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0376-4672
국내 한 연구에서 일반인 중 부정교합자가 91.5%였고, 이 중 Angle II급 1류 부정교합은 11.3%로 보고되어1), 서양인의 빈도 보다는 작지만 여전히 상당수의II급 1류 부정교합자가 있음을 알 수 있다. II급 부정교합의 골격성 원인으로 상악골의 과성장, 하악골의열성장, 위 두 가지가 혼재된 경우로 요약할 수 있는데, 한국인의 II급 1류 부정교합자의 골격적 특징에 대한 연구에서 두개저에 대한 상악골의 위치는 정상군과차이가 없었으나, 하악골은 정상군에 비해 후하방에위치하여 주로 하악에 기인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2). 하악골 열성장을 보이는 II급 부정교합의 치료는 소구치 발거를 통한 절충치료 또는 악교정수술을 통해치료가 될 수 있는데, 소구치 발거에 의한 절충치료는외모의 심미성 개선에 한계가 있고, 많은 치아 이동이필요하므로 고정원의 부담이 크며, 치근흡수 및 치은퇴축 등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될 위험이 크다. 그리고악교정수술을 동반한 교정치료는 수술에 따른 위험과비용적 제한이 있다. 한편 성장기 아동은 액티베이터등의 악기능장치를 사용하여 상하악골의 부조화를 치료할 수 있으며, 이미 많은 선학들에 의해 액티베이터가 하악 과두의 성장을 촉진한다고 밝혀져 왔다3,4). 액티베이터에 의해 II급 부정교합이 치료되는 기전에는다양한 이론적 설명이 소개되었는데5), Andresen의전통적인 가설로서 장치에 의한 저작근의reeducation과 이에 따라 유도된 새로운 폐구로에대해 치아와 골격의 적응이 일어난다는 이론6), 장치에의한 외측익돌근 상두의 과활성과 이것의 정상화 과정에서 골격성 적응과 성장이 일어난다는 이론7), 장치에의해 과두가 관절와로부터 unloading 되면 과두와관절와 사이의 점탄성조직에 의해 과두와 관절와의 골개조(remodeling)가 일어나 골격적 적응이 된다는이론이 있다8). 이 외에도 연조직의 점탄성력이 상악치아에 전달되어 주로 치아치조성 이동이 발생된다는견해로 구성교합의 높이를 조정하여 점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이론과9), 상악 구치의 정출은 억제하고 하악 구치의 정출은 허용하는 차등맹출을 통해II급 구치 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이론이 있다10). 액티베이터의 주된 치료 효과는 하악골에 대한 전방성장 촉진이지만 이 외에도 상악골의 성장 억제, 상하악골의 후방 회전, 상악 전치의 설측 경사, 하악 전치의순측 경사 및 하악골의 후하방회전이 발생되는 것으로보고되었다5,11). 하악골의 후하방회전은 골격성 II급 관계를 더욱 악화시키므로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의 치료에 있어 상악골의 수직 성장 조절은 중요하며, 특히 수직 성장 경향을 보이는 환자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Pfeiffer와 Grobety(1975)12) 그리고 Teusher (1978)13)는 수직 성장을 조절하기 위해 액티베이터와구외력을 병용하여 좋은 결과를 보고하였다. 다양한 액티베이터 중 Berlin Standard Activator는 가장 기본이 되는 장치로서, anterior high pull headgear를 병용함으로써 치료기간의감소와 palatal plane의 경사나 상악골의 수직성장에 의한 gummy smile 악화를 방지 또는 치료할 수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수직성장경향을 초기에 정확히 감별진단하기 어려운 경우 액티베이터 사용에 의해 수직성장경향으로 악화되는 것을방지할 수 있다. 본 증례들은 하악 열성장을 보이는 환자들로Berlin standard activator를 사용하였고, 이 중한 증례는 수직성장을 조절하기 위하여 anterior high pull headgear를 병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소개하는 바이다.
1. 강 혜경, 유 영규. 1991학년도 연세대학교 학생을 대상으 로 한 부정교합 빈도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교정학회지 1992;22(3):691-701
2. 경 희문, 권 오원, 김 유경, 성 재현. 한국인 성장기 아동 에서 Angle씨 2급 1류 부정교합자의 골격 특징. 대한치과 교정학회지 1989;19(3):67-78
3. Stockli PW, Willert HG. Tissue reaction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resulting from anterior displacement of the mandible in the monkey. Am J Orthod 1971;60(2):142-155
4. Rabie AB, She TT, Hagg U. Functional appliance therapy accelerates and enhances condylar growth.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3;123(1):40-48
5. 차 봉근. 기능적 악정형장치를 이용한 2급 부정교합의 치료 : 생물학적, 생역학적 고려사항. 대한치과의사협회 지 2001;39(5):353-361
6. Andresen V. The Norwegian system of functional gnatho-orthopedics. Acta Gnathol 1936;1(1):5-36
7. Petrovic AG, Stutzmann J, Oudet C. Orthopedic appliances modulate the bone formation in the mandible as a whole. Swed Dent J Suppl 1982;15:197-201
8. Voudouris JC, Kuftinec MM. Improved clinical use of Twin-block and Herbst as a result of radiating viscoelastic tissue forces on the condyle and fossa in treatment and long-term retention: growth relativit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0;117(3):247-266
9. Woodside DG. The activator. Graber TM, Neumann B.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s. Saunders. 1977
10. Harvold E. Some biologic aspects of orthodontic treatment in the transitional dentition. Am J Orthod 1963;49(1):1-14
11. 김 준헌, 이 진우. 성장기 Ⅱ급 부정교합자에서 골격 형 태에 따른 액티베이터 사용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치 과교정학회지 2007;37(1):29-43
12. Pfeiffer JP, Grobety D. The class II malocclusion: differential diagnosis and clinical application of activators, extraoral traction, and fixed appliances. Am J Orthod 1975;68(5):499-544
13. Teuscher U. A growth-related concept for skeletal class II treatment. Am J Orthod 1978;74(3):258-275
14. 차 봉근, 주 상환, 조 형준, 민 선희. II급 부정교합의 치 료(3): 액티베이터와 anterior high pull headgear를 이용 한 II급 1류 부정교합 치료.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7;35(5):276-278
15. Lehman R, Hulsink JH. Treatment of Class II malocclusion with a headgear-activator combination. J Clin Orthod 1989;23(6):430-433
16. 최 남기, 김 정란, 양 규호. Activator 와 Anterior high pull headgear를 이용한 골격성Ⅱ급 부정교합의 치험례. 대한소아치과학회지 1999;26(1):126-132
17. van Beek H. Combination headgear-activator. J Clin Orthod 1984;18(3):185-189
18. Tulloch JF, Phillips C, Koch G, Proffit WR. The effect of early intervention on skeletal pattern in Class II malocclusio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7;111(4):391-400
19. Croft RS, Buschang PH, English JD, Meyer R. A cephalometric and tomographic evaluation of Herbst treatment in the mixed denti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9;116(4):435-443
20. Wieslander L. Long-term effect of treatment with the headgear-Herbst appliance in the early mixed dentition. Stability or relaps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3;104(4):319-329
21. Pancherz H, Anehus-Pancherz M. Muscle activity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s treated by bite jumping with the Herbst appliance. An electromyographic study. Am J Orthod 1980;78(3):321-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