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진식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 ; 원지욱( 국립기상연구소 연구기획운영팀) pp.5-2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경영, 경제, 무역학분야 연구자들의 연구영역과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영학연구", "경제학연구", "무역학회지"를 선정하여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개년동안 이에 게재된 540편의 원 문헌과 22,147건의 인용문헌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단독보다는 공동연구에 의한 학술교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자들이 이용하는 문헌의 77% 정도가 출판 된지 10년 이내 정확하게는 8.5년 정도의 문헌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다. 반감기는 단행본은 국내 10.9년, 국외 11.1년이며, 학술지는 국내 6년, 국외 8.2년으로 국내문헌보다는 국외문헌에서 다소 길게 측정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s analyzed the cited documents after selecting Management Administration Economics Trades in order to comprehend the study sphere and tendency for the three years from 2005 to 2007 in which 540 articles and 22,147 cited documents. In the analyzing result, the scientific study exchange communication activities is making progress more actively by the sole study rather than the joint study and over 77% of references are published before around 10 year-old, specifically 8.5 year-old documents have been used the most. The half-life period is 10.9 years for domestic books and 11.1 years for international books. For the journals, it is 6.0 years for domestic and 8.2 years for international which tells international articles are slightly longer half-life period than domestics.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 이미화( 한성대학교 홍보교류팀) pp.23-3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보다 편리하게 도서관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어린이도서관의 컬렉션코드 및 청구기호 간략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표적인 공공도서관에서 사용하는 분류체계 및 저자기호표, 분류기호의 확장전개 수준, 컬렉션 구성과 컬렉션별 청구기호 조합 방식을 설문 및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해외 어린이도서관에서는 소설, 그림책, 전기 등과 같이 어린이의 이용이 많은 자료를 중심으로 별도의 컬렉션을 구성하고, 분류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컬렉션에 맞게 컬렉션코드와 저자의 성으로 간략하게 청구기호를 부여하였다. 국내 도서관에서도 컬렉션코드를 활용하였으나 다양하지 않고, 각 컬렉션 내에서 한국십진분류표를 이용해 배열하였다.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도서관을 위한 컬렉션의 종류를 비소설, 소설, 소설/미스터리, 소설/공상과학, 그림책, 만화, 언어별, 옛이야기, 전기, 신화, 개념책, 명절, 수상작, 공룡, 곤충, 만들기, 탈것, 큰책, 팝업책, 그림연극, 보드책, 참고, 잡지, 시리즈, 새 책, 비디오, 오디오로 제안하였고, 여기에 연령구분표를 첨가하여 컬렉션의 추가적인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소설의 경우 하위 컬렉션으로 장르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청구기호도 컬렉션 코드를 활용하여 간략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collection codes and simplification of call numbers for children's easy access to the children's materials. The classification schemes, author tables, expansion of classification schemes, collections codes, classification numbers used in domestic and foreign children's librarie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ing with librarians. As a result, in foreign children's libraries, it was common practice to shelve children's materials separately into various collections and sub-collections, to mark the spine with collection code and the lead characters of the author's last name, and not to stick with their classification scheme when it comes to highly circulated children's materials such as fiction, picture book, biographies and so on. Also, in domestic children's libraries, it was found that a collection code was used a few and each call number was almost assigned by KDC number.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types and codes of collection and sub-collection were divided as non-fiction, fiction, fiction/mystery, fiction/science fiction, picture book, cartoon, language, folks and fairy tales, biographies, legend, concept book, holiday, award, dinosaur, insect, DIY, transportation, tall book, pop-up, story book, board book, reference, magazine, series, new book, video, and audio and were easily expanded by combining age tables or fiction genre. Also, new simplifying methods of building call numbers with collection codes were suggested.

유경종 (경상대학교도서관 학술정보운영과 ) ; 박일종( 계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p.39-57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경남지역의 도시지역에 위치한 2개의 공공도서관과 군지역에 위치한 2개의 공공도서관을 표본으로 선정하고 2007년의 대출기록을 수집하여 엑셀과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각 도서관별로 장서유형, 대출빈도, 주제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도시지역과 군지역 공공도서관을 비교하기 위해 이를 다시 4개 도서관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데이터에서는 관계변수로 대출책수와 대출횟수, 이용지수, 출판경과년수를 추출하여 기술통계와 상관계수, 교차분석 등의 다양한 통계적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two urban-area public libraries and two rural ones that are located in the Gyungsangnam-do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is paper, and the circulation records in 2007 were collected, and both MS-excel and SPSS were used for thei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into their collection type, circulation frequencies, and subjects. Also the four libra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gain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libraries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number of circulated books, lent number, use factor, and the number of publication lapse year were extracted and analyzed using various types of statistical methods such a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nonparametric chi-square analysis, etc. as well as descriptive ones.

유재옥(덕성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 pp.59-7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이해용이성에 따라 전자자료이용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이해용이성을 '메뉴명칭의 명확성과 메뉴배열구조의 논리성'으로 정의하고 기존의 덕성여자대학 도서관 인터페이스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인터페이스 개선안을 전자도서관에 탑재한 후 인터페이스 수정전후의 전자자료 이용률의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사용자인터페이스상의 메뉴명칭을 이해하기 쉬운 명칭으로 변경하고 메뉴배열 순서를 논리적으로 재구성하여 제공했을 때 동 메뉴사용이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메뉴명칭과 배열순서의 변경전후 사용자인터페이스 이용률을 비교해 보았을 때 67.9%의 이용률 급증현상을 보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였다(<.000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easy understanding of user interface could affect the use of electronic materials in a virtual academic library. The user interface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was analysed in terms of label description and array of menus. The frequencies of menu use were collected by analysis of use log files after modified user interface was applied. Clear label descriptions of link menus and sub-menus of electronic material searche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number of user clicks on the modified menu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more clearly menu labels are described, the more frequently users click the menus on the academic library user interface.

선여울 (서전주중학교 ) ; 김포옥(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73-85
초록보기
초록

학교기록물은 기록물관리에 대한 개념조차 전혀 인식하고 있지 못한 초중등 일반교사들이 기록물을 직접 생산, 관리하고 있는 실정으로 인해 기록관리상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각급 학교기록물 분류기준표의 구성항목의 문제점과 관리운영의 실태를 면밀히 조사 분석하여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개선 내용으로는 먼저 기능분류체제의 완성과 업무의 표준화 및 상세 매뉴얼의 개발 그리고 관리 범위의 확장 및 평가 절차 강화 등을 강조하였다.

Abstract

The school records are having lots of problems in the records management by the reason that general teachers who belongs to an elementary and a secondary school, were producing and managing all the records, they don't have any knowledge on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this paper, tried to consider the plan of the school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and record management system under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and problem features. The first plan for managing is to complete the system of business classification scheme, the standard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and develop manuals and guidelines, and the second is the range expansion of managing and reinforcing the appraisal procedures.

장로사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김유승(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87-100
초록보기
초록

전통적 종이기록물에서 전자기록물로 중심을 옮기고 있는, 21세기 기록관리 패러다임의 전환은 기록관리학에서 전자적 형태의 기록 정보의 생산, 관리, 보존 및 활용과 관련된 정보학 영역의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기록관리학 관련 5개 학회지에 발표된 연구 성과 중, 전자기록물 및 정보기술을 중심으로 한 정보학 영역의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학 영역을 중심으로 한 기록관리학 연구논문은 총 99건이었으며, 양적으로 계속 증가되고 있었다. 연구자들이 선호한 주제영역은 메타데이터, 전자 기록물, 디지털 아카이빙(아카이브), 정보(기록물)공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Since the paradigm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has been shifted toward the digital records world, information science, which is related to electronic record information's creation, management, preservation, and usage, has became increasingly significant. In the context, this article studies a research trend of information science in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field. For the study, 99 concerned articles from five academic journal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08 are analyzed. As a result, the article finds out several research trends in this field, including researchers' preferred research subjects.

노영희(건국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문헌정보학) pp.101-117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은 기능별 조직과 주제별 조직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주제별 조직에 대한 수요가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선행 수요조사 연구들을 통해서 밝혀지고 있다. 또한 주제별 운영체제의 경제성 및 효율성 검증 연구 등이 수행되고, 주제별 조직으로의 전환을 주장하는 연구가 많이 있으나 아직도 국내의 현황을 조사해 보면, 완전 주제형으로 주제전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도서관 환경의 제약, 그 중에서 특히 직원규모의 한계로 인하여 주제전문서비스 체제를 도입하고 있지 못하는 도서관의 실정을 감안하여 실질적인 도입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제전문사서의 역할을 정리하고, 주제전문서비스 성공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국내 4년제 대학도서관의 사이트를 조사하여 규모별 대학도서관의 다양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Abstract

It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previous demand analysis that the subject-oriented service system in university libraries are in higher demand than the function-oriented system. Despite of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that prove cost-effectiveness and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subject-oriented library service, there are virtually no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that fully operate subject-oriented servic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et of practical guidelines for university libraries to introduce subject-oriented service in the midst of many existing constraints, namely staff shortage. The study describes responsibilitie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and analyzes best practices of subject-oriented service. Also it shows current standing of university libraries of difference size based on web site research of four-year university libraries.

곽동철 (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심경( 아이리스닷넷 ) ; 윤정옥( 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19-13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도서관 상황에 가장 적합하다고 보이는 미래지향적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의 중 장기 건립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된 국립중앙도서관 분관 건립(안)에 대한 대안으로서 "양극-다기화" 체제를 제안하였다. 이는 우선 하나의 직할 분관 건립에 주력하여 국가도서관 체제의 양축을 구성하고, 장기적으로 필요시 복수의 분야별 국립도서관을 건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시발점으로 한 국가도서관 발전체제 구축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직할 분관, 분야별 국립도서관, 지역대표도서관의 협력 체제 확립과 국가 차원의 전국적 도서관서비스의 연계 협력 모형 구축 및 중 장기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유지하고, 둘째, 실질적인 예산 확보 및 제반 정책적 지원 방안 강구하며, 셋째, 국내 도서관들 간 지역별 도서관 협력체계의 국가적 차원 연계 및 각급 도서관의 역할 정립을 지원하고, 넷째, 국가의 지속가능한 도서관 발전정책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mediumand long term plan for the development of new branch librarie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s the most appropriate strategic direction of planning the branches, proposed is the "bipolar and multidirectional" model which means the establishment of the only one branch librar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n, if necessary, more than one national libraries later. In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s a national library take a leading role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wide library system, develop a sustainable medium- and long-term plan for securing the appropriate budget, human resources, and legal support, and help all kinds of libraries improve the level of services.

이성숙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 정서영( 충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p.137-15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폭소노미를 도입하여 라이브러리 2.0을 구현하고 있는 대학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일반적인 패턴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하나의 콘텐츠당 약 1.35개의 태그가 사용되었다. 태그의 전형적인 패턴은 사용개수가 증가할수록 사용빈도수가 감소하는 멱함수 분포를 따르며, 전체 79.51%의 태그는 콘텐츠의 주제를 표현하고 있고, 84.61%의 태그는 사회적 동기에 의한 태그이다. 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집단지성 구현도는 20.83%로 조사되었다. 4분기로 나누어 태그의 증감율을 살펴본 결과 A 대학도서관은 분기별 차이가 큰 반면, B 대학도서관은 분기별 차이가 적었다. 이용자는 평균 5.25개의 태그를 태깅하였고, 태깅 행태에 따라 이용자의 성향을 세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has introduced folksonomy to general patterns of folksonomy tags for the university libraries that have practically implemented Library 2.0. From the results, we can see that average about 1.35 tag is used for one content. Typical pattern of the tags follow a power function that frequency of use decreases as No. of uses increases, 79.51% of tags are expressing topic of contents, and 84.61% of tags are tag of social motiv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increase/decrease rate for tags divided into 4 quarters said that A university library has big differences from quarters while B university library has similar data between quarters. The users have used average 5.25 tags. Trends of the users can b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agging patterns of the users.

김선애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서혜란( 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51-164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소장자료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장서의 주제별, 연령별 소장현황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소장자료의 주제별, 연령별 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 장서의 주제별 분포와 노후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423개 공공도서관이 분석대상이었으며, 한국십진분류표(KDC)가 주제별 소장현황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었고, 자료의 출판년도가 소장자료의 최신성 혹은 노후화정도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공공도서관 장서는 주제별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학과 사회과학의 비중이 전체 자료의 54.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장서의 최신성은 비교적 우수하였으며, 2000년 이후 발간자료의 소장비율이 전체 자료의 64.9%를 차지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se the collections of public libraries in terms of their subject distribution and currency. It was expected that the analysis would give public librarians some suggestions as to their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making. This study team selected 423 Korean public libraries across the country and scrutinized the collections by their classes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and publishing year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some subject disproportion in public library collections. Literature and social sciences were accounting for 54.8% of whole collections. Currency of collections of public libraries could be said relatively excellent. It was found that 64.9% of whole collections had been published after 2000.

신동준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 ; 이상호(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 ; 임채진(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pp.165-179
초록보기
초록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은 기본적으로 교육 및 정보를 전달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교사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간 구성은 세부 공간 간의 기능을 잘 연결할 수 있도록 공간과 가구의 경제적 배치(LAYOUT)가 주된 목적이다. 따라서 공간과 가구를 잘 배치하여 이용자가 편리하고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의 기능공간의 배치유형을 조사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학교도서관의 전문화, 다원화, 개성화 하여야하는 목적과 교육환경 및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초등학교 도서관의 사용자인 학생 측면에서 현황을 파악하고 공간의 점유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초등학교 도서관 계획시 보다 효율적인 공간계획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Abstract

The primary school library make high using convenience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support work of teachers efficiently because of transmission education and information fundamentally. Generally, the main purpose of space composition is economic Lay-out of space and furniture to connect faculty of between space and space. Therefore, to convenient for users and high effect of education, Lay-out of space and furniture, we survey and analyze Lay-out type of faculty space in primary school library. To this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tate and analyze the occupancy character of space for students that user of primary school library then when we plan primary school library, accomplish more efficient space plan that specialization, pluralistic, individuality of primary school library and cope with environment of education and change of society actively.

김혜주 (중앙대학교 ) ; 안인자( 동원대학 아동문헌정보과 ) ; 박미영( 한국과학기술정보원 ) ; 김호연( 강남대학교 특수교육학과) pp.181-19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도서관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기초 현황 조사로서 국내 자원봉사자, 18만 여명을 대상으로 활동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도서관은 대부분의 자원봉사자가 활동하고 있는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으로 하였으며, 이 조사는 도서관 자원봉사를 대상으로 망라적인 조사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두고 있다. 조사 내용은 자원봉사자 참여 측면, 자원봉사자 담당 업무 측면, 자원봉사자 관리 및 운영 측면(교육, 모집), 문화프로그램 봉사자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present state of the volunteers activities in Korean libraries and for reinforcing Library volunteer activity. 180,000 people were asked questionaires for the purpose looking into present state. the analysed places of the subject are public library and school library where most of volunteers work. this research is greatly meant due to the collection of broad investigation through the public library and school library in Korea. A questionnaire made to twice and the results were shown in four parts which are the aspects of the participant, the volunteers' duty, the management of the volunteers(training and recruitment), and about cultural program volunteers.

곽철완 (강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안인자( 동원대학 아동문헌정보과 ) ; 김호연( 강남대학교 ) ; 박미영( 서울여자대학교) pp.197-2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에 적합한 문화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운영매뉴얼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의 프로그램 모형과 매뉴얼을 조사하였고,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전문가와 면담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문화프로그램 모형을 내적요소와 외적요소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문화프로그램의 밑바탕이 되는 틀인 내적요소에는 문화프로그램의 목적과 도구가 포함되고, 개개의 문화프로그램을 어떤 내용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외적요소에는 문화프로그램의 주제 분야 및 형식을 포함시켰다. 도서관에서 문화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기 위한 운영매뉴얼을 제시하였는데 전 과정을 12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필요한 중요 활동을 따로 제시하여 각 단계에서 무엇을 하여야 할 것인가 서술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ltural program model and to provide a cultural program manual for public library. The various program models and manuals were analyzed from the literature, and program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culture program model includes inner factors and outer factors. Inner factors include program objective and resources as a program framework. The outer factors include program subject and format, and are what to show and how to show. A cultural program manual is developed for individual public library. The manual has 12 levels and each level has several actions which focus on important role.

곽철완(강남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pp.209-22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업무분석(CWA)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중학생들의 공공도서관에서의 정보행태를 조사하며, 도서관 공간에서의 행태 분석 연구에서 CWA의 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CWA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심층면담과 관찰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이 보고서 작성을 위해 도서관에서 자료를 찾을 때, 보고서에 적합한 자료, 도서관 자료의 한정성, 도서관의 개관시간, 자료의 이용 가능성 등이 정보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행동은 크게 3가지 타입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온라인목록을 이용하여 자료의 청구기호를 확인한 후, 서가에서 자료를 찾아 열람테이블에서 보고서를 작성하는 타입, 바로 서가에 가서 필요한 자료를 찾아 대출하는 타입, 도서관 직원에 의존하여 자료를 대출하는 타입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CWA는 도서관 공간에서 정보행태를 조사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여러 가지 복합적인 조사가 누적되어야만 효과적으로 공간을 재구성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고 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behavior of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public library and to find the effectiveness of the behavior analysis using a cognitive work analysis(CWA).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dept interview and an observation method.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had four constraints when they searched materials for reports: relevant materials for reports, limitation of materials, opening hours, use possibility. There are three behavior types. A type is that students find materials on the shelf through searching an online catalog, then make a report using reading the materials. B type is that students find materials on the shelf and check out the materials. C type is that students find materials and check out them by library staff help. CWA can be used for the information behavior research on the library space. CWA can, however, apply for space redesign when various researches would be conducted about the information behavior.

김희재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 ; 장익진( 부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나금실(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p.221-234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한국 유입 전 이주노동자들의 한국에 관한 정보인지도가 한국생활만족과 정보발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함께 부산 경남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에 관한 정보는 인력송출회사와 매체정보에 주로 의존하고 있었다. 유입전에 습득한 정보인지 중에서 '사회 경제정보인지' 요인이 높을수록 한국생활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생활만족에서는 '작업장환경만족' 요인이 높을수록 정보발신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주노동자들에게 필요한 양질의 정보제공과 정보경로의 다양화 등 정보정책 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satisfaction of Korea life and attitude on sending information is influenced by the information cognition rate of Korea before influx to Korea. The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to survey migrant workers in Busan and Kyeongnam area. The results show a tendency towards a higher information cognition when the information was acquired through manpower supply agencies and media information. In addition, among the variables of information cognition, when 'socio-economical' factor was high, the satisfaction rate of Korea life tended to be higher. Also, when the 'workplace environment satisfaction' factor was high, attitude on sending information tended to be positive. Based on tho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measures for establishing information policies, such as provision of high quality information, diversification of information route which are necessary for migrant workers.

편집부() pp.235-250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