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598-1487
  • E-ISSN2671-7247

기록관리전문직의 핵심역량에 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Core Competencies of Archivists & Records Manager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2, v.12 no.1, pp.117-139
https://doi.org/10.14404/JKSARM.2012.12.1.117
이은영 (부산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인적자원개발에 유용한 역량을 중심으로 기록관리전문직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역량을 직업적 역량인 직무, 지식, 기술과 내면적 역량인 흥미, 성격, 가치로 나누고 O*NET(미국직업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역량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55개의 역량 요소를 바탕으로 국가기록원,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대학교 소속의 기록물관리를 담당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한 설문 응답은 PASW 18.0을 이용하여 중요도와 보유수준 및 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기록관리전문직이 인식하는 역량의 중요도와 보유수준 및 이 양자의 차이를 제시하였으며, 소속기관과 경력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도 제시하였다. 또한, O*NET에 나타난 역량의 중요도 순위와 비교하여 미국과 한국 기록관리전문직의 인식 차이를 제시하였다.

keywords
기록관리전문직, 역량, 핵심역량, archivist, records managers, competency, core competency, archivist, records managers, competency, core competenc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importance and holdings of competenc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s and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quantum. For these purposes, I derived six competencies(tasks, knowledge, skills, interests, work values and attitudes) from O*NET and used this by questionnaire. Survey is conducted to archivist and records managers in National Archives, central government agencies, municipalities, school districts and universities. Through this analysis, I seized core competencies and holdings of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quantum by organization and career. In addition, I suggeste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competency importance.

keywords
기록관리전문직, 역량, 핵심역량, archivist, records managers, competency, core competency, archivist, records managers, competency, core competency

참고문헌

1.

나영. (2009). 통계적 연구방법론의 이해:신영사.

2.

명지대학교기록과학대학원. (2006). (최종보고서)기록관리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 및 교육방안. .

3.

박경진. (2007). 학습자원관리자로서 도서관 사서의 핵심역량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국가 기관급 도서관을 중심으로.

4.

백진경. (2005). 사서의 역량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중요성 인식도 연구.

5.

신효숙. (2010). 간호사의 핵심역량 중요성 인식과 교육요구 분석.

6.

양승호. (2005). 제약회사 영업 사원 핵심 역량 분석에 관한 연구.

7.

오승영. (2008).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에 관한 실증 연구 :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8.

우수명. (2010). 마우스로 잡는 PASW 18.0:인간과복지.

9.

유경석. (2007). 증권사 지점영업직원의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10.

이상신. (2010). 국내 HRD담당자의 e-Learning 교수설계자로서의 역량 인식에 대한 연구.

11.

이중섭. (2009). 대학행정직원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과 교육 수요에 관한 연구 : 거점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12.

이진렬. (2010). 기록연구직의 훈련을 위한 역량(Competency)에 관한 연구 (-). 전국기록인대회 발표 자료집. 한국기록관리학회․한국기록학회.

13.

정규남. (2011). 교육행정공무원의 리더십 역량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교육청 교육행정 5급 공무원을 대상으로.

14.

정유정. (2007). 법률비서의 역량 중요도에 관한 연구.

15.

Association of Commonwealth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ACARM) Officers. ACARM Records Management Guides.

16.

Australian National Training Authority (ANTA). BSB01 Business Services(Recordkeeping)Training Package.

17.

Eileen Abels. (2003). Competencies for Information Professionals of the 21st Century Revised edition:SLA.

18.

Hoy, M.. (2004).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rchival Institutions: The contribution of competency standards Archives (-). Memory & Knowledge, Proceedings of the XVth International Congress on Archives.

19.

K. Anderson. (2003). Access and partnerships: issues in professional education (-). Proceedings of the Archives and Records Education Stakeholders(ARES) Forum.

20.

Lyle M. Spencer. (1993).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PSI컨설팅.

21.

R. Cox. (1990). American Archival Analysis: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Archival Profession in the United States:The Scarecrow Press.

22.

Rothwell, W.J.. (1998). Mastering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A Systematic Approach:Jossey-Bass Publishers.

23.

T. Thomassen. (2001). Modelling and re-modelling archival education and training. Reading the Vital Signs: Archival Training and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 European Conference for Archival Educators and Trainers.

24.

미국 직업정보시스템. http://www.onetonline.org.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