과 증보한 내용까지 담은 1985년 본으로 나누어진다. 때문에 『지리산』의 완결 시점을 언제로 보는지에 따라 작품의 주제가 달라진다. 본고에서는 5권까지의 내용과 6, 7권 내용 간의 관점 차이에 주목했다. 특히 ‘빨치산’에 표상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연재본에서는 유신 체제 하에서 ‘빨치산’을 일제 시대 독립운동으로 확장시켜 내면서 ‘빨치산’ 표상을 입체적으로 수용해 내지만 6, 7권에서는 ‘빨치산’이 ‘교조적’이고 ‘악랄한’ ‘빨갱이’이자 처벌되어야 하는 존재로 재현한다. 요컨대, 『지리산』은 해방전후사를 배경으로 ‘빨치산’ 표상을 통해 냉전 체제의 담론, 표상, 이념을 분절해 내지만 증보 과정에서 ‘빨치산’을 악랄한 존재이자 실패한 인생으로 봉합시킨다. 결과적으로 『지리산』은 1970-80년대의 심연 속에서 반공주의/자본주의를 둘러싸고 진행된 분열과 길항의 과정을 보여주며 ‘빨치산’을 ‘적대적(빨갱이)’이거나 ‘무명(실패한)’ 존재로 재현한다.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evaluations on 『Jirisan』 (Lee Byeong-ju) are bisected. Some evaluate it as a novel of authentic records which reproduces the history before and after the emancipation objectively while others say it takes advantage of anti-communistic ideology. This study analyzes that difference is resulted not from the distinction of perspectives but from cracks in the text. This is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Jirisan』’s publication. 『Jirisan』 was published serially in 『Sedae』 from 1972, and then, part of the manuscript was published in 1978 and the whole edition published in a series came to be republished in 1981. After that, in 1981 and 1985, part of the follow-up story was printed on the magazine, and then, with the memoirs of those two years as materials, the sixth and seventh volumes were again published through ‘revision’. In other words, the publication of 『Jirisan』 is divided into that of the edition published in a series and that of the edition published in 1985 including the contents of revision. The theme of the work, 『Jirisan』 differs according to the point of its completion you may think of. This researcher pays attention to the difference of perspectives between the contents up to the fifth volume and those of the sixth and seventh volumes. Particularly, his evaluation on ‘partisans’ seems to have changed. In the edition published in a series, he extended ‘partisans’ into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under the Revitalizing Reforms system and adopted the representation of ‘partisans’ three-dimensionally whereas in the sixth and seventh volumes, he reproduced ‘partisans’ as beings that were the ‘doctrinaire’ and ‘vicious’ ‘Reds’ and had to be punished. In brief, with 『Jirisan』, he represented ‘partisans’ in the background of history before and after the emancipation and segmented the discourse, representation and ideology of the Cold War system, but in the process of revision, he stitched up ‘partisans’ as beings that were evil and losers. Consequently, with 『Jirisan』, he revealed the process of division and contention that proceeded around anti-communism/capitalism within the abyss of the 1970’s to 80’s and reproduced ‘partisans’ as beings that were either ‘hostile (the Reds)’ or ‘unknown (losers)
이병주, 지리산 1-7, 한길사, 2009.
이병주, 지리산 1-7, 기린원, 1985.
동아일보
조선일보
경향신문
신천지
세대
김득중, 빨갱이의 탄생, 선인, 2009.
이 태, 남부군 상・하, 두레, 2014.
송건호 외, 해방전후사의 인식, 한길사, 2004.
박명림, 태백산맥, 80년대 그리고 문학의 역사 , 문학과 역사와 인간, 한길사, 1991.
강심호, 이병주 소설 연구 - 학병세대의 내면의식을 중심으로 , 관악어문연구 27권, 2002, 187-206쪽.
김복순, ‘지식인 빨치산’의 계보와 지리산 , 인문과학연구논총 22, 명지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35-55쪽
김성환, 식민지를 가로지르는 1960년대 글쓰기의 한 양식-식민지 경험과 식민 이후의관부연락선 , 한국현대문학연구 46집, 한국현대문학회, 2015, 301-344쪽.
김외곤, 이병주 문학과 학병 세대의 의식구조 , 지역문화연구 12호, 2005, 9-33쪽.
김윤식, 지리산의 사상-이병주의 《지리산》론 , 문학사와 비평 1집, 문학사와비평학회, 1991, 233-257쪽.
김종회, 이병주 문학의 역사의식 고찰—장편소설 관부연락선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57호, 한국문학회, 2011, 123-144쪽.
김지미, 1980년대를 ‘기억’하는 스토리텔링의 전략 . 대중서사연구, 20(3), 대중서사학회, 2014. 7-40쪽.
류동규, 65년 체제 성립기의 학병 서사—관부연락선 읽기 , 어문학 130호, 한국어문학회, 2015, 133-157쪽.
박중렬, 실록소설로서의 이병주의 지리산론 , 현대문학이론연구 29권, 현대문학이론학회, 2006, 173-191쪽.
손혜숙, 학병의 기억과 서사—이병주의 소설을 중심으로 , 우리문학연구 66집, 우리문학회, 2020, 271-306쪽.
이광욱, 중립불가능의 시대와 회색의 좌표—이병주의 <관부연락선>, <지리산>에나타난 지식의 표상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 84호, 민족문화연구원, 2019, 639-679쪽.
이상록, 1980년대 중산층 담론과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확산 , 사학연구 130, 한국사학회, 2018, 275-334쪽.
이선아, 빨치산 영화, 지워진 역사의 불완전한 복원시도 , 내일을 여는 역사 36, 내일을여는역사재단, 2009, 246-257쪽.
이혜령, 빨치산과 친일파 , 대동문화연구 100집, 대동문화연구원, 454-456쪽.
정찬영,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진실: 지리산론 , 문창어문논집 36권, 문창어문학회, 1999, 303-336쪽.
정창훈, 우애의 서사와 기억의 정치학 , 서강인문논총 52집, 인문과학연구소, 2018, 197-241쪽.
정호웅, 이병주 문학과 학병 체험 , 한중인문학연구 41집, 한중인문학회, 2013, 57-7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