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사는 살아있는 사람의 이야기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구술사를 통해서 수집된 자료는 단순한 사실이나 정보의 덩어리가 아니라, 구술자의 인격을 온전하게 드러내는 사람 그 자체이다. 이런 까닭에 구술사연구와 자료 수집 및 활용은 엄격한 윤리적인 기준에 입각해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생명윤리법」은 인간대상연구에 대해서 비슷한 관점을 공유하면서,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와 관리 대상으로 구술사를 포함하고 있다. 그렇지만 「생명윤리법」의 인격과 권리 보호는 생명과학연구를 중심으로 작성된 것으로, 사람을 상대로 가치 지향적이고, 비판적인 접근이 이루어지는 구술사를 비롯한 질적 연구에 합당하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생명윤리법」의 인간대상연구와 관련된 규정의 상세한 내용을 알아보고, 그것이 구술사와 같은 인문사회과학연구에 적용될 때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점검하였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하여 구술사 연구가 학문적 독자성과 자율성을 유지하면서 지속가능할 수 있는 방법적인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Oral history research is carried out through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living person. The data collected from an oral history project is not a mere fact or a mass of information but accounts of persons who reveal their own personalities. For this reason, oral history research and data collection and the use of such data must be based on rigorous ethical standards. The Bioethics and Safety Law shares a similar view on human subject research, and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s includes human subject research as a subject of review and management. However, the Bioethics and Safety Law's protection of personalities and human rights focuses on life sciences methodologies, which are not suitable for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an oral history of a value oriented and critical approach to human beings. This study examines the details of the Bioethics and Safety Law related to human subject research and the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this law is applied to subject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uch as oral history. Through this study, alternative methodologies, which can be used for oral history research, while maintaining academic autonomy, are suggested.
김시형. (2016). 사회행동과학연구의 특성에 따른 심의: 험프리스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생명윤리, 17(1), 17-34.
김은애. (2015).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연구에 대한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심의면제 근거규정에 대한 고찰. 한양법학, 26(2), 43-73.
박윤형. (2012). 최신 생명윤리법: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생명윤리정책연구센터. (2010).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개정 방안 연구. 생명윤리정책연구센터.
윤택림. (2006). 새로운 역사 쓰기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아르케.
이호신. (2012). 구술자료의 인격적인 권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47-69.
이호신. (2017). 구술자료의 수집과 서비스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법의 도전.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1), 193-216. http://dx.doi.org/10.14404/JKSARM.2017.17.1.193.
정향진. (2016). 질적연구와 연구윤리심의 (47-55). 2016 한국구술사네트워크 워크숍: 구술자료의 윤리적 법적문제에 대한 이해.
조홍석. (2014).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체계. 한양법학, 25(4), 487-502.
최병인. (2014). 사회행동과학연구에서의 IRB의 이해 (7-17).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구술사학회. (2017). 연구윤리규정. http://www.koha2009.or.kr/html/sub3_05.html.
한국연구재단. (2016). 연구윤리 질의응답:한국연구재단.
박준규. (2016). IRB와 구술사 연구윤리 : 한민족다문화 협력적 구술생애사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7(2), 133-161.
Hamburger, Philip. (2004). The New Censorship : Institutional Review Boards. The Supreme Court Review, 2004, 271-354.
Oral History Association. Information about IRBs. http://www.oralhistory.org/information-about-irbs/.
Neuenschwander, John A.. (2009). A Guide to Oral History and Law:Oxford Press.
Neuenschwander. (2016). 현대 구술사 연구의 현장:선인.
Shea, Christopher. (2000). Don’ Talk to the Humans The Crackdown on Social Science Research. Lingua Franca, 10(6), 26-34.
Shopes, Linda. Oral History, Human Subjects, and Institutional Review Boards, Oral History Association. http://www.oralhistory.org/aboutdo-oral-history/rl-history-and-irb-review.
Shopes, Linda. (2007). Negotiating Institutional Review Board. https://www.historians.org/publications-and-directories/perspectives-on-history/march-2007/institutional-review-boards.
Ward, Alan. Is your oral history legal and ethical?. http://concernedhistorians.org.
개인정보 보호법 (법률 제14107호).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법률 제7150호, 2004.1.29. 제정).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법률 제14438호, 2016.12.20. 개정).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보건복지부령 제41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