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the Meaning of Story Collection in Popular Song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6, v.16 no.3, pp.69-97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3.069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For a long time, popular songs have been our source of happiness. They go along with the flow of the generation, allowing them to acquire a significant meaning. Popular songs thus reflect the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in the study of popular song archives, there has been an interest only in the information of the songs sung by a singer, the type of songs, and the type of singers. Thus, existing popular song archives were not able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of the generation when the songs were popular. Therefore, this paper searched for ways by which to archive not only popular song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during the time when these songs were famous, and suggested a story collection through the methods. These stories reflect the lives of the peop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during the periods when the songs were popular. Furthermore, these stories go beyond popular songs, making it possible for us to look dimensionally on the society we are affiliated in.

keywords
대중가요 아카이브, 이야기 컬렉션, 일상 아카이브, 대중의 삶, 사회상, Popular song archive, story collection, archives of everyday life, public life, social conditions

Reference

1.

곽건홍. (2011).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기록학연구, (29), 3-33.

2.

김용학. (2015). 한국 대중가요의 의미 연결망-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변화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1(1), 145-171.

3.

김정아. (2013). 미디어 음악:커뮤니케이션북스.

4.

김종덕. (2008). 개인 블로그를 통한 자기기술(自己技術)의 변화.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8(8), 128-146.

5.

김지미. (2014). 1980년대를 ‘기억’하는 스토리텔링의 전략-<써니>와 <변호인>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0(3), 7-40.

6.

김철웅. (2015). 노래는 위로다:시사 IN 북.

7.

박범종. (2015). 대중가요로 읽어내는 정치와 시대상. 동북아 문화연구, 1(45), 169-186. http://dx.doi.org/10.17949/jneac.1.45.2015.12.010.

8.

박성서. (2010). 한국전쟁과 대중가요, 기록과 증언:책이 있는 풍경.

9.

박수연. (2013). 한국 주크박스 뮤지컬에서 사용된 대중음악 연구 : 변형과 기능을 중심으로.

10.

박재환. (2008). 일상생활의 사회학적 이해:한울아카데미.

11.

설문원. (2012).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3-44.

12.

신동흔. (2009). 현대의 여가생활과 이야기의 자리-생활현장 속 이야기문화의 회복을 위하여-. 실천민속학 연구, 13, 5-34.

13.

심성보. (2011). 일상 아카이브즈를 통한 생활세계 연구의 가능성.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국제한국학연구, 5, 93-109.

14.

안병직. (2012). 한국 생활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歐美학계의 일상사 연구경향과 비교의 관점에서. 역사학보, (213), 409-423.

15.

앙리 르페브르. (2005). 현대세계의 일상성:기파랑.

16.

우정권. (2009). 문명의 변화와 내러티브:도서출판 월인.

17.

이순화. (2011). 1960년대 한국 음악영화에 나타난 신파성.

18.

이형수. (2012). 대중음악가 아카이빙 방안 : 김광석을 중심으로.

19.

장유정. (2015). 한국 대중음악사 개론:BM성안당.

20.

전호순. (2012). 대중가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조용필의 사례를 중심으로.

21.

정효진. (2016). 주크박스 뮤지컬에서 사용되는 김광석의 음악에 관한 연구 : 뮤지컬 그날들과 바람이불어 오는곳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22.

조정임. (2011). 대중음악 기록관의 구축과 기록관리.

23.

주혜성. (2013). K-POP 아카이브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24.

최효진. (2015).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 “5월12일 일기컬렉션”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6), 95-152.

25.

키스 젠킨슨. (1999).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혜안.

26.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음악산업백서 2014:한국콘텐츠진흥원.

27.

조윤식. (2015). [ 책 속을 걷다 ] 책장을 넘어 산을 오르자 !. http://www.emount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02.

28.

(2015). 다큐 1 광복 70 년 시대의 사운드트랙 2 부작 (1TV, 9 월 24 일 ~25 일 ). http://office.kbs.co.kr/mylovekbs/archives/178680.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