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치러낸 ‘기록관리 현안’은 기록공동체가 기록전문성의 본질과 사회적 가치를 다시 한 번 근본적으로 성찰하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직 연구의 주요 문헌을 검토하여, 기록관리 전문성을 바라보는 더 근본적인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전문성에 관련된 주요 개념을 살펴보고, 전문직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인 배타적 특권과 실천 의무의 양면성을 검토하였다. 전문직 연구의 일반론을 기록전문직에 대비하여, 실무와 기반 학문의 관계, 윤리규정과 협회와의 관계 등 기록전문성의 주요 쟁점사안을 조명하였다.
Records and archives community was forced to face the essence of and social values of its professionalism.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providing a broader and fundamental perspective to shed lights on professionalism in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s. It reviews key concepts from the professionalism literature and scrutinized professional commitments and exclusive privileges, which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Fundamental issues involved in records and archives profession are also taken into account,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s well as between professional ethics and professional association.
강인호. (2007). 미국의 전문직업주의가 자치단체 공무원퇴출에 주는 정책시사점.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4(2), 271-290.
구혜란. (2003). 전문직 자율성의 사회경제적 토대: 이론적 접근. 한국사회학, 37(2), 231-248.
김기영. (2008). 전문직으로서의 사서직 논의를 위한 이론적 접근.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313-333.
김세익. (1982). 도서․인쇄․도서관사:종로서적.
김용근. (2002). 한국 사서직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4), 283-306.
김현자. (2008). 유아교사 전문성 관련 논의의 접근방법과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197-221.
김혜선. (1994). 사서직 윤리에 관한 연구.
김희정. (2007). 국외 기록관리 전문직 유형 및 역할 분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1), 129-143.
박은영. (2007). PR전문성에 대한 교육자, 실무자, 전공학생의 인식 연구. 한국언론학보, 51(5), 443-472.
박은정. (2009). 기록관리자 직능단체 설립방안 연구.
송정숙. (2010). 전문직으로서의 기록관리직: 전문직은 어떻게 형성되며, 기록관리직이 준수해야 할 윤리강령은 무엇인가?, In 기록관리론:아세아문화사.
신은영. (2006). 전자기록환경에서의 아키비스트 윤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113-132.
오항녕. (2003). 아키비스트의 역할과 윤리. 기록학연구, (7호), 109-127.
이경원. (2010). 한국 법조의 자율성과 공공성. 경제와 사회, (86), 125-161.
이경원. (2002). 한국 법조인의 행태적 특성 분석. 한국 사회와 행정 연구, 13(1), 183-205.
이선우. (2009). 전문직관점에서 본 전국사서협회의 성립과 소강. 정보관리학회지, 26(1), 259-278.
이숙경. (2010). 간호사의 전문직업성 가치; 병원 소비자를 대상으로. 질적연구, 11(2), 119-133.
이은주. (2003).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성과 정체성 확립에 대한 고찰: 간접적 개입과 관련하여. 상황과 복지, 16, 203-245.
이정훈. (2006). 한국 언론인의 직업 정체성: 샐러리맨화의 역사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6), 59-88.
이제환. (2003). 전문직 이론을 통해 사서직의 전문성.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57-87.
이홍직. (2007).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식 연구. 사회과학연구, 23(3), 151-172.
전병재. (1995). 한국사회의 전문직업성 연구:사회비평사.
정연경. (2010). 기록관리학의 발전: 기록관리학의 시작, 학문적 특성, 그리고 나아가야 할 길은 무엇인가?, In 기록관리론:아세아문화사.
정태철. (2005). 언론 전문직업인주의(professionalism)의 필요성: 1987년 민주화 이후 한국 언론의 문제와 개혁에 대한 논의. 언론과학연구, 5(2), 417-454.
하승수. (2011). 위험한 전문가들.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블로그. http://www.opengirok.or.kr/2325.
Abbott, A.. (1988). The System of professions: An Essay on the division of expert labor: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Barley, S. R.. (1991). Introduction: At the intersection of organizations and occupations, In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s, v.8:JAI Press.
Freidson, E.. (2007). 프로페셔널리즘: 전문직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과 전망:아카넷.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1999). 아키비스트 윤리규약. 기록보존, 12, 263-276.
(1987).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Longman.
McDonald, K. M.. (1999). 전문직의 사회학: 의사, 변호사, 회계사의 전문직프로젝트 연구:일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