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강지혜(동덕여자대학교) ; 배경재(동덕여자대학교) ; 정다희(동덕여자대학교) pp.5-26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 노원구립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본 연구는 노원구의 특징과 지역 여건을 조사하고, 공공도서관 현황을 파악하였다.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도서관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지역 특성, 도서관의 시설 현황과 장서, 인력,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도서관 이용 빈도와 목적, 만족도, 장서개발에 대한 의견, 기대하는 도서관의 역할과 정책 방향 등을 조사하였다. SWOT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노원구립도서관 중장기발전계획을 위한 미션과 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미래 교육 강화, 더불어 읽는 독서문화, 지속 가능한 환경도서관, 노원구 문화 플랫폼이라는 노원구립도서관의 발전 과제를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employed as a basic study to make a medium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 for a library system in Nowon-gu, Seou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local conditions of Nowon-gu, and analyzed public library system that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library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the public library, the library’s facility status, collections, manpower, and programs. Through the survey, the frequency and purpose of library use of local residents, users’ opinions on satisfaction, collection development, expected roles, and policy directions were investigated. Depending on SWOT analysis, missions and strategies for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s for Nowon-gu Library were devis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researchers proposed strengthening future education, reading culture, sustainable environmental library, and Nowon-gu cultural platform as development strategies.

김보일(한남대학교) pp.27-51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1.2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사회 환경변화에 따라 충청남도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진흥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에 충청남도를 대상으로 도서관 일반 현황, 도서관 및 독서문화 인프라, 법제도 등의 환경분석과 도민(학생, 일반) 대상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에 관한 실태조사 및 도서관 직원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충청남도의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하고 그에 따른 정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충청남도를 6대 지역생활권역으로 구분하고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진흥 정책과제 발굴, 충청남도 도서관 직원 대상 의견을 수렴하여 총 20개의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진흥 정책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지역생활권 도서관의 노력뿐만 아니라 광역대표도서관의 역할과 위상 강화와 함께 충분한 인력과 예산 확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olicy for the use of libraries and the promotion of the reading culture by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along with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It, therefore, analyzed the general condition of libraries, infrastructures for libraries and reading culture and the environment including the relevant legal system in Chungcheongnam-do, and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of inhabitants’ (students and general people) use of libraries and reading culture, and librarian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t proposed the policy for the use of 20 libraries and the promotion of the reading culture, by dividing Chungcheongnam-do into six regional settlement areas, discovering policy tasks for the use of libraries and the promotion of the reading culture and collecting suggestions from librarians living in Chungcheongnam-do,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in Chungeongnam-do, and therefore, suggest a desirable policy agenda. To pursue the policy proposed,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role and the status of libraries representing for metropolitan regions and to secure adequate personnel and budgets, in addition to effort made by libraries located at regional settlement areas.

나은엽(전남대학교) pp.53-74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1.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연과학분야 연구자들이 펀딩을 획득하기 위해 연구계획서를 작성할 때 발생하는 정보요구 및 정보추구행동과 이러한 정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보행동의 하위 분야인 과업중심 정보추구행동을 바탕으로, 질적연구방법인 심층면담과 다이어리 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의 정보행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 자연과학분야 연구자들의 연구계획서 작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하위 업무가 드러났는데 커뮤니케이션 관련 업무가 제일 활발히 수행되었다. 그리고 펀딩 지원 관련, 연구 설계 관련 정보요구가 발생하였고 정보요구 해결을 위해 인적자원, 문서,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웹사이트가 주된 정보원으로 이용되었다. 이러한 정보행동에는 개인적 요소, 과업관련 요소, 사회문화적 요소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자의 펀딩 확보 활동에 관련된 정보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연구자의 펀딩 지원을 돕기 위한 정보서비스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natural scientists when they are writing a research proposal for applying to funding. It focuses on understanding their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factors influencing the behavior.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ask-based information seek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and diary study are used. The results reveal that a variety of communicative subtasks take place in the process of research proposal writing. Also, the scientists tend to need information related funding opportunities and to research design, and access sources including human resources, documents, online databases and websites to meet their information needs. Finally, the study shows that the scientist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when writing a proposal is influenced by personal, task-related, and sociocultural factors.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design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s and strategies to assist science scholars applying to research funding.

김명숙(부산대학교) pp.75-96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1.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령사회를 맞아 도서관 주이용자로 등장한 노인을 위하여 노인이 서비스 제공자이며 수혜자가 되는 ‘노노 서비스’ 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노인이용자 11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G도서관 사서 포커스그룹과의 면담 결과 ‘노노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노 서비스’ 수혜자 측면에서 가장 필요한 서비스는 컴퓨터 정보검색 도움서비스, 도서관 이용 안내서비스, 도서 검색방법 안내서비스, 권장 또는 인기도서 안내서비스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노노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 참여의향은 60대가 가장 높았고 참여방법은 실비유급 자원봉사로 1주일에 3회, 1일 4시간 이내를 가장 선호하였다. 이에 따라 참여자는 정부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공헌활동과 연계하여 모집하고 사전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노인커뮤니티 공간 조성과 은퇴사서의 참여 필요성도 제기 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nd present a plan for the elderly service, in which the elderly become service providers and beneficiaries for the elderly who have emerged as the main library users in the face of a post-aged society. As a result of a survey of 119 elderly users of public libraries in the Busan area and an interview with a focus group of librarians at G Library, it was confirmed that the elderly service was needed. The most necessary services in terms of the beneficiaries of the Elderly Services by Elderly were surveyed in the order of computer information search help service, library usage guide service, book search method guide service, and recommended or popular book guide service. In terms of ‘Elderly Services by Elderly’ providers,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was the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60s, and the preferred method of participation was paid volunteer work three times a week, within four hours a day. Accordingly, it was analyzed that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the government employment program for the elderly and prior training was necessary. In addition, the need for the creation of a community space for the elderly and the participation of retired librarians was raised.

김윤정(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건국대학교) pp.97-120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1.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의 지역성, 공동체성, 상호작용성 및 유기체성이라는 소통적 특성을 발굴하고, 이들을 이루는 구성요소가 타당한지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소통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도서관은 ‘지역성’, ‘공동체성’, ‘상호작용성’, ‘유기체성’의 4개의 소통적 특성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의 소통적 특성은 16개 구성요소, 이에 따른 63개의 세부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소통적 특성에 따라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정립하였다. 첫째, 도서관이 건강한 지역사회를 형성하는 공간으로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다양한 공간을 제공하고, 커뮤니티의 생성과 강화에 기여하며 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도서관은 공동체성 강화를 위해 지역의 문화공동체 형성과 대인관계 향상, 사회적응력 향상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의 소속감 형성에 기여하며, 지역주민 간의 활발한 지역 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셋째, 도서관은 다양한 세대들이 의견을 공유하고, 여가활동을 위한 공간, 지역공동체의 문화 성장을 위한 공간으로 역할을 한다. 넷째, 소통적 특성으로서 도서관 유기체성은 내․외부 환경변화에 따라 도서관의 전통적인 역할과 기능인 정보전달, 정보서비스뿐만 아니라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어, 확장된 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determined the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ies through locality, communality, interactivity, and organism and sought to measure the validity of their components to define the role of libraries based o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re are four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ies: locality, communality, interactivity, and organism. This study defined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First, libraries should encourage the formation of a healthy society by providing a space for diverse community activities, contributing to the building and strengthening of their local communities, and offer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do so. Second, libraries shoul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local cultural communities and strengthen interpersonal relations among community members to reinforce a sense of community, while also supporting the heightening of social adaptability to foster a sense of belonging and community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members. Third, libraries act as a space for sharing ideas between generations, provide a space to carry out leisure activities, and enable the cultural prosperity of local communities. Lastly, as a representative space of local communities, libraries raise the valu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ntribute to their communities and members.

백지원(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성숙(충남대학교) pp.121-143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1.1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가지식정보자원의 효과적인 구축과 활용을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국가 전거데이터 구축 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가전거의 국제표준식별체계와의 연계 가능성 및 개선사항을 밝히고, 향후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 가입 기관을 대상으로 면담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전거 관련 현황과 어려움,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의 활용, 식별자에 대한 인식 및 활용, ISNI와의 연계에 대한 인식 및 활용,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 활성화 요인에 대한 중요도 및 달성도, 전반적인 만족도 및 개선 방향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이러한 조사 연구를 통해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을 통한 국가 전거데이터 구축과 활용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가 전거데이터와 국제 표준 식별 시스템의 연계 가능성을 분석하였으며, 중요도-성과 분석을 통해 개선 사항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향후 국가 전거 구축의 발전 방안으로는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 전거 관련 규칙과 지침 개발, 전거데이터의 양적 확보 및 품질 제고, 전거 업무의 중요성 인식 제고와 효율적인 업무 체계 마련, 전거 서비스의 다양화와 활용 모델 개발,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과 국제표준 식별자의 연계,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의 필요성 공유 등이 제안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national authority data construction project centered o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for the effectiv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It also aimed to reveal the possibility and improvement of the national information system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identification system, and suggesting future development plans. ...

김민정(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이혜은(숙명여자대학교) pp.145-166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1.145
초록보기
초록

연구는 국내에서 간행된 한국학 분야 영문학술지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A&HCI 및 SCOPUS에 등재된 한국학 분야 영문학술지 4종으로, Korea Journal 768편,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466편,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285편, Acta Koreana 321편 등 총 1,840편을 선정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내용 분석, 저자 분석, 저자 키워드 빈도분석,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학 연구는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체육학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세 영역 모두 2000년 이후 출판 논문의 수와 범위가 크게 성장하였다. 연구의 대상 시기는 현대, 조선 후기, 근대 일제강점기 순이었다. 논문 저자의 소속 기관은 국내 소속 기관의 저자가 73.34%였으나, 국외 소속 기관 저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저자 키워드는 ‘Korea’(41번), ‘Buddhism’(20번), ‘Koreanwar’(18번) ‘Joseon’(18번) 등이 상위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토픽모델링에서는 ‘한국 문화, 문화 전파 현상’, ‘한국 현대 정치사’, ‘한국 사회 민주화 과정’, ‘일제강점기 시대상’, ‘한국 고유 종교철학’, ‘한국 고대사’ 등 총 6가지의 토픽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최근의 국제적인 한국학 학술 커뮤니티의 관심사와 연구영역을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English-language journals in Korean studies published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English journals in Korean studies indexed in A&HCI and SCOPUS. A total of 1,840 were selected, including 768 articles of the Korea Journal, 466 articles of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85 articles of the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and 321 articles of the Acta Koreana, in connection with content analysis, author analysis, author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In results, the domain research of Korean studies is Humanities, followed by Social Science, and Arts and Kinesiology. These three sectors have grown significantly in publishing numbers since 2000. The subject period of the study is in the order of the modern period, late Joseon,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Authors from domestic affiliations made up 73.34% of the total, but the proportion of authors belonging to foreign institutions continued to increase. As for author keywords, ‘Korea’(41), ‘Buddhism’(20), ‘Koreanwar’(18), and ‘Joseon’(18) were derived as top keywords. In topic modeling, six topics were identified; ‘Korean culture, cultural transmission,’ ‘Korean modern political history,’ ‘Korean social democratization process,’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 religious philosophy,’ and ‘Korean ancient history.’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interests in and research areas of the recent international academic community of Korean studies.

임정훈(대전과학고등학교 사서교사) ; 소병문(공주대학교) pp.167-188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1.1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 내 임용된 저경력 사서교사의 주요 현황을 조사하고, 사서교사 전문성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여 저경력 사서교사의 역량 향상을 위한 전문성 제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5년 미만의 저경력 사서교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서교사의 양성과정과 임용 전 경험 등을 분석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정, IPA 모델, Borich 요구도, LF 모델을 이용하여 저경력 사서교사의 전문성 영역(도서관 이용지도,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협력수업)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저경력 사서교사들은 모든 전문성 영역에서 중요도-만족도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IPA 결과, ‘독서교육-실행 진행’을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은 ‘지속유지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협력수업-계획’, ‘협력수업-진행’, ‘협력수업-평가’와 ‘정보활용교육-교육과정 설계’, ‘디지털 및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실행 및 평가’를 집중노력영역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에서는 ‘협력수업’ 영역의 ‘교수학습 평가’, ‘교수학습 진행’, ‘교수학습 계획’이 가장 높은 교육적 요구를 보여주었으며, 이어서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정보활용교육’ 영역순으로 나타났다. LF 모델에서도 ‘협력수업’ 영역이 최우선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실행, 평가’, ‘정보활용교육-실행 평가’, ‘정보활용교육-교육과정, 설계’의 5가지 역량이 우선순위가 높은 영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원으로서의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재고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low-experienced teacher librarians with less than 5 years and attempted to identify their educational needs through IPA analysis, Borich Priority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on low-experienced teacher librarians with less than 5 years of experience to analyze their process in the pre-service teacher training and experiences before an appointment and to identify teacher librarians instructional experti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all areas of instructional expertise of low-experienced teacher librarians. Second, ‘reading education-practice progress’ was recognized as a ‘Keep up good work’ with hig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d ‘library-based instruction planning, progress evaluation’, ‘information literacy-curriculum design’, and ‘digital and media literacy education-progress and evaluation’ were recognized as areas of ‘Concentrate here’ through IPA analysis. Third, In the Borich Priority Formula, ‘teaching-learning evaluation’, ‘teaching-learning progress’, and ‘teaching-learning plan’ in the Library based instruction area showe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Fourth, the library-based instruction was shown to the high discrepancy/high importancy area as same as the Borich Proity Formul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instructional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s.

감미아(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pp.189-207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1.1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22년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 중 공공도서관에 집중하여, 최근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향후 방향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평가의 정성․정량평가 비율 변화 및 변화 전․후 평가 결과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각 정성평가 및 정량평가의 비율 변화에 따른 과거와 현재의 평가 결과 비교 분석을 수행한 후, 도서관의 규모에 따른 그룹화에 대해 실효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서는 각 평가점수에 대한 계산 방식의 변화 및 총점과의 상관계수 분석을 통한 새로운 정량평가 변수의 발견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표준화 및 개별화를 적용한 변수의 계산 방식, 다양한 영역에 대한 비중의 균형화, 도서관들의 자발적인 평가 참여를 고무할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public library evaluation indicators in 2022 to examine the changes and improvement recommend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changes in the proportion betwee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Eventually, there was a comparison between the current and previous evaluation outcomes. Furthermore, w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evaluation groupings of libraries. Then, we tried to discover new quantitative evaluation variables that affected the evaluation score calculation. Finally, we proposed a method for estimating variables through standard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as well as a scheme to encourag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public libraries in the evaluation.

조상은(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오경묵(숙명여자대학교) pp.209-238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1.2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의 이러닝 플랫폼 구축을 위한 주요 학습 내용과 기능 및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문헌연구와 사례분석 및 전문가 조사를 진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 도서관이 이러닝 생태계에 있는 이용자를 위해 질 높은 온라인 교육을 제공 해야 함을 알 수 있었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도서관의 이러닝 플랫폼 분석을 위한 학습기능 분석 도구를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외 도서관 이러닝 플랫폼들의 학습 내용과 기능 및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설문 조사 및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의 지속 가능한 이러닝 서비스를 위해 학습 과정과 기술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플랫폼의 구축이 필수적이며 제공해야 할 학습 내용은 관 종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도서관이용교육, IT 최신기술 소개 등 도서관교육의 특성을 나타내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주요한 학습기능으로는 학습유형 중 영상강의와 실시간 수업을 진행할 수 있어야 하며 학습자료와 이용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학습활동지원 기능, 교육내용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클라우드 플랫폼 지원 기능, 생애주기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개인화 환경 지원 기능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서관 사서의 기술력 향상을 위한 재교육, 이러닝 관련 팀의 구성과 전문사서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main learning contents, functions and activation plans for building an e-learning platform for librari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expert surve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t was found that libraries must play a role in providing high-quality online education for users in the e-learning ecosystem.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 learning function analysis tool was developed for the analysis of the library’s e-learning platform. Based on this, the learning contents, learning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ibrary e-learning platforms were analyzed, and expert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results, the construction of a platform for effectively applying learning processes and technology is essential for the library’s sustainable e-learning services. The contents that should be provided for characteristics of library education, reading guidanc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library usage instruction, and the latest IT technologies. And The main learning functions include the ability to conduct video lectures and real-time classes among learning types, and learning activity support functions, a cloud platform support function and a personalized environment support function. Additionally, suggested re-education for library staff to improve their technical skills and the formation of an e-learning team.

김주섭(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선태(전북대학교) pp.239-258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1.239
초록보기
초록

연구데이터 공유가 필수가 되어 감에 따라 해외 출판사에서는 데이터 공유 활성화를 위해 저자에게 DAS 템플릿을 제공해주고 있다. 하지만 아직 국내 학술시장에는 이와 같은 연구와 관련된 정책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데이터 공유 활성화를 위하여 국내 학회에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 공유 정책 및 DAS 템플릿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Nature를 포함한 5개의 해외 출판사 데이터 공유 정책과 AMS 등 12개의 DAS 템플릿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학회에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 공유 정책의 개요와 12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DAS 템플릿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되는 데이터 공유 정책과 DAS 템플릿은 데이터 공유의 실질적인 가이드와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s sharing of research data has become essential, overseas publishers are providing authors with DAS templates to facilitate data sharing. However, the domestic academic market is still lacking in policies related to such research. This study proposes a data sharing policy and DAS template that can be applied to domestic academic societies in order to activate data sharing. To this end, data sharing policies of 5 foreign publishers including Nature and 12 DAS templates including AM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an overview of the data sharing policy applicable to domestic academic conferences and a DAS template consisting of 12 items were derived. It is judged that the data sharing policy and DAS template to be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 practical guide and tool for data sharing.

서상원(퓨쳐누리 정보기술연구소) ; 김규환(인천대학교) pp.259-284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1.2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진행했던 문화프로그램 운영사례들의 주요한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담당사서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문화프로그램 유형별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공공도서관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문화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문화프로그램은 견학, 교육, 독서, 전시, 공연, 게임, 이벤트로 총 7가지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담당사서들은 견학, 전시, 게임, 이벤트에 대한 향후 활용성에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다. 교육은 문화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활용이 가능하지만, 독서와 공연은 향후 활용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답변을 보였다.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방안으로는 견학 문화프로그램은 제페토, 교육과 전시, 게임, 이벤트 문화프로그램은 게더타운과 젭의 활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rimary features of cultural program operation instances on the metaverse platform. In addition, an interview was performed with librarians in charge of the public library culture program to get their perspectives on the viability of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for each sort of cultural program. Ultimately, we intended to provide guidelines for organizing and administering a cultural program on the metaverse platform in a public libra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even types of cultural program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library tours, education, reading, exhibits, performances, games, and events. librarians in charge of the public library culture program responded positively to the future use of library tours, exhibitions, games, and events. Education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the educational program while reading and performances are less likely to be used in the future. Regarding how to use the Metaverse platform, Zepeto was most likely to be used for tours, and Gather and Zep for education, exhibits, games, and events.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