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비블리아학회지
- P-ISSN : 1229-2435
- E-ISSN : 2799-4767
- Publisher : 한국비블리아학회
11개 논문이 있습니다.
This study investigates strategies to enhance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of librarians to improve digital literac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s digital transformation progresses, the digital divide remains a significant issue, particularl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Libraries and librarians play a crucial role in bridging this gap by provid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services. This research involved a comprehensive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librarians responsible for disability servic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while librarian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y lack practical experience and targeted training. To address this, the study proposes systematic and continuous educational programs focused on digital literacy skills and understanding disabilities. The proposed strategies aim to reinforce the role of librarians as key providers of digital information and educators, thus promoting digital inclusion and enhancing social particip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field by providing actionable insight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librarian competencies and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community.
This study investigates strategies to enhance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of librarians to improve digital literac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s digital transformation progresses, the digital divide remains a significant issue, particularl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Libraries and librarians play a crucial role in bridging this gap by provid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services. This research involved a comprehensive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librarians responsible for disability servic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while librarian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y lack practical experience and targeted training. To address this, the study proposes systematic and continuous educational programs focused on digital literacy skills and understanding disabilities. The proposed strategies aim to reinforce the role of librarians as key providers of digital information and educators, thus promoting digital inclusion and enhancing social particip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field by providing actionable insight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librarian competencies and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community.
초등 저학년 통합교과에서는 학습 주제와 연계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확대되고 있으나, 현행 학교도서관의 목록탐색 시스템인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DLS)에서는 주제어를 통한 자료 검색이 어렵다. 이는 데이터 구축 시 주제어 기술의 일관성 부족과 통제어휘 미사용에 기인하여, 검색의 정확성과 재현율이 낮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 2학년 통합교과와 연계된 주제어휘집을 개발하여 학습 자료 접근성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주제어 추출 및 선정 기준을 마련하였고, ANSI/NISO Z39.19 지침에 따라 용어 간 관계를 정의하여 어휘집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초등교사 30명과 사서교사 20명) 50명을 대상으로 2024년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사와 사서교사들은 주제어휘집이 교육 자료 검색과 학습 자료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교과에 적합한 주제어휘집 구축을 통해 DLS의 주제검색 기능을 개선하고, 향후 초등학교에서 다양한 학습 자료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lower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classes using diverse materials related to learning topics are expanding. However, in the current school library catalog system, the Digital Library Service (DLS), searching for materials using subject headings is challenging. This difficulty stems from inconsistent subject heading practices and the lack of controlled vocabulary, resulting in lower accuracy and recall in search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mprove access to learning materials by developing a subject thesaurus linked to the second-grade integrated curriculum.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o establish criteria for subject term extraction and selection, followed by systematic structuring of the thesaurus according to ANSI/NISO Z39.19 guidelines for defining term relationships. To validate the thesauru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late April to early May 2024 with 50 teachers and librarians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and librarians found the thesaurus beneficial for both educational resource searching and material utiliz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thesaurus tailored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can enhance the DLS subject search functionality and increase accessibility to various learn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s.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및 인공지능 관련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구 트렌드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WoS DB를 활용하여 2011년부터 2024년 6월까지 총 4,233개의 논문을 수집하고 시기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1기(2011년~2015년), 2기(2016년~2020년), 3기(2021년~2024년 6월)로 구분하여 서지 매핑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전 기간에 걸쳐 생성된 클러스터로는 ‘academic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librarian’과 관련된 클러스터로 나타났다. 1기의 특징으로는 Library 2.0, Web 2.0, 소셜미디어 등의 키워드로 구성된 Web 2.0 클러스터가 생성되었다. 2기의 주요 특징으로는 ‘bibliometrics’ 관련 클러스터가 크게 확장되었으며 ‘big data’, ‘deep learning’ 같은 키워드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3기의 특징으로는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covid-19’ 등이 새로운 클러스터를 형성하면서 핵심 연구주제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related to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o analyze changes in these trends over time. To conduct the research, we utilized the Web of Science (WoS) database and collected a total of 4,233 articles from 2011 to June 2024, performing a bibliographic mapping analysis. To observe changes over time, the data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Period 1 (2011-2015), Period 2 (2016-2020), and Period 3 (2021-June 2024). The analysis revealed that clusters such as ‘academic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ian’ were of consistent interest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In Period 1, a Web 2.0 cluster emerged, composed of keywords such as Library 2.0, Web 2.0, and social media. In Period 2, the ‘bibliometrics’ cluster expanded significantly, and keywords like ‘big data’ and ‘deep learning’ began to appear. In Period 3, new cluster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and ‘COVID-19’ emerged, highlighting these as key research topics.
우리나라 학생들은 성장 과정에서 급격한 신체적 및 정신적 변화와 함께 치열한 경쟁 속에서 학업을 이어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감 능력, 소통 능력의 부족과 정서적 불안 등 사회정서적 발달의 어려움을 겪거나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 사서교사들의 사회정서학습(Social Emotional Learning, 이하 SEL)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학교도서관에서 SEL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먼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설문 응답자 중 면담에 동의한 일부를 대상으로 후속 면담을 진행하여 학교도서관을 통한 SEL 실천 방안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사서교사들은 SEL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 필요성에 대해 강한 공감을 나타냈다. 또한 SEL을 학교도서관에서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자료, 직면한 문제점 및 개선 사항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도서관에서 SEL의 교육적 함의를 면밀히 검토하고, 학교도서관에서 SEL을 실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교육에서 SEL의 교육적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SEL의 실천적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students continue their academic journey amid intense competition and rapid physical and mental changes during their growth. As a result, some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socio-emotional development, such as a lack of empathy, communication skills, and emotional instability, which can lead to challenges in social adapt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elementary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s of Social Emotional Learning (SEL) and explores ways to effectively implement SEL in school libraries. To conduct this research, an online survey was first administered. Following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subset of respon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to explore practical ways of applying SEL in school librar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elementary teacher librarian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L and strongly agree on its necessity. Moreover, specific strategies for practicing SEL in school libraries, available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challenges faced, and potential improvem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carefully examin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EL i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and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implementing SEL practices in these settings.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EL in school library education and contributes to outlining specific directions for its practical application.
본 연구는 지역소멸 대응 기관으로서 공공도서관의 역할변화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지역소멸과 지역사회, 공공도서관 간의 관계, 지역소멸 대응 기관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역할, 지역소멸 대응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위한 내․외부 영향 요인, 지역소멸 대응 기관으로서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운영 경험 등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사서들은 첫째,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사회와 공공도서관의 협력체계 구축, 둘째, 지역 정체성을 담는, 지역 문제해결 공간, 정보격차 해소, 정주기반 개선, 도시재생과 지역 활성화 매개체 등으로서 공공도서관 역할 정립, 셋째, 지역소멸 대응 기관으로서 공공도서관 역할수행을 위한 공공도서관 환경 분석과 예산 및 인력지원, 넷째, 지역소멸 대응 기관으로서 공공도서관 역할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 등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librarians’ perceptions of changes in the role of libraries as a response agency to local extin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librarians,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extinction and communities, the role of libraries as response agencies to local extinction, internal and external influencing factors for the role of libraries in response to local extinction, and the experience of operating library services as a response agency to local extin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librarians were found to be aware of the need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local communities and libraries to respond to local extinction, secondly, to establish a library role as a medium for regional problem-solving space, bridging the information gap, improving the settlement base, urban regeneration and local revitalization, etc., and thirdly, to analyze the library environment to perform the library role as a response agency to local extinction, to support budget and manpower, and fourthly, to develop various services for the library role as a response agency to local extinction.
이 연구는 동시인용분석과 직접인용분석을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여 대학도서관 연구의 지적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2002년 이후의 대학도서관 관련 627편의 논문과 그 참고문헌을 분석하였다. 동시인용분석 결과, 15개의 주요 연구 주제 소군집이 도출되었고, 이를 다시 7개의 대분류 영역(공간, 시스템, 이용자/이용, 서비스 품질, 온라인 서비스, 전문 서비스, 계획/평가)으로 정리하였다. 연구 주제의 시기적 변화 분석 결과, 2012-2013년을 기점으로 대학도서관 연구 주제에 큰 변화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직접인용분석을 통해 동시인용분석에서 파악하지 못한 6개의 추가적인 연구 주제(조직경영, 전자학술정보, 이용자연구, 차세대디지털도서관, 효율성 분석, 공동보존서고)를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동시인용분석과 직접인용분석의 상호보완적 활용이 지적구조 분석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university library research by complementarily utilizing co-citation analysis and direct citation analysis. The study analyzed 627 papers published since 2002 related to university libraries and their references retrieved from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database. Co-citation analysis revealed 15 major research topic subclusters, which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seven main areas: library space, systems, users/usage, service quality, online services, specialized services, and planning/evaluation. Analysis of temporal changes in research topics confirmed a significant shift in university library research themes around 2012-2013. Direct citation analysis uncovered six additional research topics not identified in the co-citation analysis: organizational management, electronic scholarly information, user studies, next-generation digital libraries, efficiency analysis, and cooperative storage facilitie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complementary use of co-citation and direct citation analyses in examining intellectual structures.
이 연구는 농어촌지역의 독서실태와 독서실태가 지방 행정 주도의 도서관 독서문화 환경 정책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농어촌지역의 독서문화 형성을 위한 선순환구조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농어촌지역 성인 및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성인 97명, 학생 113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적극적인 독자와 무관심한 비독자가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또한 독서활동은 독서의 자기만족을 높이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비독자 유입을 위해서는 도서관 이용 및 접근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비독자 유입 이후 독서문화를 지속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독서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a structure to foster local reading culture. The research goals are as follows: the factors of local reading behavior; the influence of the status of local reading on the perception of local administration-lead reading environment policies. The responses of 97 adults and 113 students from A rural to about questions about reading behavior and the their perceptions of reading environment polic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polarization between active readers and an indifferent non-readers; reading activities related with self-satisfaction improvement of reading. Therefore the propo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the use of libraries to convert non-readers into readers. Second,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reading activities to continuously vitalize reading culture.
국가기록원은 전자기록물의 장기적 접근성과 재현성을 보장하기 위해 보존포맷으로 변환하는 마이그레이션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보존포맷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보존포맷 선정체계에 따른 평가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파일포맷에 대한 공신력 있는 정보 접근이 제한적이고, 파일포맷의 기술적 사양과 특성에 대한 전문지식이 요구되는 등 평가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보존포맷 선정체계의 실무 정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보존포맷 선정평가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평가를 지원하는 도구의 기능을 정보관리와 평가지원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그리고 해당 도구의 실현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파일포맷 정보 리소스 3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보존포맷 선정기준(공통) 평가문항과 비교, 분석하여 정보 연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 has adopted a migration strategy to convert preservation formats to ensure the long-term accessi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digital records. To select an appropriate preservation form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evaluations based on the preservation format selection system. Evaluating file formats is challenging due to limited access to reliable information about file formats and the requirement for specialized knowledge of their technical specifications and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evaluation process can act as a barrier to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preservation format selection system.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reservation format selection evaluations by proposing the functionality of a support tool divided into two domains: information management and evaluation support. Furthermore,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his tool, the study analyzed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ree reliable file format information portals and compared it with the evaluation criteria (common) of the preservation format selection system to examine the potential for information integration.
본 연구는 원격대학 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온․오프라인 수업환경 및 학습자 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원격대학인 K대학 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을 수강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다양한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온라인 환경의 ‘접근성’ 및 ‘상호작용성’, 오프라인 환경의 ‘상호작용성’이 교육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만족도는 도서관 재이용 및 학업지속성과 같은 충성도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활용교육의 개선 방안으로 상호작용 지원체계 강화, 연령대별 맞춤형 교육 계획 수립, 수업 연계를 통한 정보활용교육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on learner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loyalty in an open university library,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based on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t K University Library.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accessibility” and “interactivity” in the online environment, as well as “interactivity” in the offline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dditionally,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found to influence loyalty factors such as library reuse and academic persist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commends improvement strategies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cluding strengthening the interactive support system, developing tailored educational plans by age group, and expanding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hrough integration with academic courses.
본 연구는 VR 콘텐츠의 이용자 경험과 만족도에 초점을 맞추어, VR 기술이 도서관 사용자 경험 및 서비스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도서관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핵심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VR 콘텐츠 서비스 이용 경험 중 가장 긍정적인 경험 요소는 감각적 측면이다. 도서관의 VR 콘텐츠를 체험한 결과 감각과 자극을 통해 흥미와 매력을 느낌 항목이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기록하였다. 반면, 가장 낮은 경험 요소는 행동적 측면의 경험 요소이다. 둘째, 도서관 VR 콘텐츠 서비스의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13가지 항목을 질문한 결과,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대부분 도서관 직원이 이용법을 설명해 준다거나,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지원이 가능하다는 것과 관련된 항목이었다. 반면,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항목은 도서관 공간 및 시설에 대한 사항이었다. 셋째, VR 콘텐츠 사용 중 불편 요소에 대해 어지럼증을 느끼는 증상이 가장 큰 불편요소로 지적되었으며, 그 다음은 눈이 뻐근함을 느끼는 증상이었다.
This study focuses on user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with VR content to analyze the impact of VR technology on library user experiences and service satisfaction, ultimately aiming to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library service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ositive experiential factor in the use of VR content services in libraries was the sensory aspect. Among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library’s VR content, the item “feeling interest and attraction through sensory stimulation” recorded the highest average score. In contrast, the lowest-rated experiential factor was related to behavioral aspects. Second, a survey comprising 13 items was conducted to assess satisfaction with library VR content services. The items with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were mostly related to library staff providing instructions on how to use the content and offering support in case of technical issues. In contrast, the items with relatively low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library’s physical spaces and facilities. Third,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discomfort when using VR content was the experience of dizziness, identified as the primary inconvenience. This was followed by symptoms of eye strain.
본 연구는 A지역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전문인력 역량에 기반한 활성화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의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직무 영역, 직무 및 세부역량으로 구성된 직무분석표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A지역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6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직무 영역, 직무 및 세부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활용 만족도를 측정하고, 이를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학교도서관 전문인력의 직무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경영’, ‘정보 서비스’, ‘교육’, ‘협력’, ‘교육 활성화 사례’의 5개 평가 영역과 22개 평가 항목, 33개 평가 지표로 구성된 학교도서관의 전문인력 역량에 기반한 활성화 수준 측정을 위한 지표를 개발하였다. 특히, 학교도서관의 교수․학습 활동 지원 기능 강화를 위한 지표를 보강하고, 디지털대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지표를 강화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duties of school librarians (teachers) in Region A and developing an indicator to measure the level of activation based on the capabilities of professional personnel in school libraries. To this end, a job analysis table consisting of job areas, duties, and detailed competencies for analyzing the duties of school librarians (teachers) was develop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695 school librarians (teachers) in Region A based on the tabl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job areas, duties, and detailed competencies of school librarians (teachers) were measured, and these were analyzed using methods such as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Finally, based on the job analysis results of school library professionals derived, an indicator for measuring the level of activation based on the capacity of professional personnel in school libraries was developed consisting of five evaluation areas of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 ‘education’, ‘cooperation’, and ‘education activation cases’, 22 evaluation items, and 33 evaluation indicators. In particular, indicators for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support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school libraries were reinforced, and indicators for responding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were strengthened.