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김수경(창원문성대학교 문헌정보과) ; 송민선(대림대학교) pp.5-31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남도 18개 시군의 지역별 독서문화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경상남도의 독서문화 실태 및 인프라 조사를 통해 도내 도서관의 독서문화진흥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독서문화 인프라 조사 및 경남도민의 독서실태 분석, 경남지역 독서문화진흥 사업성과 분석, 분야별 독서문화진흥 관련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반영, 종합하여 경상남도 독서문화진흥 활성화 방안을 6가지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경남 독서문화진흥 거버넌스 구축, ② 경남 독서문화진흥위원회 구성 및 독서문화진흥 수립․시행 등의 평가 역할 근거 마련, ③ 지역별 특성화된 장서 구성 및 독서문화 프로그램 마련, ④ 경남대표도서관과 경남교육청 간 서비스 대상 및 역할 분담 체계화, ⑤ 경남대표도서관과 18개 시군 지자체 도서관 간의 역할 분담 체계화, ⑥ 경남 및 18개 시군 지자체들의 독서문화진흥 정책 근거 마련 및 관련 법제에 기반한 협력 지원 시스템 구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reading culture in Gyeongsangnam-do and its infrastructure in order to develop a balanced reading culture in each of the 18 counties of Gyeongsangnam-do, and to come up with plans to promote reading culture in the libraries in the province. To this end, six measures were proposed to revitalize reading culture in Gyeongsangnam-do by reflecting and synthesizing the survey of reading culture infrastructure in Gyeongsangnam-do, the analysis of the reading status of residents of Gyeongsangnam-do,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roject in Gyeongsangnam-do Province and the collection of opinions from experts related to the promotion of reading culture in each fiel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① Establishment of Gyeongnam Reading Culture Promotion Governance, ② Establishment of Gyeongnam Reading Culture Promotion Committee and preparation of basis for evaluation roles such as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reading culture promotion, ③ Creation of specialized collections and preparation of reading culture programs by region, ④ Service between Gyeongnam Representative Library and Gyeongnam Office of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subject and role division, ⑤ Systematization of role division between Gyeongnam representative library and 18 city and county local government libraries, ⑥ Establishment of grounds for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of Gyeongnam and 18 city and county local governments, and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support system based on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한만성(우석대학교) pp.33-57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033
초록보기
초록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공공도서관이 가진 ‘우리 모두의 장(공통장)’의 특성을 최대한 발견한 학습 구성요소 설계 및 대학의 일반교양 과목 요건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 구성이다.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문해력 향상의 연습장이자, 디지털 공유문화의 체험장, 차별 없는 모두의 학습장, 메이커 운동의 작업장 그리고 지역공동체 형성의 거점으로서 ‘우리 모두의 장’의 성격을 두루 갖추고 있다. 연구자는 다양한 문해력 이해, 정보활용능력의 정보윤리, 공동체 의식 및 다문화 이해, 공공의식과 협동정신 및 컴퓨터 활용능력, 학제적 지식 및 통합적 안목과 시각 등을 학습 구성요소로 설계하고 ‘공유문화와 지역도서관’이라는 명칭의 과목을 개설하였다. 이러한 공공도서관 관련 융합 교양 교과는 지역 및 공공성의 위기가 증대되는 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학생들에게 널리 확산하고 실제로 다양한 도서관 서비스를 체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지역도서관의 인지도 및 이용률 향상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ons for all’ related to public libraries as much as possible, design the learning content, and finally to demonstrate whether the contents meet the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 of universities. The public library is a study hall for multi-literacy, a common place for lifelong learning without discrimination, a place for experiencing digital sharing culture, a place for practicing public architectural design for community regeneration, a workshop for the maker movement and finally, a hub for forming local communities. In short, it has all the characteristics appropriate to being a commons. This subject titled “Sharing Culture and Local Libraries” is designed and composed with various literacy understanding, information ethics of information literacy, community consciousness and multicultural understanding, public consciousness, cooperative spirit and computer utilization ability, interdisciplinary knowledge, and integrated perspective. In a situation where the regional and public crises are increasing, this kind of general education subject about public library,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raising the awareness of the library and further enhancing the local community togetherness spirit by spreading the value of the library widely to students and inducing them to actually experience various library services.

이혜영(동덕여자대학교) pp.59-92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0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의학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의학사서의 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의학사서 역할을 조사하여 교육영역을 항목화한 후 미국의 MLA와 한국의 KMLA 교육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의학사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점으로 첫째,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유형, 교육영역, 교육내용, 전문 분야를 선정한 인증 프로그램의 확대, 관련 기관과의 협업 프로그램, KMLA 가치를 표방하는 교육프로그램 등이 요구된다. 둘째, 현행 교육영역 중 ‘연구지원서비스’, ‘교육․교육설계․상담’ 등에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전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소비자건강정보서비스’, ‘재난정보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의학 관련 분야 정보서비스’ 교육을 위해서는 국내 의학사서 교육 커리큘럼에 관한 규정 제정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대면 교육 참여가 어려운 사서를 위하여 온라인 교육내용 제공이 필요한데 이러한 경우에는 교육내용만 제공하고 의학사서점수 부여에는 차등을 두거나 점수를 부여하지 않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medical librarians’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domestic medical library user services. To this end, the role of medical librarians was investigated, and the education areas were itemized, and then the MLA in the US and the KMLA in Ko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improvement points for medical librarian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re: First, expansion of certification programs that select various types of education programs, education areas, education contents, and specialized fields, collaboration programs with related institutions, and education programs that advocate the value of KMLA are required. Second, there is a need for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n the current educational areas, such as ‘research support service’ and ‘education/education design/consult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 and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for which there is no education at al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cede the establishment of regulations on the domestic medical librarian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of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in the field related to medicine’.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online education contents for librarians who have difficulty participating in face-to-face education.

윤소영(한성대학교) pp.93-114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093
초록보기
초록

자기주도적 창의교육을 중시하는 교육 패러다임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는 주요한 공적 기관인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은 교과연계프로그램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 지원을 주요 업무로 강조하고 있다.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지식정보 제공이 필수적이며, 교과서에 반영된 교육과정을 심화․확장할 수 있는 교과서 연계 참고자료가 풍부하게 확보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초등학교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도서관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확장하고자 하는 정보요구가 큰 주요 교과를 식별하고, 도서관 컬렉션 및 분류체계와 연계할 중점 매핑 포인트를 설정하였다. 각 교과의 학습주제 및 교과연계도서의 서지정보와 함께 한국십진분류법(KDC)의 분류표목 및 상관색인의 도입어를 참조하여 학습주제와 연관된 분류항목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친숙하지 않은 KDC 체계를 초등학교 주요 교과의 단원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과서 연계 서지정보 및 주제정보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은 교과과정의 학습주제를 중심으로 이용자별로 타겟화된 도서관 콘텐츠와 초등학교 교육콘텐츠를 연계함으로써 온라인 환경에서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창의학습 지원을 강화할 수 있다.

Abstract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paradigm that values self-directed creative education, school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emphasize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through curriculum-linked programs as their main tasks. For self-directed learning, it is essential to provid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and there should be abundant textbook-linked references that can deepen and expand the curriculum reflected in textbooks. This study established KDC-linked information related to unit and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through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curriculum-linked books, restructured KDC system based on major subject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established a curriculum-linked subject information. Libraries can strengthen support for self-directed creative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 online environment by linking library content targeted for each user wi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ontent focusing on learning topics in the curriculum.

박진호(한성대학교) pp.115-136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1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 목적은 KISTI 오픈액세스 성숙도 모델 진단기준에 대한 가중치 부여이다. 해당 성숙도 모델은 3개 차원, 12개 세부항목, 28개 측정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중치 부여는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3개 차원, 차원에 속하는 12개 세부항목에 대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3개 차원에서는 ‘OA 제도화’(49%)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었다. ‘OA 제도화’의 하위 요소 중 관련 규정 제․개정(65%)이 중요하였고, ‘OA 지속가능성’에서는 재정(40%)이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었다. ‘학술지 개방성’의 중요한 요소로는 투고와 심사(26%), 저자 권리(22%)가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weighting system for the diagnostic criteria of the KISTI Open Access Maturity Model. The maturity model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12 sub-dimensions, and 28 measurement questions. Weighting was performed for the three dimensions and 12 sub-dimensions to determine their relative importance. The results showed that ‘Institutionalization of OA’ (48%)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three dimensions. Among the sub-factors of “institutionalizing OA,” “enacting and revising relevant regulations” (64%) was important, and “financing” (39%) was important for “OA sustainability. Submission and review (23%) and author rights (22%)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elements of “journal openness”.

박희진(한성대학교) ; 김지성(한성대학교) pp.137-158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137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현대 데이터 사회에서 데이터 활용에 있어 데이터의 개방성과 더불어 신뢰성 및 공정성 확보 또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차원적 관점에서 데이터 민주주의 개념을 정의하고 규범적 가치의 요소를 제시함으로써 데이터 민주주의 체계와 현황을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 개발과 선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데이터 민주주의의 논의를 위한 토대로써 Kneuer(2016)의 개념을 토대로 자유롭고 공평한 접근, e-참여, e-정부를 e-민주주의의 주요 요소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e-민주주의의 규범적 원리를 토대로 데이터 거버넌스의 질 향상을 위해 데이터 민주주의 개념의 이해 및 실제 적용을 위한 데이터 민주주의의 규범적 프레임워크 및 구성요소로 포용성과 형평성, 참여, 민주적 주권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민주주의 실천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문헌정보학에서 데이터 민주주의의 규범적 프레임워크에 근거한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를 후속 과제로 제시하였다.

Abstract

In the modern digitized data society, there is a growing emphasis on securing trustworthiness and fairness in data utilization, along with data openness. By defining the concept of data democracy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presenting elements of normative valu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asic conceptual framework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data governance system and levels of data democracy. As a foundation for the discussion of data democracy, based on Kneuer’s (2016) conceptualization of e-democracy, free and equitable access, e-participation, and e-government were introduced as core dimensions of e-democracy. To improve the quality of data governance and foster a better understanding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data democracy, this study takes a normative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cy. Inclusiveness, equity,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sovereignty are provided as core dimensions of data democracy.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data literacy in promoting data democracy. It proposes the creation and assessment of a curriculum rooted in the normative principles of data democracy with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future investigation.

윤희윤(대구대학교) ; 오선경(중부대학교) pp.159-182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159
초록보기
초록

2013년 12월 출범한 국립세종도서관은 한국 정책정보 특화도서관과 세종시 복합문화시설로 각광받아 왔다. 그럼에도 본질적 정체성, 조직적 위상, 사무분장과 핵심역량, 정책자료 수집과 서비스 등은 여전히 취약하고 부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정체성 정립 및 고품질 정책정보서비스의 전국적 제공을 위한 직무모형을 개발하고, 전략적 조직개편 방안을 제시하였다. 직무모형은 기존 72개에 38개를 추가하여 총 110개로 제안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단기 조직개편 모형(2023-2024)은 관장 직급을 현재 4급(서기관)에서 고위공무원단(직무등급은 나급)으로, 과장을 5급(사무관)에서 4급으로 상향 조정하였다. 하부조직은 현재 3과(기획관리과, 정책자료과, 서비스이용과)를 4과(기획행정과, 자료수집개발과, 정책정보서비스과, 대중서비스문화과)로 개칭․확대하고 인력은 총 51명으로 구성하였다. 중장기 모형(2025-2032)은 하부조직을 4과 1실(기획행정과, 자료수집개발과, 정책정보서비스과, 대중서비스문화과, 정책정보연구실)로 확대하고, 소요인력을 총 61명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거시적․전략적 목표인 ‘한국 정책정보센터’를 표방한다는 논지로 이해집단을 설득시키고, 전략적 조직개편 및 직제개정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Abstrac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which was launched in December 2013, has been in the spotlight as a specialized library for Korean policy information and as a Sejong city complex cultural facility. Nevertheless, the essential identity, organizational status, division of affairs and core competencies, policy information collection, and services of the NLK (Sejong) are weak and in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job model for establishing an essential identity and providing high-quality policy information services nationwide and suggested a strategic organizational reorganization plan. The job model was proposed as a total of 110 by adding 38 to the existing 72. Based on this job model, the short-term reorganization model (2023-2024) changed the grade of the library director from the current grade 4 (administrative officer) to Senior Executive, and the grade of the director by division from grade 5 (secretary) to grade 4. The sub-organization has expanded the current 3 divisions (planning management, policy information, and service use) to 4 divisions (planning administration, library collection and development, policy information service, and public service and culture, with a total of 51 personnel. In the mid-to-long-term model (2025-2032), the sub-organization was expanded to 4 divisions and 1 office (planning administration, library collection and development, policy information service, public service and culture, and policy information research), and presented a total of 61 personnel.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ersuade stakeholders with the argument of advocating the Korean policy information center, which is a macro-strategic goal, and focus all capabilities on strategic reorganization and revision of 「Decree on the 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민영태(주식회사 아이티투게더) ; 곽승진(충남대학교) pp.183-203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1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의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의 특징을 분석하고 도서관에 적용된 챗봇 서비스의 플랫폼에 따른 사용성을 비교한 연구로 도서관의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의 사용성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사용성 비교 요소를 추출하였고,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도서관에 적용된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를 플랫폼에 따라 자체 웹사이트 기반과 SNS 기반의 챗봇 서비스로 구분하였다. 실험과 질문지 조사 및 면담을 실시하여 도서관에 적용된 웹사이트 기반과 SNS 기반의 챗봇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도서관의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에 대한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service of the library and compare the usability of the chatbot service applied to the library, and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service in the librar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usability comparison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services, and based on case studies,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services applied to libraries were classified into their own website-based and SNS-based chatbot services according to the platform. Experiment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website-based and SNS-based chatbot services applied to the librar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evaluation,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service of the library were derived.

임여주(부산대학교) pp.205-232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2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성교육 도서의 출판과 활용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성교육 도서가 어린이․청소년의 성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가늠해 보는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청소년 독자가 성교육 도서에 접근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출판 편집자, 성교육 전문가, 공공도서관 사서와의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성교육 도서에 관한 이들의 경험과 시각을 폭넓게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 의하면 성교육 도서는 양육자가 어린이․청소년에게 직접 성교육을 실시하기 어려워할 때 쉽게 찾아 건네는 매체이며 성교육 현장에서 활용되는 교육 자료이기도 하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한국에 출판된 성교육 도서 중 다수가 사춘기의 신체 변화를 다루는 ‘몸 교육’에만 집중하고 있으며, 여전히 성평등하지 않은 관점을 강조하는 등 그 주제와 시각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들은 성교육 도서가 키워드 중심의 단순한 정보 전달 매체이기보다, 인간 삶에 대한 포괄적인 시각을 바탕으로 주체적인 성을 배우는 교육의 장이기를 바랐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은 도서관에서 성교육 도서를 수서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

Abstract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examines the publication and use of sex education books for youth and considers their values and applicability to sex education for youth in the futu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book editors, sex education experts, and public librarians—those who play important roles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reading of sex education books—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parents and caregivers often rely on sex education books when they find it hard to deliver sex education to their children on their own. Sex education books are also often used by sex education experts in their classes. The research participants said many sex education books that were published in South Korea only focus on ‘the body education,’ which deals with body changes during puberty. Gender inequality is another subject that needs to be changed. The research participants agreed that a sex education book should not just be a simple medium that delivers fragments of knowledge on sexuality but a broader learning playground where children and young adults can learn independent perspectives on sexuality based on comprehensive views on life. This study suggests a guideline for sexuality education books, which will be useful for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정경희(한성대학교) pp.233-249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2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의 CCL 적용 여부와 그 유형을 파악하여 국내의 오픈액세스 현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2,097종의 홈페이지에 공개된 CCL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한 후 DOAJ 학술지 및 선행연구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등재지의 18%(377)가 CCL을 적용하고 있었고 이중 90%(337)는 STM 및 농수해양학 분야였으며 인문사회 분야에서 CCL을 적용한 학술지는 거의 없었다. 둘째, 등재지가 채택한 CCL 유형은 NC 계열이 90%, 특히 CC BY-NC가 85%로 가장 많았다. 해외의 DOAJ 학술지에서 CC BY 또는 CC BY-SA를 적용한 학술지가 52%인 것과 큰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DOAJ 학술지와 스페인어 학술지에 비하면 ND 유형의 라이선스를 적용한 학술지는 더 적었다. 셋째, CCL을 적용한 학술지 377종의 44%(167)는 공공DB에서는 무료로 공개되는 동시에 상용DB에서는 유료로 판매되고 있었고, 33%(125)는 공공DB에서 무료로 공개되고 있었으며, 9%(33)는 상용DB에서 판매되고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application and types of Creative Commons Licenses (CCL) in Korean journals and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state of open access in South Korea.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CCL-related information from the websites of 2,097 KCI journals and compared the findings with DOAJ journals and previou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18% (377 journals) of the KCI journals adopted CCL, and among them, approximately 90% (337 journals) were in the field of STEM. There were few academic journals applying CCL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ields. Secondly, the types of CCL adopted by KCI journals were NC licenses (90%), with CC BY-NC (85%) being the most common. This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DOAJ journals, where 52% of academic journals applied CC BY or CC BY-SA. However, fewer journals applied licenses of the ND licenses than DOAJ journals and Spanish journals. Thirdly, 44% (167) of the 377 academic journals that applied CCL were simultaneously for free in public databases and sold for a fee in commercial databases. 33% (125) were publicly available for free in public databases, and 9% (33) were sold in commercial databases.

이선애(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p.251-274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2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광역대표도서관 사서들의 감정노동과 전문직 삶의 질(ProQOL)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2023년 2월 13일부터 2023년 2월 24일까지 전국 17개 광역대표도서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서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일반적 특징, 감정노동, 전문직 삶의 질, 긍정심리자본을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Statistics 24.0, Amos 25.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측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랩(Bootstrapping)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광역대표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과 전문직 삶의 질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광역대표도서관 사서들의 감정노동, 전문직 삶의 질, 긍정심리자본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역대표도서관 사서들의 감정노동과 전문직 삶의 질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감정노동이 전문직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사서들의 감정노동을 감소시키고 긍정심리자본을 강화하여 전문직으로서의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ProQOL) of librarians belonging to the Widely Representative Library. From February 13, 2023 to February 24, 2023, 159 librarians working in 17 Widely Representative Libraries nationwide were survey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ProQOL,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rough questionnaires.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asurement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4.0 and Amos 25.0.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roQOL of librarians in the Widely Representative Library was analyzed using a bootstrapping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among librarians’ emotional labor, ProQOL,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Widely Representative Library.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roQOL of Widely Representative Library librarian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direct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ProQOL,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by reducing emotional labor and strengtheni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librarians in further studies.

나정조(덕성여자대학교) ; 박소연(덕성여자대학교) pp.275-294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2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내 공공도서관의 사용성을 분석하고, 도서관 메타버스 플랫폼의 사용성 및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 내에 가상 도서관을 구축, 운영하고 있는 강북문화정보도서관, 대전한밭도서관, 마포중앙도서관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6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온라인 설문 조사와 실험 결과, 모든 도서관에서, 학습성과 사용성 간에 강한 정비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GUI 지표와 몰입감 간에도 상당히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강북문화정보도서관의 학습성 및 사용성이 다른 도서관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밭 도서관의 GUI 지표와 몰입감이 다른 도서관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용자들이 메타버스에 접속 시, 동시에 접속 중인 다른 사용자가 없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 인해 도서관들의 상호작용성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별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징,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공도서관의 메타버스 플랫폼 사용성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usability of public libraries’ metaverse platform. This study also examines factors that affect usability and immersion of metaverse platform of Gangbuk culture information library, Hanbat library in Daejeon, and Mapo Central library.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6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online survey and experi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rnability and usability, and between GUI and immersion in every library. Learnability and usability of Gangbuk culture information libra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libraries. On the other hand, GUI score and immersion of Hanbat librar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libraries. However, given that there were few users connected to metaverse platfor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vity among libraries.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including strengths and weaknesses) of metaverse platform of each librar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usability of public library’s metaverse platform.

오의경(상명대학교) pp.295-311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29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Kirkpatrick 교육평가모형을 활용하여 사서교사의 계속교육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측정하는 데 있다. 2022년 하계 「사서교사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사서교사 136명을 대상으로, 3단계의 교육평가를 진행하였다. 1단계는 교육 전반에 관한 만족도 조사이며 교육 후에 조사되었으며, 2단계와 3단계는 교육 전과 교육 후에 조사하였고, 전후 차이 분석으로 실질적인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2단계는 학습평가이며 3단계는 직무역량향상 평가이다. 연구 결과 모든 단계에서 높은 측정 점수가 산출되었고, 2단계 학습평가에서 교육의 전후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 직무역량향상평가에서는 교육 후에 점수가 하락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단계 평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평가모델이 보완되고, 유효한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균형 있는 교육과정의 설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continuous education of librarians using the Kirkpatrick education evaluation model. A three-stage educational evaluation was conducted on 136 libraria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Qualification training for librarian teacher level 1」 in the summer of 2022. The first stage was a satisfaction survey on the overall education, and the second and third stages were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education, and the actual effect of education was measured by pre-post difference analysis. The second stage is learning evaluation, and the third stage is job competency improvement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high measurement scores were calculated at all stages, and the before and after effect of edu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econd stage of learning evaluation. In the third stage of the job competency improvement evaluation, the score fell after education,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second stage of evaluation, and future studies suggested that the evaluation model should be supplemented and that a balanced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to produce valid results.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