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 of Romance and Intimacy and the Marriage Crisis—Based on David R. Shumway’s Modern Love: Romance, Intimacy, and the Marriage Crisi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2, v.28 no.2, pp.421-460
https://doi.org/10.18856/jpn.2022.28.2.013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데이빗 R. 셤웨이의 『현대적 사랑』(2003)을 중심으로, 로맨스와 친밀성의 구조변동과 결혼의 위기와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20세기 현대적 사랑의 전개양상을 고찰하고, 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구했다. 이 책은 텍스트 분석 중심의 로맨스연구와 로맨스의 구조변동에 관한 문화사회학 이론을 변증법적으로 통합한 방법론을 토대로, 20세기 사랑과 관계에 관한 문화텍스트의 지형을 개괄한 연구서이다. 셤웨이는 결혼의 위기가 불러온 20세기의 로맨스와 친밀성 담론의 구조변동을 고찰하기 위해, 푸코와 기든스, 루만 등의 사회학이론을 원용하여 자신만의 연구방법론을 구축했다. 이를 바탕으로 로맨스와 친밀성의 담론이 텍스트로 구현된 서사를 각각 사랑이야기와 관계이야기라 규정한 다음, 20세기의 현대적 사랑이 전개되는 양상을 일목요연하게 조감했다. 20세기 초 데이트라는 새로운 연애시스템이 등장하면서 연애지침서나 스크루볼 코미디와 같은 관계이야기가 등장했지만, 낭만적 사랑의 로맨스를 지향하는 할리우드 고전로맨스와 같은 사랑이야기가 주류를 이뤘다. 반면 196,70년대 여성운동과 페미니즘의 여파로 20세기 후반에는 관계영화와 결혼소설 등과 같은 관계이야기가 압도적으로 증가했다. 이러한 이분법적 분석은 20세기 현대적 사랑의 지형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하는 장점을 지니지만, 2차 개인화과정이 안겨준 위험과 해방이라는 양면성을 외면함으로써 20세기 후반 친밀관계의 실상을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제 근대적인 결혼제도가 와해되고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등장하면서 낭만적 사랑의 로맨스가 약화되고 평등한 관계를 지향하는 친밀성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친밀성 연구도 개인적인 관계를 넘어 친밀공동체나 건강한 친밀성과 공공성의 교차지점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맥락에서 셤웨이의 연구는 로맨스와 친밀성의 연구가 나가야 할 방향을 선도했다는 가치와 의의를 지닌다.

keywords
로맨스, 친밀성, 결혼의 위기, 현대적 사랑, 담론의 구조변동, 사랑이야기, 관계이야기, 개인화과정, romance, intimacy, the marriage crisis, modern love, transformation of discourse, love story, relationship story, individualization process

Reference

1.

Shumway, David R., Modern Love: Romance, Intimacy, and the Marriage Crisis, New York and London: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3.

2.

김미경, 「친밀성의 구조변동과 가족구조의 변화: 바우만의 문제의식과 루만의 인식론을 통한 접근」, 『젠더와 문화』 제10권 제2호,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7, 75-101쪽.

3.

김봉률, 『이안 와트의 소설발생론과 장르 정치학』, 동인, 2007.

4.

낸시 암스트롱, 『소설의 정치사: 섹슈얼리티, 젠더 소설』, 오봉희·이명호 옮김, 그린비, 2020.

5.

니클라스 루만, 『열정으로서의 사랑: 친밀성의 코드화』, 정성훈·권기돈·조형준 옮김, 새물결, 2009.

6.

드니 드 루즈몽, 『사랑과 서구 문명』, 정장진 옮김, 한국문화사, 2013.

7.

리타 펠스키, 『페미니즘 이후의 문학』, 이은경 옮김, 여이연, 2010.

8.

베스 L. 베일리, 『데이트의 탄생: 자본주의적 연애제도』, 백준걸 옮김, 앨피, 2015.

9.

변종민, 『존 업다이크의 실존주의 문학세계』, 태학사, 2004.

10.

비비아나 A. 젤라이저, 『친밀성의 거래』,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옮김, 에코리브르, 2009.

11.

사라 에번스, 『자유를 위한 탄생: 미국 여성의 역사』, 조지형 옮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8.

12.

스테파니 쿤츠, 『진화하는 결혼』, 김승욱 옮김, 작가정신, 2009.

13.

스티그 비에르크만, 『우디가 말하는 앨런』, 이남 옮김, 한나래, 2006.

14.

앤소니 기든스,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친밀성의 구조변동』, 배은경·황정미 옮김, 새물결, 2003.

15.

에바 일루즈, 『감정자본주의』, 김정아 옮김, 돌배개, 2010.

16.

에바 일루즈, 『낭만적 유토피아 소비하기』, 박형신·권오현 옮김, 이학사, 2014.

17.

울리히 벡·엘리자베트 벡-게른스하임, 『장거리 사랑』, 이재원·홍찬숙 옮김, 새물결, 2012.

18.

울리히 벡 외, 『위험에 처한 세계와 가족의 미래』, 한상진·심영희 편저, 새물결, 2010.

19.

이정옥, 「로맨스, 여성, 가부장제의 함수관계에 대한 독자반응비평: 제니스 A. 래드웨이의 『로맨스 읽기: 여성, 가부장제와 대중문학』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25권 제3호, 대중서사학회, 2019, 349-383쪽.

20.

이정옥, 『로맨스라는 환상: 사랑과 모험의 서사』, 문학과지성사, 2022.

21.

정성훈, 「사랑 이후 혹은 현대 이후의 힘겨움—친밀관계와 현대사회에 대한 루만의 연구로부터」, 『문학과 사회』 제24권 제4호, 문학과지성사, 2011, 245-251쪽.

22.

정희진, 『아주 친밀한 폭력: 여성주의와 가정폭력』, 교양인, 2016.

23.

지그문트 바우만, 『리퀴드 러브: 사랑하지 않을 권리』, 권태우·조형준 옮김, 새물결, 2013.

24.

질리안 비어, 『로망스』, 문우상 역,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2.

25.

크리스티안 슐트, 『낭만적이고 전략적인 사랑의 코드』, 장혜경 옮김, 푸른숲, 2005.

26.

토머스 샤츠, 『할리우드 장르: 내러티브 구조와 스튜디오 시스템』, 한창호·허문영옮김, 컬쳐룩, 2014.

27.

한영식, 『John Updike의 Rabbit 시리즈에 나타난 인간의 실존 양상』, 한국학술정보, 2006.

28.

홍찬숙, 『개인화: 해방과 위험의 양면성』,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29.

Harvey, Keith & Celia Shalom, Language and Desire: Encoding sex, romance and intimacy,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97.

30.

Hoberek, Andrew, “Modern Love: Romance, Intimacy, and the Marriage Crisis by David Shumway: The Wedding Complex: Forms of Belonging in Modern American Culture by Elizabeth Freeman”, South Atlantic Review, Vol.70, 2005, pp.161-165.

31.

Illuz, Eva, “Modern Love: Romance, Intimacy, and the Marriage Crisis”, Modern Fiction Studies, Vol.51 No.1, 2005, pp.243-246.

32.

Layder, Derek, Intimacy and Power: The Dynamics of Personal Relationships in Modern Society, Palgrave Macmillan, 2009.

33.

Radway, Janice A., Reading the Romance: Women, Patriarchy and Popular Literatur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9.

34.

Sullivan, Karen, The Danger of Romance: Truth, Fantasy, and Arthurian Fiction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8.

35.

Supurlock, John C., “Reviewed Work(s): Modern Love: Romance, Intimacy, and the Marriage Crisis by David R. Shumway”, Journal of Social History, Vol.39 No.1, 2005, pp.287-288.

36.

Yousef, Nancy, Romantic Intimac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