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이용재(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5-2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내 도서관운동과 독서운동의 지평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최근 국내에서 확산되고 있는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조명하였다. '한 책, 한 도시' 운동은 최근 수년 간 북미 전역에 확산되었으며, 많은 지역사회에서 성공적인 독서운동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여러 도시가 이러한 독서운동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는'한 책, 한 도시'운동의 의미와 의의를 살펴보고. 국내 '한 책, 한 도시'운동의 주요 도시별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는 국내 '한 책, 한 도시' 운동의 특징을 규명하고 한국 사회에 맞는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One Book, One City' projects which are being spread in Korea, with the perspective to broaden the horizon of 'Library Movement' and 'Reading Campaign' of Korea. 'One Book, One City' projects have been spread in North America during recent years, and they are reported as successful reading campaign in many communities, Many Korean cities are promoting 'One Book, One City' project diversely.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projects, and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rojects which are being propelled in some cities of Korea. Finally, this study looked into the special features of Korean 'One Book, One City' projects and provided some suggestions for the ways or strategies to develop the 'One Book, One City project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Korean society.

장윤금(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7-4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독서지도 프로그램 활성화에 필요한 기본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에서의 독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독서지도와 관련된 연구 및 사례 문헌조사를 하였으며 학교도서관의 독서지도 운영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을 대상으로 독서지도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 독서지도 활성화를 위해서는 독서지도 혹은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정의의 확립이 필요하며 학교도서관 담당인력의 대부분이 일반교사로 업무과중, 경험부족, 전문성 부족 등으로 인해 효과적인 독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이 어려운 실정임이 나타났다. 또한 독서지도에 대한 연수 경험이나 방법의 다양성 또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독서지도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도서관 전담 인력 확보와 전담인력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수와 지침, 독서지도를 지원할 수 있는 장서개발, 교과 연계프로그램 개발 및 공공도서관과의 상호협력체계 확립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critical factors for facilitating school library reading programs and to develop guidelines for school library development. For this. relevant studies including several school library case studi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Also a survey was conducted for school library personnel. The survey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still lack of consensus on defining school library reading programs or school library use programs. Moreover, it is also found that in most cases school libraries neither have professional school librarians nor provide appropriate training to them. As a result it is recommended that for developing effective reading programs, school libraries need to fix the current problems and try to develop collection development plans for supporting reading programs, in cooperation with classroom teachers to develop library reading programs as a part of the curriculum. and ultimately with local public libraries.

황금숙(대림대학 문헌정보과) pp.47-6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자책의 독서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해 보이기 위하여 종이책과의 비교를 통해 실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학생 8명이 실험에 참여하였고 실험방법은 각 학생들이 2권의 문학작품을 종이책, 전자책으로 내용을 달리하면서 읽고 난 후, 독해력에 대한 독서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독서효과 면에서 종이책과 전자책이 별 차이가 없음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의 요인으로는 학생들이 전자책을 독서할 때는 컴퓨터 모니터 상에서 집중해서 읽는데 반해, 종이책의 경우 장소를 옮겨 다니며 편하게 읽다보니 다소 집중력이 떨어진 것에 기인하며. 종이책보다 전자책 매체를 더 선호하는 경우 전자책에 대한 독서효과가 매우 높은 것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서관에서의 전자책서비스 도입 및 운영과 전자책을 통한 독서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로 응용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ading effect of e-book versus printed book. For this purpose, 8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reading project. The participants of this project read 'A'(printed book) and 'B'(e-book) literary works and were tested reading comprehension. According to conclusion of the stud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printed book and e-book on reading effect.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can be used for e-library management and reading education.

장지숙(이화여자대학교) pp.63-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린이 독서 자료의 선정과정에서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도서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제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주제 접근의 필요성을 보여주기 위해 뉴베리상 수상작 국내 번역본 중에서 소설을 대상으로 내용에 접근할 수 있는 주제를 분석하여 이용 효율성의 예를 제시하였다. 기존의 주제명표목표에서 제시하는 주제 외에 소설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서 소설의 장르와 주인공의 성별, 연령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subject access for understanding on the contents of children's books which library would select children's books efficiently. Especially it was presented examples of efficiency on subject access analyzing Korean translation fiction of Newbery Medal Winner's books. Besides subject on the contents of books, it suggested fiction genre and gender and age of protagonist as elements which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process of Subject Headings development.

김영석(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81-9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독서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고, 그 방안의 하나로 어린이도서를 국어과 읽기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 방안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학교 1, 2학년 1, 2학기 총 네 권의 국어과 읽기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고, 두 개의 초등학교에서 1, 2, 3학년 읽기 수업을 참관하여 수업의 내용과 진행 방법을 조사하였다. 또한 영국과 미국 초등학교의 읽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조사하였다. 어린이도서를 초등학교 읽기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은 현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국어과의 궁극적인 목표에 잘 부합하고. 현재의 교과서 중심의 읽기 교육방법보다 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고, 영국에서도 이 방법을 무난히 잘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 방법을 통한 읽기 교육은 복잡하지 않아 실제 적용가능성이 높다.

Abstract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ways of promot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s reading. The study provides a feasibility analysis of utilizing children's books in reading lessons, which is proposed as one of the ways. The contents of the four reading textbooks for Year 1 and 2 in Korea were analyzed and it was examined what and how children learn in reading lesson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reading lessons in the UK and the USA were also investigated. It is considered that utilizing children's books in reading lessons which is the proposed way for promoting children's reading corresponds well with the goal of the curriculum of Korean. There is a high feasibility of applying the way to elementary schools in Korea. This is because the way has more advantages than the present textbook based reading lessons and the way is well utilized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UK.

이용훈(한국도서관협회) pp.99-113
초록보기
초록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는 독서진흥 활동을 통해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 제시를 위해 문헌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도서관이 직면한 사회적 과제를 분석하고. 그러한 과제를 수행하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현재 각 지역에서는 도서관, 특히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미 공공도서관들의 다양한 독서진흥 활동을 통해 도서관의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어 보다 강력한 독서진흥 활동은 공공도서관의 역할 확대와 이를 통한 사회적 기반 확보에 중요한 방안이 되고 있다. 따라서 도서관은 정부, 공공과 민간부문의 다양한 독서진흥사업을 조정할 협의기구 구성, 운영, 법적 기반 마련, 도서관의 자발적인 독서진흥 프로그램 개발추진, 독서 및 책 정보제공 체계 구축과 대중서평지 발행, 독서 캠페인과 독서활동 주도, 가정에서의 독서활동 지원, 각종 독서진흥 관련 시상제도 확대 등 구체적 방안을 주도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

Abstract

As society has more interest in reading activities, it has become possible to secure social value of libraries through the promotion of reading. In this regard, the study aimed to analyze social tasks that the libraries face and suggest concrete methods through bibliographical examination. Currently, various regions of the nation have an increasing interest in libraries, particularly, children's libraries. The public libraries can expand their social roles by meeting these social requests. As a variety of activities by the public libraries to promote reading have helped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ibraries, more aggressive reading promotion activities are considered to help expand the roles of the public libraries and secure social base. Accordingly, the libraries need to take the initiative in implementing various measures by establishing a committee to adjust various reading promotion activities i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coming up with legal base, pursuing development of voluntary reading promotion programs, establishing an information network for reading and books, publishing book reviews, leading campaign for reading and reading promotion activities, supporting reading at home and expanding award system with regard to the promotion of reading.

김수경(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15-134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 주부들의 마음상함을 돌보고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공공도서관 기반 발달적 독서치료를 계획하여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은 두 가지를 개발하여 운영하였다. 하나는 일반과정 프로그램으로 독서치료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는 대상에게 적용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일반과정 수료자중 자신의 상처를 주도적으로 치유하려는 참여자들을 위해 계획한 심화과정 프로그램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이에 대한 성과와 개선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study is intended to plan and apply developmental bibliotherapy program to housewives. Two bibliotherapy programs were proceeded in Pusan Namgu Public Library. One was to care for wounded emotions through general course of bibliotherapy. The other was to redefine participants' life through their languages in the advanced course of bibliotherapy program. The study evaluate on result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for housewives.

김종성(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35-159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은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에 포함되어야 하는 교육 내용과 전략적 강조점을 탐색하였다. 사서교사 인력에 대한 현장의 수요가 지속되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체계와 내용이 부실한 상황을 전제로 하여 연구자는 그 개선 방안으로 교육 내용의 강화와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을 제시하였다. 사서교사 양성 교육의 영역을 도서관 운영 영역. 독서 영역, 교수 학습 영역으로 나누어 확충되고 개선되어야 하는 점을 제시하였다. 도서관 운영 영역에서는 기능위주의 교육을 탈피하고 철학과 역사에 대한 교육을 보완해야 하며 독서 영역에서는 이론 위주 교육보다는 독서 자료에 대한교육을 강화하여 독서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능력을 배양해야 하며 교수 학습 영역에서는 교과과정 운영과 수업 운영의 기본 능력을 배양하는 방향으로 교육내용을 설정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학교도서관 상황과 문헌정보학 교육 수준에서 고려되고 반영되어야 하는 교육적 전략으로 견고한 사서교사 정신의 확립, 현장 적응력의 강화, 자료 전문성의 제고 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내용이 교육과정 편성이나 교재 편찬에 실제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나아가 사서교사 자격 인증제도 등에 대한 모색도 논의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nstructional contents and strategies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education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writer insist several aspects of instructional contents should be emphasized for relevant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education. Instructional contents for philosophical and conceptual aspect of school library and media specialist, knowledge and experience for literature for children and young adult, and knowledge and technique for teaching and instruction at field are those. And the writer suggests LIS education for media specialist should be able to let the students stand on the strong professional sprit, help adapt themselves to school practice, and make them a professor of literature.

김순화(울산중부도서관) pp.161-18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울산지역 공공도서관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과 내용, 참여자의 반응, 문제점 등을 고찰하였으며, 단위 도서관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특히, 도서관 중심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유형은 사람의 상처와 아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참여자들이 직접 치유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체험형'을 강조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analyzed for the managerial status of Bibliotherapy Programs in the public library. For this, managerial methods and contents. reactions and problems of participants were considered, and also the capability of adaptability in local libraries was groped. Based on the understandings of Man's pain and grief, patterns of library centered Bibliotherapy Program were emphasized for participants to attend the course of the therapy called 'the pattern of experience' directly.

최연미(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83-200
초록보기
초록

현재 독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실정에 알맞는 독서 관련 평가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소개와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여러가지 평가 영역 중에서도 독자를 중심으로 한 정서적 측면의 독서 평가는 학생들을 평생 독서가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자의 정서적 측면에 기반한 독서 평가도구를 독서 태도, 독서 흥미, 독서 동기유발 그리고 독서에 대한 자아개념, 이 4가지로 나누어 문헌조사법을 사용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이를 기초로 차후에 독서 평가도구 개발 시 참고할 사항을 밝혀놓았다. 정서적 측면의 독서 평가도구 개발 시에는 스스로를 독자로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항목이 가장 우선시되며, 독자 인근의 인간관계(교사, 학부모 그리고 친구)를 통한 평가 항목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적절한 항목의 설정뿐 아니라 평가도구 실시자를 위한 관리법과 해석 및 활용을 위한 지침서도 함께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Now, more than any other time, education experts in Korea are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reading. Based on this circumstanc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d develop reading assessment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research introduces reading assessment tools from a psychological standpoint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reading efficiency through literature reviews. There are four categories reading attitude, interest, motivation and perception on reading. Also the research presents the suggestion to make a new reading assessment tool at a later time. When developing reading assessment tools from a psychological standpoi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tems through which how a student feels himself or herself as a reader, and subsequently how teachers, parents, and friends feel the student as a reader. Besides establishing of these appropriate items. a developer should provide directions for administration and interpretation.

장덕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장영남( 부산대학교 도서관) pp.201-221
초록보기
초록

독서치료는 책읽기를 통하여 마음의 변화를 일으키도록 유도함으로써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독서치료적 접근법을 통하여 나이 듦(Aging)에서 오는 변화를 수용하고 중년 이후의 삶이 야기하는 마음의 상처를 현명하게 극복하도록 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5명의 대상자를 선정한 후 이들에게 적절한 도서들을 추천하였다. 이들이 책읽기를 통하여 나이 듦과 함께 찾아오는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변화에 너그러워지고 마음의 상처가 치유되는 경험을 하게 되는 과정을 실제적 사례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대상자들이 나이 듦에서 오는 신체적 기능 저하, 가족들로부터의 괴리감 사회적 무능력감 등의 상처를 발견하고 선정된 권장도서를 읽음으로써 자신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게 되고 자신의 아픔을 통찰하게 되어 마음의 안정을 느끼게 되는 과정을 서술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highlight such issues as the personal psychological problems due to the aging, and trie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and the potentials of bibliotherapy to heal the wounded hearts of people who suffer from aging. Portrayed through a qualitative surveys and interviews with five subjects selected by the researchers, discussions were elaborated around three factors such as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 factors. The participants. throughout the study, came to understand and to narrate their own problems objectively and to discern their wounds.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y felt relieved and stable after reading the books presented by the researchers. As a result, physical decline. isolation from family members, solitude in society and decline of self-esteem they have experienced since their mid-40s were recognized as natural changes from aging which were to overcome.

최선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 한윤옥(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 pp.223-24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S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양식을 살펴보고. 독서치료를 통해 스트레스의 정도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양식을 이해하고 이들이 겪게 되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원만히 적응해 나가는 것을 돕기 위한 지도 방안으로서 독서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biblio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in the 'S' elementary school in Kyonggi province. Korea for the fourth grader children in order to measure the grade of stresses which they experience and coping styles. and to find what kind of changes in terms of the grade of stress and coping styles over stress through the bibliotherapy program. Especially, it was going to underst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tresses and coping styles, and verify effects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as a device of helping amicable adoption for the various stress which they experience, and they come to experience.

황옥경 (서울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오세훈( 광운대학교 도서관) pp.249-2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립대학도서관협의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질문지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직을 위한 바람직한 계속교육 행태를 제안하였다 조사 결과 61.4%가 1년에 1회 이상 평균 2.6건의 계속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사서들이 선호하는 계속교육 유형은 단기 연수 혹은 강습의 유형이고 기간은 일주일 혹은 2-3일이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은 근무시간 중에 시행되는 것을 선호하였고 온라인 교육에 대한 선호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계속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학도서관이 실제 관심을 두고 있는 교육 주제 선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하였고 선호하는 교육 프로그램은 이용자교육, 정보검색, 전자저널 및 라이선스, 도서관 기획 및 전략. 도서관 마케팅, 가상 디지털 참고봉사 등의 순이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inuing education model desired by the academic librarians in the present digital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the study undertook a questionnaire survey of academic librarians in Korea.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61.4% of the librarians participated more than once(average 2.6 times) in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during the last one year. The most preferred program type was one week or 2-3 days workshop. The theme of the program was regarde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activation of the continuing education. and the preferred theme of the program was user instruction. information retrieval. electronic licensing. planning and strategy, library marketing, virtual reference service etc.

최정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최병우( 건국대학교 경상학부 ) ; 안인자( 동원대학 교육서비스문헌정보과) pp.265-2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예비사서들의 경력 미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수도권 및 충청권 소재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하였다. 외생변수로는 인적특성, 학교 조직적 특성 그리고 제도적 특성으로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인적특성이 경력 미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으나, 조직특성 및 제도적 특성은 경력 미결정 수준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이는 예비사서로서의 경력 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업적 자아정체감 및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개발 프로그램의 개발과 아울러 교과과정, 현장 사서가 갖추어야 할 실무능력, 사서자격제도 개선 등의 학교 조직적 제도적 차원의 지원이 뒤따라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끝으로,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career indecision for prospective librarians. To this en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t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yunggi and Choong Chung Areas.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personal,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veals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ffect the level of career indecision whereas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do not have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areer indecision.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raise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prospective librarians.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ograms to enhance occupational ego-identity and self-efficacy and to provide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including better curriculum, improved practical ability and qualifications as librarians. This study also discusses its limits and areas for future research.

한성국 (원광대학교 컴퓨터학과 ) ; 이현실( 원광대학교 도서관) pp.285-3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시소러스를 SKOS 기반 온톨로지로 구축하는 단계적 변환 방법을 제시하였다. 변환과정을 3단계로 형식화하였고, 각 단계별 수행작업, 산출물 및 가이드 라인을 개발하였다. 각 단계는(1) 시소러스의 어휘 용어 체계와 의미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시소러스의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2) 대상온톨로지의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변환방식을 정의하고 SKOS 온톨로지를 생성한다. (3) 대상시소러스와 생성된 SKOS 온톨로지 사이의 형태와 의미 구조 보존 여부를 검사하여 보정하고 문서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고 있는 시소러스 기반형 온톨로지 구축 방법은 복잡한 어휘 관계를 갖는 시소러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단계별 변환 알고리즘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시소러스의 자동 SKOS 온톨로지 변환기를 구현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 of converting thesauri to SKOS step by step and it is formalized in three stages of the conversion process. The study develops output and guidelines for each stage. The converting stages are: (1) Collecting and analyzing thesauri for understanding about structure of terms and semantics of relation. (2) Defining the conversion method and creating ontology of the thesauri. (3) Examining the preservation of forms and various semantic relations between the thesauri and then creating SKOS ontology.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thesauruses with complicated relations in concepts. In the future, it is needed to have an embodiment of conversion after making the algorithm of conversion by stage with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research.

김용(KT BcN 본부) pp.305-324
초록보기
초록

유선인터넷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동통신사의 무선인터넷처럼 이동성이 가미된 환경에서도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유선인터넷의 장점인 '초고속'과 무선인터넷의 '이동성'이 결합된 휴대인터넷서비스가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인터넷 서비스의 개요, 특징 및 기존의 무선 서비스와의 비교분석과 이용자 요구사항 분석 등을 통하여 휴대인터넷에 기반한 도서관에서 적용 가능한 서비스를 조망한다. 특히 기존에 도서관에서 제공되고 있는 무선망 기반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과 함께. 휴대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서비스의 세부분야 및, 고려사항, 그리고 제공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Abstract

The requirements to use high speed internet under wireless environment are increased. To satisfy the requirements. the WiBro service combining high speed of wired internet service with mobility of wireless internet service will be launched as an alternative. This paper reviews and analyzes its overview, features, and comparison with existing mobile internet and wireless LAN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aspect. This paper also proposes how to adapt mobile information service and how to satisfy the requirements to construct mobile library based on the WiBro service. With the current problems in mobile-based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by libraries. especially this paper proposes information service areas. considerations to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and service provisioning method based on the WiBro service.

차미경(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325-343
초록보기
초록

유비쿼터스 정보 환경의 도래와 함께 전통적으로 도서관 건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도서관 서비스 공간도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정보 환경에서 도서관 공간의 의의와 범위 및 특징을 문헌연구와 국내외 사례 연구, 그리고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그룹인터뷰 등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이 제공하는 물리적 장소는 이용자에게 여전히 중요한 공간임을 확인하고, 유비쿼터스 공간의 개방성과 상호 작용성을 고려한 정보 공간 운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library space has historically been influenced by the change of its information and social environment.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ubiquitous environment on the library's space, by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focus-group interview of 5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library's physical place is still important for users, and suggest the library information space design and management need to reflect the open-ness and the interactive-ness of the ubiquitous space.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