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287-8327
화분 분석을 위한 CL-4 시추공 시료는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의항리 천리포 수목원내 논바닥에서 획득하였다 (36 47' 57"N, 126 09' 04"E). 이 지점에서 서쪽 약 200 m부터 서해이다(Fig. 1). 연구 지역의 기후 현황은 서산 기상대의 1968~2005년 38년간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연강수량은 약 1,244 mm, 월 강수량이 100 mm 이상인 달은 6~9월로서 이 시기 강수량은 연강수량의 약 65%(약 811 mm)를 초과하였다. 이는 한반도가 동아시아몬순(동아시아 여름 계절풍)의 영향으로 인한 6~7월 장마, 9월 가을 장마와 8~9월 태풍의 영향으로 이 시기에 강수가 집중된 결과이다. 반면 동절기(12~2월)는 연강수량의 약 7%(약 91 mm) 이하의 강수량을 나타내었다. 기온은 월평균 20℃이상 되는 달이 6~9월이며, 평균 기온이 0℃ 이하인 달은 1~2월이었다. 이는 무덥고 습한 여름과 춥고 건조한 겨울로 정리된다(Fig. 2). 또한 온량 지수(WI)와 한랭 지수(CI)는 각 98.7, 17.6로서 연구 지역이 냉온대 남부 지역의 식생대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Yim and Kira 1975).재료 및 방법퇴적물 채집은 천리포수목원 내의 논 (해발고도 374 cm)에서 기계 시추기에 의해 이루어졌다 . 지표 아래 약 539 cm까지 확보된 시추공 시료를 층위별 구분하여 총 121개의 분석용 시료를 채집해서 화분 분석에 이용하였다 . 한편 층위를 고려하여 12개의 시료를 14C연대측정에 이용하였다. 화분 분석을 위한 시료는 KOH-ZnCl2-Acetolysis법을 이용하여 처리한 후 글리세린 젤리로 봉입(Erdtman 1960)하여 현미경하 400배로 검경하였다.산출 화분포자는 과 또는 속 별로 Trees(고목화분), Shrubs(관목화분), Herbs(초본화분), Spores(포자류)로 구분하였다. 산출 화분수는 고목 화분 출현수 기준 300립 이상 검경하였다. 검경 결과 93종류의 화분상이 확인되었다. 이중 주요한 과, 속 화분포자의 출현율은 고목화분수를 모수로 하여 백분율 (%)로 계산하였고, 화분율을 화분 변천도(pollen diagram)에 나타내었다. 또한 전체 화분 출현수를 모수로 하여 Trees, Shrubs, Herbs, Spores의 출현율 역시 백분율(%)로 계산하여 화분변천도에 통합하였다 .2006년 12월 한반도 중서부 지역의 후빙기 식생 변천사 575의 퇴적물은 모래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실트질로서 퇴적물의 색깔은 주로 dark greenish grey이었다. 퇴적물의 하층부(해발고도 -100 cm 이하)는 해안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굵은 모래가 퇴적되었고, 상부로 갈수록 모래의 입경은 점 작아지고 , 식물
A sediment core from the Cheollipo arboretum (36 47' 57"N, 126 09' 04"E) was studied forpollen analysis in order to reconstruct postglacial vegetational change and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the central 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record shows four pollen assemblage zones: Zone CH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