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aims to interrogate the layered and dependent structure of the modern and official document management in Korea and Japan from 1894 to 1910. The focus of its study is on documents related with the strategic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n Jeonbuk Province through an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 archival studies. For this study, the chosen period was when Japanese imperialists were on their way to seize the Korean official archival system. As such, our objects are the documents connected with the institution of the Japanese resident-general system in Korea and its infrastructural constructions as part of Japan’s war plans of invading the continent. Among others, we examined the documents of the strategic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round Jeonju in Jeonbuk Province by Imperial Japan, in order to wage the Sino-Japanese War and subdu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More specifically, we illuminate the sources and organization of the approval of the original documents in a higher level that is relevant to the determination of political, financial, and personnel matters, which were designed for the Japanese governmental rule over Korea from the era of the Gabo Reform to the period of the Japanese resident-generals, as well as analyze the actual states of the official documents ina lower level, which were drawn up by Korean government and the resident-general. Consequently, this paper suggests that official Korean archival system at this time must be understood under the context of a layered and dependent structure within the vertical connec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not from the point of view of a national history.
大韓帝国議政府. 統監府来志案.
大韓帝国議政府. 統監府来案一.
統監府. 統監府例規綴.
日本内閣総理府. 御署名原本.
日本内閣総理府. 公文類聚.
日本内閣総理府. 公文雑纂.
日本内閣総理府. 任免裁可書.
陸軍省. 陸軍省大日記.
外務省. 外務省外交史料.
內閣官房記錄課. (1927). 現行法令輯覽 上:帝國地方行政學會.
강창석. (1995). 한국통감부연구:국학자료원.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구한국외교문서.
국립전주박물관. (2003). 大韓帝國期 古文書:국립전주박물관.
국사편찬위원회. 일제강점기 경성지방법원 형사사건기록 해제.
宮内彩希. (2010). 日清戦争における朝鮮人人夫の動員. 日本植民地研究, 22, 53-69.
權泰檍. (1994). 갑오개혁 이후 공문서 체계의 변화. 奎章閣, 17, 77-98.
김건우. (2006). 갑오개혁기 공문식과 공문서의 변화. 古文書硏究, 29, 137-162.
김건우. (2007). 구한말 궁내부의 공문서 관리 규칙에 관한 일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1), 111-128.
김건우. (2008). 근대 공문서의 탄생:소와당.
김건우. (2008). 통감부시기 토지가옥 증명문서에 관한 고찰. 법사학연구, (37), 71-97.
김경남. (2003). 일제하 근대도시 인천에 관한 공문서. 인천학연구, 2(1), 555-571.
김경남. (2005). 日帝强占期 釜山地域 市街地計劃 公文書. 港都釜山, 21, 219-259.
김경남. (2012). 한말 진해만요새지대 형성과 도시개발의 변형. 항도부산, 28, 1-51.
김경남. (2014). 제국의 식민지·점령지 지배와 ‘전후보상’ 기록의 재인식조선의 식민지지배·보상처리 결재구조와 원본출처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9), 282-319.
金慶南. (2015). 地域と軍隊 帝国の最前線:吉川弘文館.
김경남. (2015). 1894-1930년 ‘전통도시’ 전주의 식민지적 도시개발과 사회경제구조 변용. 한일관계사연구, (51), 225-280.
김문식. (2009). 규장각-그 역사와 문화의 재발견: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金相淏. (1986). 朝鮮時代의 公文書管理. 書誌學硏究, (창간), 157-175.
김재순. (1992). 韓國 近代 公文書管理制度의 變遷. 기록보존, 5, 35-49.
金才淳. (1995). 일제의 公文書制度 장악과 운용의 실제. 韓國文化, 16, 353-384.
김재순. (1997). 국가기록 분류체계의 변천과 개선방향. 기록보존, 10, 79-91.
金泰雄. (1995). 甲午改革期 全國 邑事例 편찬과 `新定事例'마련. 國史館論叢, 66, 43-60.
金泰雄. 대한제국의 역사적 위치. 大韓帝國期 古文書.
金泰雄. (2000). 甲午改革 前後 地方公文書管理의 변화. 奎章閣, 23, 141-155.
김현숙. (1999). 한말 조선정부의 고문관정책(1882-1904). 역사와 현실, 33, 217-255.
大宅儀一. (1941). 公文起案の実際:朝鮮図書出版株式会社.
大藤修. (1986). 資料保存と文書館学:吉川弘文館.
渡邊佳子. (1996). 記録史料の管理と文書館:北海道大学図書刊行会.
渡邊佳子. (2013). 内閣制創設期における記録局設置についての一考察. GCAS Report 学習院大学大学院人文科学研究科アーカイブズ学専攻研究年報. 学習院大学.
渡邊佳子. (2015). 歴史学が問う公文書の管理と情報公開:大月書店.
李相燦. (1997). 규장각소장 자료의 公文書 分類圖章에 대하여. 書誌學報, 20, 49-81.
박성준. (2008). 대한제국기 公文書의 편철과 분류. 서지학연구, (41), 317-354.
박성준. (2009). 갑오개혁~대한제국기 공문서의 보존기간 起算과 책정 기준. 韓國史學報, (35), 261-294.
박준호. (2006). 經國大典 체제의 문서 행정 연구. 古文書硏究, 28, 111-128.
石渡隆之. (1975). 公文類聚の構成. 北の丸, 14, -.
손정목. (1986). 한국 개항장 사회구조변화연구:일지사.
시귀선. 대한제국시기 기록문화. 大韓帝國期 古文書.
申炳周. (2006). 왕실에서의 기록물 생산과 보존. 古文書硏究, 28, 1-15.
신병주. (2008). 조선후기의 기록물 편찬과 관리. 기록학연구, (17), 39-84.
安藤正人. (2015). 歴史学が問う公文書の管理と情報公開:大月書店.
왕현종. (2003). 한국 근대국가의 형성과 갑오개혁:역사비평사.
이경용. (2002). 한말 기록관리 제도 연구-공문서관리 규정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 161-223.
이경용. (2002). 한국의 근현대 기록관리제도사 연구 : 1894~1969년.
이승엽. (2014). 일본 국회도서관 헌정자료실 및 공공문서관 소장 이왕가 관련 문서의 현황과 연구. 藏書閣, (31), 80-106.
이승일. (2004). 조선총독부 공문서 제도 -기안에서 성책까지의 과정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9), 3-40.
이승일. (2007). 조선총독부의 기록수집 활동과 식민통치. 기록학연구, (15), 3-37.
이영학. (2007). 갑오개혁 시기 기록관리제도의 변화. 역사문화연구, (27), 89-126.
이영학. (2014). 통감부의 기록장악과 조선침략. 기록학연구, (41), 213-259.
이원순. (1990). 한말 일본인 고빙문제연구. 한국문화, 11, 537-582.
일본 国立公文書館 아시아역사자료센타. http://www.jacar.go.jp/DAS/meta/MetaOutServlet.
鄭肯植. (2002). 韓國近代法史攷:博英社.
정일균. (2009). 高宗時代 公文書 硏究: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정일균. (2014). 갑오개혁기 정부의 공문서제도.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101), 267-310.
지수걸. (2005). 기록사료관리와 근대:진리탐구.
채미하. (2004). 일본근대역사기록물의 분류와 기술. 한국국가기록연구원.
千葉功. (2015). 歴史学が問う公文書の管理と情報公開:大月書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