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SF와 좀비 서사의 감염 상상력

Imagination of Infection in SF and Zombie Narrative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1, v.27 no.2, pp.45-77
https://doi.org/10.18856/jpn.2021.27.2.002
최성민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Abstract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여파가 계속되고 있다. 다양한 예방과 방역의 조치들 이면에는 ‘내가 감염될지 모른다’는 공포와 ‘누군가가 나를 감염시킬지도 모른다’는 공포, 두 가지 공포가 잠재되어 있다. 이러한 잠재 의식은 감염 상상력 위에서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우리의 감염 상상력에 영향을 미친 SF 서사와 좀비 서사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SF 소설과 영화들이 ‘감염’을 어떻게 이해하고 표현하였는지, 그리고 좀비 서사들은 ‘감염’과 그 공포를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메리 셸리의 소설 『최후의 인간』은 감염병의 공포가 인류에게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 역설을 드러내주었다. 영화 <컨테이젼>과 <감기>는 감염병에 대한 공포와 혐오가 폭동과 충돌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좀비 서사는 감염이 주는 공포를 가장 극적으로 표현한 장르이다. <부산행>을 비롯한 연상호 감독의 좀비 3부작은 가까운 주변 사람이 가장 위협적인 감염원으로 돌변할 수 있음을 드러낸다. 우리는 SF와 좀비 서사를 통해, 감염병 앞에서 인류가 겸허한 연대의식과 윤리의식, 공감능력을 갖추어야 함을 깨달을 수 있다. 이러한 서사를 통해 우리는 감염 상상력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다. 감염 상상력은 감염 확산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그 과정과 향후 전망에 대한 이해의 기반이 되는 인식 체계가 된다.

keywords
Science fiction(SF), Zombie, Covid-19, Pandemic, Infection, Imagination of infection, 과학소설(SF), 좀비, 코로나19, 팬데믹, 감염, 감염 상상력

참고문헌

1.

김초엽 외, 팬데믹: 여섯 개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2020.

2.

메리 셸리, 최후의 인간 1, 2, 김하나 역, 아고라, 2014.

3.

김성수 감독, <감기>, 아이러브시네마, 2013.

4.

스티브 소더버그 감독, <컨테이젼(Contagion)>, Warner Bros. Pictures, 2011.

5.

연상호 감독, <서울역>, 다다쇼, 2016.

6.

연상호 감독, <부산행>, 영화사레드피터, 2016.

7.

연상호 감독, <반도>, 영화사레드피터, 2020.

8.

김성훈 연출, <킹덤>, 에이스토리, 2019.

9.

김성훈・박인제 연출, <킹덤> 시즌2, 넥플릭스, 2020

10.

박길성 외, 전염의 상상력, 나남출판, 2017.

11.

박선주, 메리 셸리의 최후의 인간에 나타나는 전염병과 근대 정치 , 인문논총 78권 1호,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363-392쪽.

12.

박재영, 개념의료, 청년의사, 2018.

13.

박하림, 파국의 기원과 멜랑콜리: 2000년대 한국 문화에 나타난 좀비 서사연구 , 비교문학 71, 비교문학회, 2017, 5-40쪽.

14.

송아름, 괴물의 변화: ‘문화세대’와 ‘한국형 좀비’의 탄생 , 대중서사연구 19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13, 186-224쪽.

15.

이동신, 좀비 반, 사람 반: 좀비서사의 한계와 감염의 윤리 , 문학과 영상 18권 1호, 문학과영상학회, 2017, 33-51쪽.

16.

이윤종 바이러스의 살육성: <괴물>과 <감기>의 기생체 , 영화연구 87, 한국영화학회, 2021, 253-288쪽.

17.

임영훈, 한국 좀비 영화를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 <부산행>과 <곡성>을 중심으로 , 애니메이션연구 17권 1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1, 223-241쪽.

18.

최성민, 판타지의 리얼리티 전략과 서사적 감염: 소설 흡혈귀 와 영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을 중심으로 , 대중서사연구 25권 4호, 대중서사학회, 2019, 397-428쪽.

19.

최은영, 한국 영화에 나타난 감염의 은유 방식 연구: <감기>, <부산행>을 중심으로 , 건지인문학 26호,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401-421쪽.

20.

최정민, 전염병의 서사와 가상공동체 , 인문언어 10, 국제언어인문학회, 2008, 367-389쪽.

21.

최지운, 한국 사극 속 좀비 캐릭터 연구: <창궐>과 <킹덤>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 56, 인문콘텐츠학회, 2020, 105-122쪽.

22.

후지타 나오야, 좀비 사회학, 선정우 역, 요다, 2017.

23.

Ahmad, Farida B. et al., “Provisional Mortality Data — United States, 2020”, MMWR 70(14), CDC, 2021, pp.519-522.

24.

EBS 다큐채널 다큐프라임 <포스트코로나>, 2021.2.5. https://www.youtube.com/watch?v=tchXQgsrP0s(접속 2021.4.18.)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