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영화적 경험과 사변적 실재론 - 『영상이미지의 생태학: 영화, 정동, 자연』의 포스트휴머니즘

The Cinematic Experience and Speculative Realism: Posthumanism in Ecologies of the Moving Image: Cinema, Affect, Nature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3, v.29 no.2, pp.255-274
https://doi.org/10.18856/jpn.2023.29.2.007
박미영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애드리안 이바키프(Adrian Ivakhiv)가 2013년 저서 『영상이미지의 생태학: 영화, 정동, 자연』(Ecologies of the Moving Image: Cinema, Affect, Nature)에서 제시한 과정-관계적 분석틀을 영화이론의 역사 안에 위치에 지으면서 방법론적 의의를 살펴본다. 이바키프는 지형학적 사상(geomorphism), 의인화된 사상(anthropomorphism), 그리고 생물적 사상(biomorphism)의 측면에서 영화가 세계를 구축하고 주체를 만들어내는 방식을 설명한다. 여기서 그는 영화의 의미구성에 있어 해석체의 위치를 중요시하는 퍼스의 기호학을 기반으로 영화 관객성 이론에서 주변화된 경험의 차원을 강조한다. 그리고, 화이트 헤드, 들뢰즈를 비롯한 과정 철학자들의 논의를 활용하면서 21세기 대두된 사변적 실재론(speculative realism)과 접속한다. 상관주의를 비판하는 사변적 실재론은 산업 혁명 이후 인류가 지구 환경에 미친 영향을 반성하고 인간의 존재 조건을 유물론적 차원에서 재검토하도록 요청한다. 따라서, 과정-관계적 영화 분석은 사변적 실재론의 관점에서 2000년대 환경주의와 함께 등장한 에코시네마의 개념을 확장한다. 나아가, 이바키프가 암시한 에코시네마의 정동적 역량은 생태철학적 관점에서 포스트휴머니즘을 재고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영상이미지의 생태학』이 현대영화이론의 현상학적 흐름을 이어가면서 생태철학적 입장에서 물질적 전회를 시도하고 있으며, 정동적 차원에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논의에 기여한다는 점을 논의할 것이다.

keywords
ecocinema, speculative realism, posthumanism, ecologies of the moving image, process-relational analysis, material turn, affect, 에코시네마, 사변적 실재론, 포스트휴머니즘, 영상이미지의 생태학, 과정-관계적 방법론, 물질적 전회, 정동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e process-relational framework within the history of film theory that Adrian Ivakhiv suggests in his 2013 book, Ecologies of the Moving Image: Cinema, Affect, Nature. The author highlights three modes of filmic representation, the geomorphic, the anthropomorphic, and the biomorphic, in order to explain how cinema continuously constitutes worlds and subjects. Based on Charles S. Peirce’s triadic model that postulates interaction between the representamen, an object, and an interpretant, Ivakhiv revisits the cinematic experience that has been marginalized in the theories of film spectatorship. His process-relational approach, which is also related to Alfred North Whitehead and Gilles Deleuze’s process philosophy, also encounters speculative realism, a new philosophical movement emerging in the 21 century. Speculative realism suggests affectiv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challenging correlationism in the Anthropocene epoch. It helps us to reconsider the significant human impact on the ecosystem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rethink the condition of human existence from a materialist perspective. Thus, this paper argues that Ivahkiv expands the concept of eco-cinema emerging with environmentalism in the 2000s, in terms of speculative realism. The affective possibility of eco-cinema also can enrich discourses of the posthuman ecophilosophically. In sum, this paper argues that following the phenomenological trend in contemporary film theory, Ecologies of the Moving Image attempts to make a material turn with eco-philosophy, and thus it can contribute to critical posthumanism in terms of affect.

keywords
ecocinema, speculative realism, posthumanism, ecologies of the moving image, process-relational analysis, material turn, affect, 에코시네마, 사변적 실재론, 포스트휴머니즘, 영상이미지의 생태학, 과정-관계적 방법론, 물질적 전회, 정동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