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개별적으로 생산․관리하고 있는 축제기록물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메타데이터와 축제기록물에 대한 문헌조사 및 한국, 호주, 영국의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을 분석하고 축제조직위원회의 축제기록물 담당자 면담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축제기록물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한 메타데이터를 제안함으로써, 축제와 관련된 다양한 기관들로부터 생산되는 기록물의 통합관리의 효율성을 확보하여 축제 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했다.
This study proposed a metadata schema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estival archives and records produced individually. To achieve the goals, this study reviewed related literature, studied comparison analysis of international standards in Korea, Australia, and England, as well as interviews with festival staffs. With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that compared the standardizations related to metadata and analysis of features in festival archives and records, this study proposed a metadata schema to describe various features on festival archives and records. The expec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festival archives and records, which are created in various organizations related to festivals, can be managed effectively. Also, the proposed schema can be us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management for various types of festival archives and records.
국가기록원. 시청각기록물 관리 실무 매뉴얼.
국가기록원. (2010).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국가표준화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국가기록원.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v2.0).
김용. (2008). 이메일기록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요소선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4), 87-113.
김은실. (2010). 지역 축제기록의 기록화 방안 연구.
김은아. (2010). 수원시 축제기록 관리 방안.
김채련. (2010). 지역축제기록물 관리방안 연구 : 함평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철원. (2001). 문화관광축제 육성방안. 한국관광연구원.
대통령기록관. 대통령기록물 기술․정리 지침.
문화체육관광부. (2013). 2013년 전국시도별 지역축제 개최계획. 문화체육관광부.
양월운. (2009). 지역문화자산으로서의 활용을 위한 지역축제기록 관리방안 연구 : 한국과 해외사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오순환. (1999). 지역축제의 실제와 경제적 효과. 관광학연구, 22(3), 202-221.
오정근. (2010). 기호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축제의 의미와 의미구조:한국학술정보(주).
이정연. (2009). 구술사 기록물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모델링 및 표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1), 163-184.
이진경. (2009). 방송 기록물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연구 - MBC TV 프로그램 기록물 현황을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269-295.
이진아. (2013). 부산지역 축제기록 관리와 활용방안 : 부산문화관광축제조직위원회를 중심으로.
조태영. (2011). 지역축제 방문객의 방문동기에 따른 지역축제 이미지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금산 인삼축제 방문객을 중심으로 -. 관광연구, 26(1), 421-440.
조현양. (2013). 개별관리 대통령기록물의 연계관리를 위한 통합 메타데이터 설계 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1), 105-124. http://dx.doi.org/10.4275/KSLIS.2013.47.1.105.
Cunningham, Adrian. (2001). Six degrees of separation: Australian metadata initiativ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Archival Science, 1, 271-283.
Hirwade, Mangala Anil. (2011). A study of metadata standards. Library Hi Tech News, 28(7), 18-25.
ISO. ISO 15489-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records management.
ISO. ISO 23081-2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managing metadata for records.
Lourid, Irene. (2007). A multi-layer metadata schema for digital folklore collection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3(2), 197-213.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Australia government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version 2.0.
Rao, R. (1995). Rich interaction in the digital library. Communication of the ACM, 38(4), 29-39.
The National Archives. Requirements for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제1169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