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지아장커 영화의 경관, 지아장커 영화라는 경관 - 영화적 경관의 활용과 문화정치

Scapes of Jia Zhangke's films, Jia Zhangke's films as scapes: The utilization and cultural politics of cinematic scape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3, v.29 no.3, pp.227-283
https://doi.org/10.18856/jpn.2023.29.3.008
이승빈 (연세대학교)
신지연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의 6세대 감독인 지아장커(贾樟柯)의 영화 18개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작가-내부자-관찰자로서의 지아장커의 위치성과 그로부터 드러나는 영화의 경관, 그리고 이것의 문화정치적 함의에 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간연구의 경관에 관한 이론화를 수용하여, 영화적 경관을 사회-공간상의 다감각적 복합체이자 특정한 맥락 아래 있는 개인의 의도와 태도를 경유해 감각되는 것으로 분석한다. 이로써 지아장커 영화의 경관이 단순히 객관적 기록자의 시선이 아니라 공간감과 현실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영상화하는 방법으로 활용됐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경관의 복수성, 특히 미디어스케이프의 작품 내적 활용은 논의의 중요한 관건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유예의 경관의 대상이자 동시에 유예의 경관을 구성하는 주체로서의 피사체-인민의 의미를 살핀다. 이로써 지아장커가 반복적으로 언급해 온 로컬의 사전 규정된 ‘패배자들’이라는 문제계를, 현실과 영화 경관의 비동시성으로부터의 문화정치적 차원으로 (재)사유하는 방식을 탐색한다. 끝으로 지아장커 영화 자체의 경관으로서의 성격 역시 본 연구의 중요한 논의를 이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작가의 사회공간상 위치 이동과 사회-공간의 변화 간의 맞물림 속에서 변모하는 지아장커 영화를 바라볼 때 필요한 심미적·정치적 쟁점을 제기한다.

keywords
Jia Zhangke, scapes, cinematic scapes, cinematic space, mediascapes, simultaneity of nonsimultaneous, cultural politics, suspension, Chinese cinema, authorship, 지아장커, 경관, 영화적 경관, 영화적 공간, 미디어스케이프, 비동시성의 동시성, 문화정치, 유예, 중국영화, 작가론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Jia's position as an author-insider-observer, cinematic scapes that emerge from it, and its cultural political implications, By analyzing 18 films by Jia Zhangke(贾樟柯), one of China's 6th generation directors. To this end, this study draws on theory of scapes from spatial studies to analyze cinematic scapes as socio-spatial multisensory complexes that are perceived through the intentions and attitudes of individuals within a particular context. Through analysis, this study argues that the scapes in Jia's films are not simply the gaze of an objective recorder, but are utilized as a way to more effectively visualize a sense of space and reality. The duplicity of scapes, especially the use of the mediascapes in his films, becomes an important point of discussion.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ways to (re)think the local, predetermined problematic of "losers" that Jia repeatedly refers to as a cultural political dimension of the non-simultaneous of real and cinematic scapes. To this end, it examines the meaning of the subject-people as both objects of scapes of suspension and as political subjects who constitute scapes of suspension. Finally, the characteristic of Jia's films as scapes themselves also forms an important part of this study. Thus, this study raises the aesthetic and political issues necessary to view Jia's transforming films in the interplay between the artist's shifting position in social space and the changes in socio-spatial space.

keywords
Jia Zhangke, scapes, cinematic scapes, cinematic space, mediascapes, simultaneity of nonsimultaneous, cultural politics, suspension, Chinese cinema, authorship, 지아장커, 경관, 영화적 경관, 영화적 공간, 미디어스케이프, 비동시성의 동시성, 문화정치, 유예, 중국영화, 작가론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