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 시내 5개 대학병원의 의무기록 관리자들이 생각하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구현 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요소의 중요도를 설문조사하였다. SPSS 20.0(ver)을 이용하여 중요도 점수는 5점 척도의 평균으로 도출하여 순위를 정하였고 응답자 특성에 따른 중요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90%의 응답자가 국가기록원에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을 고시하고 있음을 모르고 있었다. 가장 중요도가 높은 요소는 ‘비밀등급 설정’ 이었으며 ‘의무기록 접근행위종류’, ‘내부직원 권한 설정’, ‘의무기록 이용접근자’ 요소가 그 다음 순위를 보여 기록정보보호 측면에서의 관리 기능 강화를 필요로 함을 알 수 있다.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하여 ‘외부공개’는 중요도가 낮은 관리요소로 평가되었으나, 전자의무기록 도입 7년 이상인 기관의 관리자들은 7년 미만의 관리자 보다 유의하게 이 세 가지 요소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였다. 이는 정보 축적에 따라 의학연구, 의학교육 등에서의 정보 이용에 대한 관리 기준과 시스템상의 적용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o comprehen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cord management metadata standard implemented i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a survey was undertaken to 50 medical records managers in charge of 5 major hospitals in Seoul.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was performed by averaging the responses given by those who answered the survey. SPSS was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is. Managers of medical records placed importance on metadata that are related to security of records, such as “levels of security”, “types of access to medical records”, “levels of authorization granted to personnel”, and “users accessing medical records”. It shows that these managers need the functions of privacy protection in ERMS. Metadata on “external disclosure” had the lowest level but those surveyed with more than 7 years of experience placed greater importance in this area more those surveyed with less than 7 years of experience in a hospital. This shows that managers need the functions of external disclosure to meet the needs of third partiesfor medical research and medical education.
설문원. (2004). 행정기관의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요소 분석 - ISO 15489를 기준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1), 217-242.
설문원. (2005). 국가 기록관리 표준 정비의 방향.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1), 137-169.
이소연. (2004). 전자기록관리시스템(ERMS) 설계표준의 기능요건 분석- ISO 15489를 기준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1(3), 227-250.
이은미. (2012). 의무기록관리의 현황과 개선방안: KS X ISO 15489표준의 Y병원 적용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9(3), 257-285.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3.257.
이주연. (2013). 대형 대학병원의 의무기록관리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1), 107-134.
이흔아. (2007). KS X ISO 15489를 통해본 건설기록물 관리 현황.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113-138.
정용엽. (2012). 보건의료정보의 법적 보호와 열람․교부. 의료법학, 13(1), 359-395.
정혜정. (2009). 보건의료의 정보화와 정보보호관리 체계. 정보보호학회지, 19(1), 125-133.
조익성. (2008). 임상 정보교환을 위한 HL7-CDA 기반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통신학회논문지B, 33(5), 379-385.
김유승. (2008).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아세아문화사.
행정안전부. 의료기관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홍준현. (2012). 의무기록정보관리학:고문사.
황득영. (2010). 의료정보 공유를 위한 HL7 인터페이스 엔진 구현.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5(8), 89-98.
채영문. (2011). The Adop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Decision Support Systems in Korea.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17(3), 172-177.
유수영. (2012).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s Electronic System for Total Care.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18(2), 145-152.
Public Record Office. Requirements for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2: Metadata Standard.
The National Archives. What's an Archivist?. http://www.archives.gov/about/info/whats-an-archivist.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