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수인(1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 ; 이연옥(부산대학교) pp.5-35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일상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에 주목하여 바람직한 운영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도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지원기관 132개관의 다문화프로그램 326개 사례를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결혼이주여성과의 면담을 통해 이들이 한국 사회에서 겪는 어려움과 도서관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였다. 또한 다문화서비스 담당 사서와 면담하여 프로그램의 운영 경험과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결혼이주여성 대상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의 운영 전략을 1) 프로그램 내용, 2) 프로그램 운영 방식, 3) 인적 네트워크 형성과 인력 활용, 4) 타 기관과 협력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desirable operational strategies for public library programs as a means to alleviate the daily difficulties faced by married immigrant women. To achieve this, We conducted an analysis of 326 multicultural programs from 132 institutions, all of which were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2022. The purpose wa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identify any issues related to these programs. Additionally,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to gain insights into the challenges they encounter in Korean society and to determine their specific demands regarding library programs. Furthermore, we interviewed librarians responsible for multicultural services to better comprehend their experiences in managing such programs an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service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Based on these findings, we have proposed four operational strategies for public library programs targeting married immigrant women. These strategies include: 1) Program content, 2) Program operation method, 3) Building a personal network and utilizing human resources, 4) Collabo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윤소희(한국점자도서관) ; 김유승(중앙대학교) pp.37-58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03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도서관 지원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논하여, 장애인도서관 운영과 서비스 개선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연혁적으로 분석하고, 장애인도서관의 법률적 정의와 관련 법령들을 논하였다. 이를 통해, 현행 「도서관법」이 장애인도서관 지원 관련 규정을 뒷받침하는 시행령과 시행규칙의 하위 규정을 갖추지 못한 채, 「장애인복지법」 등이 이를 대신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애인도서관의 설립 연혁, 지역 및 주체, 등록 유형, 예산, 시설, 장서, 인력 등을 분석한 현황조사와 장애인도서관의 역할, 예산 지원, 등록제도 등에 관한 현장 실무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논한 면담연구를 통해, 관련 법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첫째, 「도서관법」을 통한 장애인도서관에 대한 정의와 기능 및 역할 명시, 둘째, 「도서관법 시행령」을 통한 장애인도서관 서비스 지원과 책무 수행 규정 마련, 셋째, 「도서관법」과 「도서관법 시행령」을 통한, 장애인도서관의 시설, 장서, 인력 기준 제시 등 장애인도서관 지원을 위한 세 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for supporting libraries for the disabled. For the stdy, related precedent studies were historically analyzed, and the legal definition of libraries for the disabled and related laws were discusse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Library Act」 does not have sub-regulat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and Enforcement Rules supporting the regulations related to library support for the disabled, and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replaces them. In addition, through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libraries for the disabled and interviews with field workers in libraries for the disabled, the need for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related to libraries for the disabled was confirmed. In conclusion, three improvement plans for supporting libraries for the disabled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and duties of libraries for the disabled through the 「Library Act」; second, preparation of regulations on support for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and fulfillment of duties through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Library Act」; third, through the 「Library Act」 and 「Enforcement Decree of the Library Act」, standards for facilities, collections and manpower of libraries for the disabled are presented.

위현미(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조미아(경기대학교) pp.59-87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0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외국인 가정 다문화 학생의 언어능력 향상과 정서적 안정감을 촉진시키기 위한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의 운영 사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을 계획하고 실제 수업을 진행하며 얻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과정에서는 다문화교육 및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그림책 활용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업의 주요 요소들을 도출하여 수업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계하였다. 실제로 경기도의 A초등학교에서 1학년과 2학년 다문화 학생 5개 반 43명을 대상으로 20주 동안 반별로 각각 3회의 시범수업과 17회의 본 수업, 총 100회의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이 다문화 학생들의 한국어 이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한국어 표현력과 발표 태도가 개선되었으며, 도서관 이용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은 학급 생활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교도서관 활용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의 절차는 실제 학교교육 현장의 수업 운영과정에서 구상되고 발전된 것으로, 다문화 학생들의 증가에 따른 수업 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반영한 실행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을 위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이 어떻게 수업 환경을 개선하고 학습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instances of implementing picture book reading sessions within school libraries to enhance language proficiency and foster emotional stability among lower-grade multicultural students hailing from foreign backgrounds. The research outlines the design and execution of a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tailored for multicultural students, with analysis based on the outcomes of actual classroom implementations. In the course of the study, existing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picture books for enhanc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anguage skills was reviewed. This informed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ed class procedure by extracting core components. Indeed, 43 multicultural students in five classe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A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were given three pilot classes for each class for 20 weeks and a total of 100 picture book reading classes, each with 17 main lessons. This study establishes the positive impact of picture book reading classes on the Korean language comprehens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The results confirm positive improvements in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Korean, as evidenced by enhanced Korean expression and presentation skills, increased library usage, and a positive shift in classroom attitude. The procedure for reading picture books using school libraries proposed in this study was actually conceived and developed in the course of class operation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reflecting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need to improve the class environment. Through this practical investigation, important insights have been extracted regarding how picture book reading sessions design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can enhance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elevate learning outcomes.

강우진(경북대학교) ; 이종욱(경북대학교) pp.89-107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089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여 이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도서관 서비스 영역에 대한 파악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현행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영역은 주로 도서관이 위치한 행정구역으로 설정되고 있어, 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실제 접근 패턴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이 속한 지역의 교통적 및 지리적 특성과 이용자의 도서관 접근 패턴을 반영한 서비스 영역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7개 특별․광역시의 502개 도서관의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사도가 반영된 이동 거리와 시간을 파악하였으며,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도보 또는 차량으로 30분 이내 범위의 서비스 영역을 생성하였다. 그 결과 지형적 요소에 따라 도서관별 서비스 영역 양상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직선거리 기반의 서비스 영역과 비교하여 도서관 접근에 대한 현실적 여건을 더욱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서비스 영역 생성 방법은 도서관의 이용자의 수, 특성, 요구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Public libraries should plan and provide services that satisfy various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users. In order to understand library users, it is essential first to grasp the service areas of libraries. The current service areas of public libraries are primarily set based on administrative boundaries of the areas where the libraries are located, which limits the consideration of actual user access patterns to the libraries. In this study, we aim to create service areas that incorporate the transportation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y’s surroundings and reflect the access patterns of library users. Specifically, we utilized street network data from 502 libraries in 7 metropolitan cities to determine the travel distance and time from user locations, considering gradients, to the libraries. Subsequently, we applied the shortest path algorithm to generate service areas within a 30-minute walking or driving range.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ervice area patterns of libraries depending on topographical factors, and this better reflects the realistic conditions of library access compared to service areas based on straight-line distances. This method of generating service areas contributes to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library users’ numbers, characteristics, and needs.

김예현(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pp.109-134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1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에서 운영되는 기관 연구데이터 리포지터리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 국내외 기관 리포지터리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리포지터리 규정 및 정책 수립, 연구데이터 공유 인식 개선, 연구데이터 품질 관리 강화를 골자로 하는 기관 연구데이터 리포지터리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리포지터리 규정 및 정책 수립 측면에서는 현재 연구데이터와 관련한 규정인 국가연구개발정보 처리기준의 지위 향상과 리포지터리 근거 규정의 명시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둘째, 연구데이터 공유 인식 개선 측면에서 전반적인 연구데이터 교육과 우수 사례 발굴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셋째, 연구데이터 품질 관리 강화 측면에서 연구자-담당자-위원회의 상호작용과 표준화 작업, 장기 보존을 위한 준비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institutional research data repositori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o suggest ways to activate them. The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case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repository manager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study suggested strategies with a focus on establishing repository regulations and policies, improving awareness of research data sharing, and enhancing research data quality management. First, in terms of repository regulations and policy establishment,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promote the status of the National R&D Information Processing Standards, a regulation related to research data, and clarify repository basis regulations. Second, to enhance awareness of research data sharing, the need for comprehensive research data education and the identification of exemplary cases were suggested. Third, in terms of strengthening research data quality management, the need for preparation for interaction between researchers-persons in charge-committees, standardization work, and long-term preservation was suggested.

서미진(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수(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35-161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1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의학 학술지에 발행된 COVID-19(Coronavirus Disease 2019)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MEDLINE에 등재된 의학 분야 학술지 25종으로 총 800건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저자 분석, 빈도 분석, 주제 분석,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저자의 소속 기관은 국내 기관이 76.96%였으며, 국외 기관 저자의 비율은 소폭 감소하였다. 저자의 전공은 ‘내과학’(32.85%), ‘예방의학/직업환경의학’(16.23%), ‘방사선과학’(5.74%), ‘소아과학’(5.50%) 순이었으며, 공동연구가 진행된 논문은 435건(54.38%)이었다. 저자 키워드는 ‘COVID19’(674번), ‘SARSCoV2’(245번), ‘Coronavirus’(81번), ‘Vaccine’(80번) 등이 상위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전체 기간 등장한 단어는 ‘COVID19’, ‘SARSCoV2’, ‘Coronavirus’, ‘Korea’, ‘Pandemic’, ‘Mortality’ 등 6개이다. MeSH 용어와 저자 키워드를 대상으로 동시 출현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통적으로 ‘covid-19’, ‘sars-cov-2’, ‘public health’ 등의 중심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토픽모델링에서는 ‘백신 접종’, ‘COVID-19 발생 현황’,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정신 건강, 방역 조치’, ‘국내 감염의 전파 및 관리’ 등 총 5가지의 토픽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 기간 동안 발행된 국내 COVID-19 논문의 연구 영역과 연도별 주요 키워드를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COVID-19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medical journals of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25 MEDLINE journals in ‘Medicine and Pharmacy’ studies and a total of 800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uthors from domestic affiliations made up 76.96% of the total, and the proportion of authors from foreign institutions decreased without significant change. The authors’ majors were ‘Internal Medicine’ (32.85%), ‘Preventive Medicine/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6.23%), ‘Radiology’ (5.74%), and ‘Pediatrics’ (5.50%), and 435 (54.38%) papers were collaborative research. As for author keywords, ‘COVID19’ (674), ‘SARSCoV2’ (245), ‘Coronavirus’ (81), and ‘Vaccine’ (80) were derived as top keywords. There were six words that appeared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COVID19,’ ‘SARSCoV2,’ ‘Coronavirus,’ ‘Korea,’ ‘Pandemic,’ and ‘Mortality.’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MeSH terms and author keywords, and common keywords such as ‘covid-19,’ ‘sars-cov-2,’ and ‘public health’ were derived. In topic modeling, five topics were identified, including ‘Vaccination,’ ‘COVID-19 outbreak status,’ ‘Omicron variant,’ ‘Mental health, control measures,’ and ‘Transmission and control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research areas and major keywords by year of COVID-19 research papers published during the ‘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

이은주(동의대학교) ; 노지현(부산대학교) pp.163-181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163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 서비스의 기본은 자료에 대한 이용자의 효율적인 접근을 지원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지데이터(서지MARC)를 활용한 자료검색서비스의 고품질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도서관목록을 근간으로 한 자료검색서비스 관련 논의가 2010년대 초반에 머무르고 있어 자료검색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이용자 요구를 면밀히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도서관목록이 이용자 요구에 기반한 효율적인 자료탐색도구로 거듭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부산지역 49개 공공도서관 자료검색서비스를 ‘목록검색 방식’과 ‘정보제공 방식’에 따라 분석하였고, 둘째, 공공도서관 이용자 3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용자 요구를 파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자료검색서비스의 우수 참조사례를 근거로 현황과 요구사이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basis of library services is to support users’ efficient access to materials, and to this end high-quality search services using bibliographic data (bibliographic MARC) must be premised. However, in Korea, discussions on search services based on library catalogs are still in the early 2010s,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examine user need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solution for public library searching services to become an efficient search tool based on user needs.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analyzed cataloging services of 49 public libraries in Busan by focusing on ‘data search method’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second, identified user needs by conducting a survey of 322 users visiting public libraries, and finally, proposed improvement directions based on best practices.

박현지(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장우권(전남대학교) pp.183-204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18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고려인 역사문화관을 중심으로 라키비움의 공간․기능을 고려한 고려인 라키비움 구축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사서, 기록연구사, 학예사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관별 공간 및 업무 요구도 간 평균 차이를 알아보고자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2차 전문가(관장, 대표자, 고려인 전문가 등) 대상의 공간구성 요소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려인 라키비움에 필요한 기능 위주로 설정한 공간․기능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공간요소는 도서관은 보존서고, 열람실, 휴게공간, 기록관은 기록물 보존실과 전시실, 문화관은 수장고와 전시실 등이다. 기능(업무)은 도서관 3, 기록관 5, 문화관 4개의 요소로 나타났다. 둘째, 면담 내용의 검토를 거쳐 고려인 라키비움 구축모형을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공간구성은 지하1층에서 지상 3층까지 설치공간, 업무내용, 담당인력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onstruction model of Koryoin Larchiveum that considers the space and function of larchiveum, centering on the Koryoin Historical and Cultural Cente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librarians, archivists, and curators,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space and work requirements by institu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surve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condary experts (directors, representatives, Koryoin experts, etc.) on spatial components. As a result, first, spatial and functional elements set mainly for functions necessary for Koryoin Larchiveum were derived. Spatial elements include storage, reading rooms, and resting areas for libraries, archives storage rooms and exhibition rooms for archives, and storage and exhibition rooms for cultural centers. Functions (work) were represented by 4 elements: library 3, archives 5, and cultural center. Second, after reviewing the interview, the Koryoin Larchiveum construction mode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the installation space, work contents, and manpower in charge were presented from the first basement floor to the third floor above the ground.

박성우(광주대학교) pp.205-225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20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광주대표도서관 건립의 핵심 요소인 장서개발정책 수립을 위해 정보자원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장서개발의 이해관계자인 사서․이용자․도서관 3개 집단으로, 각 68명, 98명, 20개관이 조사에 응답하였다. 조사분야는 정보자원의 유형, 정보자원의 주제, 정보자원의 수준 3개 분야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 집단은 이용자 집단에 비해서 선호도와 필요도의 상관계수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특정대상 지원자료는 낮은 선호도와 낮은 필요도를 보였지만, 실제 이용률은 상위권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서들은 고문서 및 고서, 박물, 기술보고서, 학술논문을 대표도서관으로 이관하기를 원했다. 넷째, 철학 정보 자원은 선호도 중위권, 필요도 최하위권, 이관 필요성 최하위권이었다. 다섯째, 향토자료와 시정자료는 이용률 하위권과 이관 필요성 최상위권이었다. 여섯째, 현재 광주 지역 공공도서관의 정보자원 수준은 1.837, 대표도서관 요구 정보자원 수준은 3.325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Study is to investigate information resources recognition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that is a key element of Gwangju representative library. 68 Librarians, 98 library users and 20 libraries responded the questions of information resources. The fields of the questions are media, subjects and levels of information resourc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librarian group’s preference and need is lower than that of the user group. Second, information resources for the knowledge-disadvantaged has low preference and need but the actual usage rate was high. Third, Librarians need to transfer historical paper and books, historical objects, technical reports and journal articles to the representative library. Fourth, information resources about philosophy have middle preference, low need and the resources have low need for transfer to representative library. Fifth, local historical resources and administrative policy resources has low usage rate high need for transfer to representative library. Sixth, the level of public library in Gwangju is 1.837 and the expectative level of Gwangju representative library is 3.325.

홍소람(전남대학교) pp.227-253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22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 혁명으로 인해 변화한 정보 환경에서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정보자원으로 밈을 개념화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자원으로서 밈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밈의 맥락과 실재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연구문제로 환원시키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밈’은 어떠한 주제들과 함께 연구되는가? 둘째, 어떠한 것들이 ‘밈’으로 포착되어 연구되는가? 연구문제를 소명하기 위해 국내 밈 연구 145건을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동시출현빈도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 중 73건을 대상으로 밈 사례 275개를 추출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밈은 인문학, 사회과학, 복합학, 예술체육학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었다. 또한 연구 초기에는 Dawkins의 밈 개념을 토대로 한 이론 연구(2012년 전후), 한류 콘텐츠 확산을 설명하기 위한 밈 개념 도입 연구(2015년 전후), 문화사회학의 주요 연구 주제로서 밈 개념의 독자적 연구(2019년 전후)가 이루어졌다. 둘째, 밈은 언어적 특성을 중점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언어 밈(L-meme)(102건, 37%)과 언어․시각 밈(LV-meme)(23건, 8%), 언어․시․청각 밈(LVM-meme)(21건, 8%) 등 언어 양식에 기반한 밈이 다수였고, 동시출현빈도 네트워크의 빈도․연결중심성․매개중심성 상위 노드에도 language meme(언어 밈) 키워드가 등장했다. 즉, 밈은 언어적 특성을 토대로 한 문화사회학의 고유한 정보 현상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정보자원으로서뿐만이 아니라 정보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밈 리터러시를 개념화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conceptualize memes as information resources for literacy education in information environment changed with digital revolution. The study is to explain the context and reality of memes in order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memes as information resourc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topics are ‘memes’ studied with? Second, what things are captured and studied as ‘memes’? The study conducted frequency an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on 145 domestic studies and contents analysis on 73 domestic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mes were mainly studied in the field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interdiciplinary studies’, and ‘arts and kinesiology’. Studies based on Dawkins’ concept of memes (around 2012), studies on introducing the concept of memes to explain the spread of Korean Wave content (around 2015), and independent studies of memes as a major research topic in cultural sociology (around 2019) were performed. Second, memes are linguistic. Language memes (L-memes) are 102 (37%), language-visual memes (LV-memes) are 23 (8%), language-visual-musical memes (LVM-memes) are 21 (8%). Keyword ‘language meme’ ranked high in frequency,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of co-occurrence network. In other words, memes are expanding as a unique information phenomenon of cultural sociology based on linguistic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conceptualize meme literacy in terms of information literacy.

민요한(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이보라(신라대학교) pp.255-272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2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전공 교과목 운영이 학습몰입도, 결과성취도,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효과를 측정 및 분석 후, 학생 중심형 수업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블렌디드 러닝 수업 운영 후 학습몰입도, 결과성취도, 학습만족도의 사전 및 사후 비교분석을 통해 사후조사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몰입도 요인 중 학업사유인지, 학업집중, 흥미성, 통제감 등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며 특히 학업집중과 통제감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결과성취도 요인 중 성취동기, 만족감, 관계활용능력, 수업태도 등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며 특히 만족감과 관계활용능력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습만족도 요인은 일반만족도와 학습관련 만족도 등 모두 효과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전공 교과목 운영은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에게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sought implications for further revitalizing student-centered classes b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operation of major courses applying blended learning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icence (LIS) students on learning immersion, result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pre and post scores of learning immersion, result achievement, and academic satisfaction after operating the blended learning class, the average score of the post-survey was high. Second, among the factors of learning immersion,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academic reasons, academic concentration, interest, and control. In particular, the effect of academic concentration and control was high. Third, among the factors of outcome achievement,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achievement motivation, satisfaction, relationship utilization ability, and class attitude. The effect of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utilization ability was particularly high. Fourth, both general satisfaction and learning-related satisfaction were very effective in academic satisfaction factors. In sum, it was found that the operation of major courses applying blended learning was effective for LIS students.

곽지영(법원도서관) pp.273-295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273
초록보기
초록

일반 국민, 법률전문가 등이 재판 관련 자료를 열람․대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법격차를 줄이고 사법접근성을 높이는데 일조할 수 있는 것은 사법부 국립도서관인 법원도서관 법마루가 유일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법원도서관 법마루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파악하고 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용자 만족도는 5점 만점에 직원응대 4.62점, 시설관리 4.48점, 행사 및 강좌 등 문화프로그램 4.33점 등의 순이었으며, 장서구성 만족도가 3.97점으로 가장 낮았다. 이는 법 전문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가장 크게 주는 부분이 장서구성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장서구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던 만큼 앞으로 법마루가 강화해야 할 서비스 역시 장서확충이 44%(114명)로 가장 높았으며, 향후 이용자층에 따른 균형 있는 장서 수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는 일반 국민과 법률전문가의 법원도서관 법마루 열람 공간 및 서비스 이원화, 법률 전문도서관으로서의 정체성 강화, 시스템 개선, 홍보 및 직원응대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지속적인 문헌정보학계의 연구를 통해 법원도서관 법마루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정착된다면 법학전문도서관을 비롯한 법학도서관계 전반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이용자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Beopmaru,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the national library of the judiciary, is the only one that can help reduce the justice gap and increase access to justice by allowing the general public and legal experts to read and circulate. Accordingly, this study identified user satisfaction with the Beopmaru public service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and derived ways to improve the service. User satisfaction was in the following order out of 5 points: response of librarian 4.62 points, facility management 4.48 points, and cultural programs such as events and lectures 4.33 points. Satisfaction with collection composition was the lowest at 3.97 points. This appears to be because collection composition is where legal expertise has the greatest impact on satisfaction. As satisfaction with the collection composition was the lowest, collection expansion was the highest at 44%(114 people) as a service that Beopmaru needs to strengthen in the future, and a balanced collection of books according to the user base is needed in the future. Based on this,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to include dualizing the Beopmaru reading space and services for the general public and legal experts, strengthening its identity as a legal library, improving the system, and strengthening publicity and response of librarian. If the Beopmaru public service is successfully establish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community,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the law library industry as a whole, including law libraries, and increase user satisfaction.

김송희(전주아중중학교) ; 소병문(공주대학교) pp.297-318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29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중학생을 위한 독서교육의 자료로써 그림책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안하고 이를 도서 선정에 적용이 가능한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하여 독서자료로써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와 학문 분야별 그림책 선정 기준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그림책 선정 기준의 공통점을 일러스트와 텍스트, 그 외로 구분해 범주화하여 통합한 후, 중학생을 독자로 선정해 적용할 수 있는 선정 기준을 구안하였다. 통합된 그림책 선정 기준을 내용으로 현직 사서교사에게 중학생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선정할 때 고려할 주요한 기준을 묻는 설문조사와 그림책 교육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집중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글과 관련된 2개의 기준, 그림과 관련된 4개의 기준, 그리고 그 외 5개 기준으로 구성된 중학생을 위한 그림책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선정 기준의 실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어린이도서연구회 추천 그림책(13세 이상)을 대상으로 범주별 기준의 적용 여부를 확인하였다. 중학생 대상 22권의 그림책 가운데 선정 기준의 모든 범주별 적용이 가능한 도서는 15권으로 유의미한 실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criteria for selecting picture books as various reading education materia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check whether it can be applied to book selection. First, identified the educational value of picture books as reading materials a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picture books by academic field through previous studies. After integrating the commonalities of various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by categorizing them into illustrations, text, and other categories. And it devised selection criteria that can be applied after sel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as readers. Based on the unified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a survey was conducted to ask in-service librarians about the main criteria to consider when selecting picture 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tens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who have experience in picture book education. As a result, the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from previous studie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with two criteria related to text, four criteria related to pictures, and five other criteria, and presented as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verify the practicality of the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it checked the applicability of each category of criteria to picture books recommended by the Children’s Book Research Society (ages 13 and older). Out of 22 picture 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15 books could be applied to all categories of the selection criteria, showing significant practicality.

정영선(경남 평산초등학교) ; 차성종(신라대학교) pp.319-347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3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진로탐구 독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참가자들의 진로의식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고자 초등학교 학생 대상 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12회기의 진로탐구 독서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시행한 후 진로발달 검사를 실시하였을 때,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진로발달의 아홉 가지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만족도 조사와 반응 조사 및 면담 결과, 진로탐구 활동에 대한 성취감을 증가시키고 미래 직업 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발견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 a career exploration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easure its effects on students’ career consciousness development. The study involved 12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who underwent pre-test and post-test evaluations. After conducting 12 sessions of the career exploration reading program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 career development assessment was administer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all nine sub-domains of career develop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increased satisfaction, positive perception,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in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leading to a positive impact on the formation of future career concepts.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