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보철치료를 위한 치아 이동

Adjunctive orthodontic therapy for prosthodontic treatment

Abstract

상실 치아를 수복하는 것은 보편적으로 행해지는 방법이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치아가 상실된 채 방치된다면 대합치의 정출이나 인접치의 경사, 치조제의 수직적 및 수평적 흡수가 일어나 상실 부위의 수복이 어려워진다. 이런 상황에서는 치아를 수복하기 전에 교정적 치료가 필요하다. 전치부가 가지런하지 못하거나 치아 크기가 균형적이지 못해 adjunctive orthodontic therapy(보조적 교정치료)를 통해 기능 및 심미의 개선을 꾀하기도 한다. 이렇게 전치를 적절히 배열하여 적합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면, 수복에 필요한 공간의 보존이 가능하여, 원하는 치간골이나 치은 공극의 형태를 유지하여 더욱 심미적으로 수복할 수 있다. 대부분의 치열 상실의 경우 보철 수복 전 교정치료가 필요하다. 보철 전 교정 치료가 행해지지 않는다면 그림 1-A 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도 생길 수 있다. Skeletal anchorage(골 고정원)를 사용하여 목표 치아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많은 성인 환자의 경우에서 보조적 교정 치료의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효율적이면서도 간단한 skeletal anchorage(골 고정원)를 사용하여 치료 기간은 단축할 수 있고, 복잡한 구내 장치의 생략이 가능하여 환자의 불편감은 감소하게 된다. 그림 1-B, C는 adjunctive orthodontic therapy(보조적 교정치료) 시 mini-screw와 부분고정 장치만을 적용한 경우이다. Interdisciplinary approaches(상호 협력 진료)를 통해 긍정적인 기능적, 심미적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최대한으로 얻기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적극적으로 치료 전에 가장 적합한 치료 계획을 수립을 위해 협력을 해야 한다. 특히 공간을 만들거나 없애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결정을 하기 전에 관련된 전 문가들끼리 서로 확인하고 의견을 나누어야 한다. 이런 협력과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 결과는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저자는 이번 연구에서 임플란트 식립 공간의 창출하는 데에 adjunctive orthodontic therapy(보조적 교정치료)를 mesiodistal 그리고 vertical space regaining으로 나누어 생각해보고자 한다.

keywords
adjunctive orthodontic therapy, space regaining, prosthodontic treatment, interdisciplinary approach

참고문헌

1.

1. Chaushu G, Chaushu S. The use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immediate implant loading to restore the traumatic loss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Int J Adult Orthod Orthognath Surg. 2001;16:47?53

2.

2. Chan E, Darendeliler MA, Vickers D, et al. Implants and orthodontics. Brighter Futures. Newsletter of the Australian Society of Orthodontists. 2006;3:1-4.

3.

3. Kois JC. Predictable single-tooth peri-implant esthetics: five diagnostic keys. Compendium. 2004:25(11):585

4.

4. Murakami T, Yokota S, Takahama Y. Periodontal changes after experimentally induced intrusion of the upper incisors in Macaca fuscata monkey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9 Feb;95(2):115-26.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