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시각장애자를 위한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점자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rvices for Blind People - Focused on Braille Libraries in Korea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02, v.13 no.1, pp.215-230
김지현 (교토대학대학원 교육학연구과 교육과학전공)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정보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보급 등 이른바 IT대혁명으로 시각장애인의 정보환경이 변화하면서, 점자도서관의 위치가 흔들리고, 점자도서관의 존재여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왜냐하면 반드시 점자도서관을 통하지 않고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로가 생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까지 선행된 시각장애인의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른 서비스의 변화내용은 찾아볼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자에게 있어서 점자도서관의 위치와 그 의미를 확고히 하고자,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점자도서관의 서비스 변화의 동향을 분석한 후, 점자도서관 서비스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의 점자도서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과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된 점자도서관서비스의 동향이 여러면에서 보였으며. 이러한 동향을 바탕으로 인터넷을 활용한 점자도서관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상의 정보유통을 보조하는 기능 둘째, 인터넷을 이용하여 종래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셋째, 인터넷과 관련된, 점자도서관 본래의 기능 이외의 기능, 이러한 기능들은 시각장애인이 다른 경로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하더라도, 점자도서관이 반드시 필요한 충분한 이유가 된다. 그러므로 정보환경이 변화한다 하더라도, 시각장애자에게 있어서 점자도서관의 위치는 더욱 확고해질 것이며, 존재의 중요성이 더욱 강화된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점자도서관, 시각장애자, 점자도서관서비스, 인터넷, 복지기능

Abstract

A braille library undoubtedly changes with a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However "changing information service" as a topic couldn't be found among previous researches. That's the reason it felt necessary in this paper to analyze the way service in a braille library changes according to a changing environment. as well as to make clear the meaning and the role a braille library has for blind people. As a first step, a questionnaire aimed at Korean braille librarie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understand changes of library service. Results showed that most changes in braille library service were due to the influence of internet, directly or indirectly. In this connection. the way braille libraries made us of this new tool was analyzed as follows. Firstly braille libraries were found to help a better circulation of information from internet towards blind people. It appeared secondly that internet was also used in order to improve already existing services as well as new services. Thirdly libraries were shown to have developed new services related to internet although these services weren't initially library ones. These new aspects of library service constitute by themselves a proof of the importance of braille libraries, although blind people might in some cases obtain the wished piece of information without them. Therefore braille libraries prove to be remained necessarily even if information environment changes.t changes.

keywords
점자도서관, 시각장애자, 점자도서관서비스, 인터넷, 복지기능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