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난 ‘좀비 서사’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Zombie Narrative’ in Modern Korean Novel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1, v.27 no.2, pp.79-104
https://doi.org/10.18856/jpn.2021.27.2.003
김소륜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오늘날 대중문화 속에서 적극적으로 소비되는 콘텐츠로는 단연 ‘좀비 서사’를 들 수 있다. 어느새 ‘좀비’는 한국 사회의 특수성과 맞물려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를 드러내는 독특한 캐릭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한국 현대소설 안에서는 좀비물이 적극적으로 서사화된 경우가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본 논문은 현대소설 내에서 좀처럼 등장하지 않던 ‘좀비’의 존재를 주목하고, 대중문화 속에서 폭발적으로 소비되고 있는 ‘좀비 서사’에 관한 문학적 가치를 조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론에서는 좀비가 주는 공포를 ‘알 수 없음’의 문제와 연결해서 좀비라는 존재에 대한 ‘무지(無知)’가 주는 공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좀비가 지닌 ‘사유(思惟)’의 ‘부재(不在)’를 한나 아렌트가 제기한 ‘악의 평범성’ 개념과 연결하여 ‘무지(無智)’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또한 소설에 그려진 좀비와 인간 사이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연대의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이는 좀비로부터 살아남은 인간들 사이의 연대를 넘어서서, 인간과 좀비 사이의 연대에 관한 탐색이라고 볼 수 있다. 쫓는 자와 쫓기는 자, 포획하는 자와 포획당하는 자라는 이분법적 구도로 설명되지 않는 새로운 관계에 대한 조명으로, 이는 현대인의 도식화된 이분법적 사고에 균열을 가한다는 점에서 좀비 서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국내 현대 소설에서 좀처럼 등장하지 않던 ‘좀비’의 존재를 탐구함으로써, ‘좀비’에 관한 문학적 가치를 조명하고, 나아가 새로운 서사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더불어 주로 영상물 위주로 진행되어온 기존의 ‘좀비 서사’ 연구의 외연을 확장한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다.

keywords
좀비, 서사, 한나 아렌트, 무사유, 악의 평범성, 연대, 야금술, 이분법, 김중혁, 윤이형, 정세랑, Zombie, Narrative, Hannah Arendt, Thoughtlessness, Banality of evil, Solidarity, Metallurgy, dichotomy, Joonghyeok Kim, Yihyung Yoon, Serang Chung

참고문헌

1.

김중혁, 좀비들, 창비, 2010.

2.

듀 나, <너네 아빠 어딨니?>, 용의 이, 북스피어, 2007.

3.

윤이형, <큰 늑대 파랑>, 큰 늑대 파랑, 창비, 2011.

4.

정세랑, <메달리스트의 좀비시대>, 목소리를 드릴게요, 아작, 2020.

5.

권혜경, 좀비, 서구 문화의 전복적 자기반영성 , 문학과 영상 제10권 3호, 문학과영상학회, 2009, 535-561쪽.

6.

김성범, 21세기 왜 다시 좀비 영화인가? , 씨네포럼 제18호,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4, 127-160쪽.

7.

리처드 커니, 이방인, 신, 괴물, 이지영 옮김, 개마고원, 2016.

8.

박하림, 파국의 기원과 멜랑콜리, 2000년대 한국 문화에 나타난 존비 서사 연구 , 비교문학 제71호, 한국비교문학회, 2017, 5-39쪽.

9.

복도훈, 세계의 끝: 최근 한국소설에 나타난 재난의 상상력과 이데올로기적 증상 , 인문학연구 42권,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7-42쪽.

10.

서동수, 좀비, 엑스 니힐로의 주체와 감염의 윤리 , 대중서사연구 제25권 3호, 대중서사학회, 2019, 181-209쪽.

11.

성신형, 한국적 좀비사회 내러티브 분석과 기독교사회윤리적 접근 , 한국기독교문화연구 제13집,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0, 33-51쪽.

12.

송아름, 괴물의 변화: ‘문화세대’와 ‘한국형 좀비’의 탄생 , 대중서사연구 제19권2호, 대중서사학회, 2013, 185-223쪽.

13.

이동신, 좀비 자유주의: 좀비를 통해 자유주의 되살리기 , 미국학논집 제46권 1호, 한국아메리카학회, 2014, 119-145쪽. ,

14.

이동신 좀비 반, 사람 반: 좀비서사의 한계와 감염의 윤리 , 문학과영상 제18권1호, 문학과영상학회, 2017, 33-51쪽.

15.

이진경, 노마디즘 2, humanist, 2002.

16.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 김재인 옮김, 새물결, 2003.

17.

한나 아렌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김선욱 옮김, 한길사, 2006.

18.

<얼굴 없는 SF작가 ‘듀나’와 e메일 교신>, 중앙일보, 2006.1.16., 제27면.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